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7

        21.
        2018.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a new writing task that utilizes drawing to elicit students’ language and original thinking. Two forms of pictures were designed and administered to 118 children. One form was conventional and consisted of completed pictures, requiring students to simply describe the pictures in writing. The other form, which was new, comprised incomplete pictures, requiring students to first draw and then describe them in writing. The descriptions were scored for originality (to represent creative thinking) and vocabulary and text length (to reflect linguistic domains). The originality scores were higher for students who were given the unfinished pictures regardless of their writing proficiency. Vocabulary diversity and text length fluency depended on the level of writing proficiency: for poor writers, these abilities were facilitated when they were given completed pictures, while for good writers, the form variation made no difference. This study highlights that to stimulate original thinking, an unfinished picture form is useful because it affords students opportunities to express unique ideas regardless of poor or good writers.
        5,100원
        2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 날 4 차 산업혁명으로 명명되는 기술적 융합과 디지털 신기술의 태동으로 인간의 노동을 대체할 수 있는 인공지능의 등장은 인간의 가치가 창의적인 사고에 있음을 다시금 깨닫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환경의 병화에서 많은 조직과 기업들은 창의적인 사고, 지식 공유 등을 통하여 고유한 가치를 개발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조직 내 창의성은 단순히 창의적인 개인으로 인하여 만들어 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구성원이 창의적일 수 있는 조직문화가 중요하다. 많은 연구에서는 리더의 역할이 조직문화 조성에 중요한 기반으로 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의 개념 및 구성요소에 대한 명확한 설명을 토대로 팔로어의 창의성과 리더십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기존에 연구된 리더십과 창의성의 관계에 팔로어의 정체성을 매개변수로, 지각된 조직지원인식을 조절변수로 하여 보다 포괄적인 관계를 알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연구를 위해 중국 북경과 상하이의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242 부의 설문지를 통계에 사용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은 오두 팔로어의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팔로어의 정체성이 리더십과 팔로어의 창의성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으며, 리더십과 팔로어의 관계적 정체성은 지각된 조직지원인식에 의해 조절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시사점, 한계점 및 향후의 연구 방향이 제시되었다.
        5,200원
        23.
        2018.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우리나라의 대중음악은 매년 많은 곡이 발표되고 있으며 그 영향력도 국내외로 확장되고 있다. 이에 따라 매년 국내 대중음악의 표절 논란이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그런데 많은 곡이 표절 논란에 휩싸임에도 논란으로만 그치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논란이 소송으로 이어져 저작권 침해가 인정된 사례는 현재까지 단 1건에 불과하다. 또한 두 음악 저작물 간에 유사성이 매우 높은 경우에도 표절이 성립 되지 않은 판결이 다수 존재한다. 이러한 현상은 양심적인 창작자들로 하여금 창작 의지의 저해를 야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중과 음악업계가 판단하는 표절 의혹과 전문가의 분석 및 법원의 판결에는 간 극이 존재한다. 이는 우리나라의 관련 판례에서 관용구에 의하여 저작물의 창작성이 비교적 쉽게 부정되며, 실질적 유사성은 보통의 관찰자 관점 보다는, 음악적 분석과 해석에 중점을 두는 전문가 관점에 의해 판단되기 때문이다. 이에 창작자의 권익을 보호하면서 표절의 부당 이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음악 저작물 침해소송에서의 창작성 및 실질적 유사성 판단 기준에 대한 엄격한 기준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4,600원
        24.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acing competition in a context of saturated markets characterized by rapid technological transformations presumes more than ever the need for creativity (Runco 2004), i.e. the production of new and useful (or adapted) ideas (Amabile 1996). In this paper, we focus on individual creativity, which is a subject of growing interest in research in psychology, management, and education. Beyond supernatural or genetic views of individual creativity, researchers generally agree on a multi-variant approach to creativity, which would result from cognitive factors (i.e. intellectual capacities, domain or creativity expertise, cognitive style), personality traits, and individual motivation to complete the task as well as environmental factors (Amabile 1996). If some of these factors are intrinsically personal, thus stable in the short run, environmental factors could be organized in an “architecture” likely to foster individual creativity, stressing the non-negligible role of physical elements, such as forms, space or colors (Meusberger et al. 2009). In this perspective, our objective is twofold: first to explore whether the environment color – and more specifically a blue environment – can foster individual creativity, and second to interrogate the underlying emotional mechanisms likely to explain it. Using an experiment, we show that 1/ putting individuals in a blue (vs. white) environment has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the volume of ideas, but not on the quality of ideas, and that 2/ emotions mediate the influence of the color blue (vs. white) on individual creativity. Specifically, the color blue enhances pleasantness, which enhances individual creativity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especially when individuals also experience arousal. These findings both replicate and extend the literature on the influence of colors and mood on individual creativity, and call to further research on the mediating routes likely to explain the influence of colors on individual creativity.
        25.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reativity and innovation are crucial components of new product development (NPD) and incorporating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dds an extra dimension to the creative process, particularly for the fashion industry, which is a key sector in the UK creative industries that form a significant part of the national economy. Fashion designers’ creativity during NPD can be facilitated by effective collaboration with roles such as product technologists and buyers. This paper discusses ways in which creative knowledge and processes can be applied to innovative sustainable product development, exploring barriers and enablers involved in widening the availability and adoption of environmentally sustainable fashion. NPD is one of the more tangible aspects of creativity that can be managed, whereas creative design thinking is less tangible and logical, thus making it potentially incompatible with managers who are often more business-orientated and risk-averse in their approach than designers (Puryear, 2014). This can create tension for teams when selecting the most appropriate products for production and sustainable product features have traditionally not been a priority for fashion companies. Making products more sustainable is one of the challenging constraints that designers increasingly need to address within NPD, due to the high sustainability impacts of clothing in both environmental and social terms (Hjelmgrem et al., 2015). This research will adopt a qualitative approach, involv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a sample of 20 product development professionals from retailers, brands and manufacturers in the UK fashion business, during August to October 2018. In conclusion, the study will build on the primary research results to develop an original conceptual framework in the form of a model to facilitate product developers’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sustainability issues within creative processes and to adopt a new vocabulary to elicit more effectual communication regarding sustainability between NPD actors.
        26.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nsumers are increasingly using social networking sites to get information about their interests. Among them, Instagram has recently reached 800 million active users (Instagram, 2017) and has a higher rate of engagement compared to Facebook or Twitter (Locowise, 2017). Despite its growing relevance, the academic research related to Instagram is still scarce. To go a step further in this topic,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role played by creativity and positive emotions in driving users’ behaviour on Instagram. On the basis of the Stimulus-Organism-Response (S-O-R) framework (Donovan and Rossiter, 1982; Mehrabian and Rusell, 1974), we propose that perceived creativity (stimulus) applied to the uploaded photos or videos on Instagram results in developing positive emotions (organism) [H1]. In the same way, the use of creative posts can also affect human responses on that account, as affective commitment [H2] and interaction intention [H3]. Additionally, as a consequence of processing the information posted on Instagram account, positive feelings may arouse, resulting in greater affective commitment [H4] and interaction intention [H5]. Finally, users who experience an affective commitment with an account may tend to be more involved by interacting in the account [H6]. Data to test these hypotheses was collected from an Instagram account focused on fashion due to the relevant role that creativity has in this industry and the increasing use of this social networking site among fashion companies (Casaló et al., 2017). We obtained a sample of 808 participants which answered a questionnaire including several multiple-items measurements scales adapted from previous literature. We used a seven-point Likert-type as the response format, from 1 (“strongly disagree”) to 7 (“strongly agree”). Data analyses were carried out using SmartPLS 2.0 (Ringle et al., 2005). First, we analysed data to check validity of measures so as to confirm the factor structure, ensuring internal consistency and both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Results of the proposed model revealed the positive influence of perceived creativity on positive emotions (H1: β=.24, p<.01), affective commitment (H2: β=.40, p<.01) and interaction intentions (H3: β=.60, p<.01). In addition, positive emotions affect both affective commitment (H4: β=.15, p<.01) and interaction intentions (H5: β=.18, p<.01). Finally, affective commitment is also positively related to interaction intentions (H6: β=.25, p<.01). This study confirms the key role that both perceived creativity and positive emotions have on users’ responses in the Instagram context. These findings have interesting implications for management of Instagram accounts suggesting the development of creative content as well as generating positive emotions to engage followers to a greater extent in the account.
        27.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상사의 코칭리더십이 부하직원의 개인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중·소·대기업 제조회사에 종사하는 직장인 총 303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의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평균차이 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사의 코칭리더십과 부하직원의 개인 창의성은 평균 이상의 인식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의 코칭리더십은 개발, 관계, 수행평가, 방향제시 순으로 나타났으며, 부하직원의 개인 창의성은 지식과 경험, 과제동기, 창 의적 사고기술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부하직원의 개인 창의성 차이 검증결과, 성별, 학력, 직급, 상사와의 근무기간, 현 직장 근무기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하직원이 인식한 상사의 코칭리더십과 부하직원의 개인 창의성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상사의 코칭리더십과 부하직원의 개인 창의성은 전체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으로는 코칭리더십의 관계와 개인 창의성의과 제동기가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상사의 코칭리더십은 부하직원의 개인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으로는 코칭리더십의 방향제시와 관계가 부하직원의 개인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고, 개발과 수행평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 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상사의 코칭리더십을 개발함으로써 부하직원의 개인 창의성을 높일 수 있도록 상사의 다양한 코칭리더십교육과 일대일 및 그룹, 팀코칭서비스 등의 기회 제공을 위한 환경 마련이 필요하다.
        6,000원
        28.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늘날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기업들은 경영성과 향상을 위해 팀의 창의성(team creativity)에 대한 관심을 강조하고 있다. 기업들은 치열하게 경쟁하는 비즈니스의 생태계에서 경쟁기업과의 역동적 관계를 자신들에게 유리하게 이끌 수 있는 경쟁우위의 확보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이처럼 기업들은 경쟁우위의 확보와 유지를 위해서는 외부환경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을 해야 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조직단위나 팀 단위에서 창의성과 혁신은 필수적인 요인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변화의 동인(driving forces)을 인지하고 조직의 혁신과 성장을 위한 방안으로 팀 단위의 다양성 및 교환관계 및 창의성을 연구하며, 이것이 팀의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연구에서는 팀 창의성연구를 주로 팀의 다양성 관점(diversity perspective)에서 연구되었는데, 본 연구는 팀의 교환 관계적(exchange perspective)관점으로 확장하여 팀 창의성의 선행요인들을 규명해보고자 한다. 그리하여 조직 내 팀의 과업상황에서 팀의 인지적 다양성변수와 교환 관계적 변수가 팀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며, 또한 팀 창의성의 매개효과가 어떻게 팀 성과에 미치는지에 대한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가설검증을 위한 실증적 연구를 위해 조직 내 팀원이 5-7명 구성된 실제 78개 팀으로부터 438부의 설문지를 수거하여 이를 통계적 분석을 위한 표본으로 사용하였다. 실증적 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팀의 인지적 다양성과 팀 교환관계적 관점인 과업지식공유, 팀 교환관계는 팀 창의성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팀의 다양성과 팀 성과의 관계에서 팀 창의성의 매개효과가 존재하는지를 살펴본 결과, 팀의 인지적 다양성은 팀 성과 간에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이는 팀의 다양성과 팀 성과의 관계에서 팀 창의성이 중요한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팀의 교환관계적 특성과 팀 성과의 관계에서 팀 창의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교환관계의 특성인 과업지식공유와 팀 교환관계는 팀의 성과에 부분매개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팀의 인지적 다양성과 팀의 교환관계변수들이 팀 성과에 미치는 인과관계에서 팀 창의성이 직·간접으로 중요한 매개수단임을 확인하였기 때문에 팀 단위에서 팀 성과 향상을 위해 다양한 팀 창의성의 위한 다양한 노력과 이에 따른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6,300원
        29.
        2017.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long with the growth of disposable income and the improvement of consumers’ living condition, consumers are no longer satisfied only with the fulfillment of functional needs of products. Instead, they seek to meet higher level of demand such as emotional and symbolic needs when consuming products. One reflection of this kind of pursuit in consumer behavior is “conspicuous consumption”, which is the tendency for individuals to enhance their image and communicate status to others through overt consumption of possessions (O’Cass & McEwen, 2004). Moreover, the emergence of social networking service (SNS) has boosted the phenomenon of such overt consumption. For example, a consumer who bought a new luxury sports car uploads a photo of his/her car on Facebook to show off his/her wealth, status, uniqueness, taste, etc. In this context, if a product is scarce due to a limited supply, then consumers might use the product for conspicuous consumption (Gierl & Huettl, 2010). Thus, it can be inferred that consumers who have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will be attracted by new product which is scarce in its early diffusion process. Moreover, the literature has added new content to conspicuous consumption with the development of social economy and value. Consumption value goes far beyond satisfying functional needs, and consumption and possessions are regarded as the extension of the self (Belk, 1988). Hence, consumers would be eager to present and show off their “extended self” on SNS using new products. As a consequence, this research aims at exploring the relationship and internal mechanism between the new paradigm of conspicuous consumption and consumers’ new product adoption intention, mediated through perceived consumption value. Different traits of consumers and resulting value perceptions are influential on consumer adoption behavioral intention and outcomes (e.g., Kastanakis & Balabanis, 2014). Despite the fact that identifying and adequately meet the needs of target consumers is essential in new product success, current literature still lacks understanding on how consumers perceive value of new products based on their needs for conspicuous consumption in adopting new products. Moreover, even though there are some evidence in the literature showing that consumers with high needs for conspicuous consumption accept new products more quickly, there is limited guideline for managers for how and why different perspectives of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affect new product adoption intention through perceived value of the product. In addition, consumer behavior literature of conspicuous consumption has overemphasized the role of status seeking without fully understanding other motives and needs for it. Accordingly, we will start by examining different types of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ies and studying how they affect different value perceptions, which lead to new product adoption intention. A large number of studies from various disciplines have defined “conspicuous consumption” differently. Earlier, Veblen (1899) proposed the term “conspicuous consumption” to describe the behavior of rich American people who spent a significant portion of their time and money on unnecessary and unproductive leisure expenditures. As indicated, in early days, “conspicuous consumption” was thought to be only occurred to the upper class of the society that wishes to display wealth or status through luxury consumption. However, Mason (1988) pointed out that conspicuous consumption is not only associated with the rich and privileged, but is a worldwide phenomenon that is easily observed at all social and economic levels. Moreover, recent research advocates that conspicuous consumption is not only about displaying wealth, but also about delivering self-images and enhancing social standing through consumption. The symbolic meaning of products is commonly used as an outward expression of consumer self-concept and connection to the society (Chaudhuri & Majumdar, 2006). The motives to show their social status, unique taste or conformity trigger overt consumption of different kinds of goods to satisfy the need of belonging, increase their popularity, as well as be highly respected, admired, or envied (Gierl & Huettle, 2010). Drawing from current literature (e.g., Chaudhuri & Majumdar, 2006; Chen, Yeh, & Wang, 2008; Gierl & Huettl, 2010; O’Cass & McEwen, 2004; Shukla, 2008), this research defines conspicuous consumption as the tendency for individuals to enhance their image and communicate status to others through overt consumption, and proposes it to be a multidimensional concept consists of three dimensions namely ostentation of a high social status (a superior position within a social hierarchy), demonstration of uniqueness (differences from people belonging to the same social group), and demonstration of conformity (similarity to people belonging to a certain social group). We aim at examining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ree different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ies and how they are related to new product adoption intention. It is important to study new product success from the consumer’s perspective because the success of new product eventually depends on the decisions of consumers to adopt or reject the new product (Im, Bhat, & Lee, 2015). According to Hirschman (1980), innate personality of the consumer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whether to adopt new product or not. Moreover, Venkatesh and Brown (2001) found that relevant others such as friends, family, and other important connections can influence the adoption decision. As such, those who are influenced by the people around them will choose products that can convey an image congruent with the social image they wish to project. (Sheth, Newman, & Gross, 1991). New products, depending on their characteristics and types, can be used to show social status, uniqueness, or conformity. When the new product is first launched in the market, it is often released at a high price, though it is not a necessity to most consumers. Thus, adopting the high priced but unnecessary new products or frequently upgraded products in a certain category can signal economically rich status. In addition, consumers adopt new products to demonstrate their needs for uniqueness due to the scarcity in early diffusion process. Finally, new product can also help consumers conform to a certain group they wish to belong. For example, when most of a consumer’s friends or colleagues have adopted iPhone, he/she also is willing to adopt iPhone in order to assimilate with the group member and achieve a sense of belonging. In conclusion, there might b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consumers’ tendency to demonstrate high social status, uniqueness and conformity and new product adoption. Im et al. (2015) argued that consumers’ evaluation of or attitude toward a product and ultimate decision to adopt depends on their perceptions of the product’s value. Thus, perceived value may act as an important determinant in new product adoption. Besides, now that perceived value is derived from subjective evaluation and judgement of consumers, different consumers involved in the purchasing process can vary on the perceptions of new products (Perkins, 1993). Moreover, individuals tend to perceive what they need and want while ignoring other irrelevant stimuli around (Schiffman & Wisenblit, 2016). Since consumers with three different types of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have different needs and wants, they will respond differently to the value offered by products. Thus, we propose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value between conspicuous consumption and consumers’ intention of new product adoption. Another important individual level variable that impacts perception of new product is creativity-seeking personality, which refers to the tendency to seek information that is novel and meaningful (Im et al., 2015). Since novelty and meaningfulness are important features of innovation that are embedded in new products, consumers who seek for them are more likely to appreciate the new products more. Thus, we assert that creativity-seeking personality is also important in forming new product adoption behavior. Moreover, according to Im et al. (2015), novelty affects perceived hedonic value while meaningfulness influences perceived utilitarian value. This research attempts to explore the moderating role of creativity-seeking person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picuous consumption and perceived value to reveal the synergy effect of conspicuous consumption and creativity-seeking personality. Creativity-seeking personality consists of a novelty-seeking personality (a personal tendency related to the willingness to seek information that is new and different), and a meaningfulness-seeking personality (a personal tendency related to the willingness to seek information that is useful and relevant) (Hirshman, 1980; Im et al., 2015). Specifically, we propose that demonstration of uniqueness has a stronger impact on hedonic value among consumers with high level of novelty-seeking personality and demonstration of conformity has a stronger impact on utilitarian value among consumers with high level of meaningfulness-seeking personality. As such, drawing on the existing literature about conspicuous consumption, creativity-seeking personality, perceived value and purchase intention, this research proposes the mediating role of perceived value through which conspicuous consumption impact consumers’ new product adoption intention. In the meantime, this research explores the moderating role of creativity-seeking personality on the effect of conspicuous consumption on perceived value of new products. Accordingly, our research model is given as demonstrated in Figure 1. We expect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nspicuous consumption and new product adoption intention. Moreover, we predict perceived value mediates the impact of conspicuous consumption on new product adoption intention whereas creativity-seeking personality plays a moderating role. This research has several academic contributions and managerial implications. First, this research distinguished three types of conspicuous consumption from modern perspective including ostentation of a high social status, demonstration of uniqueness, and demonstration of conformity. By testing the impact of three types of conspicuous consumption on new product adoption intention, this study extends existing literature by identifying drivers of new product adoption. Second, it shed light on a mediating mechanism of perceived value through which conspicuous consumption conveys its effect on new product adoption. Third, it identified the moderating role of novelty-seeking personality and meaningfulness-seeking personality on the effect of conspicuous consumption on perceived value. Though we are proposing the theoretical model in Figure 1 based on prior literature in this paper, we expect to empirically validate the relationships in the model by collecting data through multiple experiments using Mechanical Turk. Before the data collection, we will go through the IRB approval for the subject pool and research design. As for managers, they can flexibly apply the consumers’ tendency of conspicuous consumption and creativity-seeking personality as market segmentation tool and implement the appropriate marketing strategy to improve new product adoption behavior for better new product performance. First, managers should be aware that conspicuous consumers are not a homogeneous group. They need to understand the heterogeneous drivers of consumers’ motives regarding conspicuous consumption and formulate appropriate marketing strategy to segment them. Second, this research provides some guidelines in new product promotion. For example, advertisement of the new products can highlight the different kinds of value when targeting consumers with different types of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Third, as for sales people, they can provide novel product information to consumers who have tendency to demonstrate uniqueness and provide meaningful product information to consumers who have tendency to demonstrate conformity to increase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s.
        4,000원
        30.
        2016.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진성 리더십이 조직 혁신의 핵심인 창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이 과정에 내재된 메 커니즘의 일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문헌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창의성에 미치 는 진성 리더십의 정적 효과를 검증하고, 이 과정에서 심리적 안전의 매개역할과 구성원 향상초점의 조절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가설의 검증을 위해 공군 장교 상사-구성원 171쌍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 시하고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진성 리더십은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이 이 영향력 과정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진성 리더십은 구성원의 심리적 안전을 높여주고 이로 인해 구성원의 창의성이 증진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심리적 안전과 창의성 간의 관계는 구성원의 향상초점이 높을수록 더 강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결과, 심리적 안전을 통한 진성 리더십의 간접효과는 구성원의 향상초점이 높을 때만 유의 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구성원의 창의성 증진을 위해 상사의 진정성 있는 리더십이 매우 중요하 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진성 리더십과 창의성 간의 관계에 있어서 선행연구에서 고려되지 못한 매개 및 조절변수를 밝힘으로서 이론적 기여 및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아울러 연구의 말미에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5,500원
        31.
        201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creativity-based L2 poem writing (CBLPW) for EFL college students. A total of 40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who were assigned to two conditions-non-creativity and creativity groups. The present study employed pre-, post-, and delayed-tests for creativity using the Torrance Test of Creativity, pre-, post-, and delayed-evaluations of L2 poem writing quality, and pre- and post-questionnaires for participants' affective domain. The results showed immediate and sustained effects of CBLPW on creativity, and writing quality. In addition, an overall positive effect of CBLPW was observed in the affective domain such as interests, confidence, and motivation for the two grou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s could offer students a wide range of creativity techniques in order to enhance their levels of creativity, L2 poem writing quality, and the affective domain of learners.
        6,600원
        3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e nouveau programme d'enseignement du français de 2015 encourage le développement de la créativité et du caractère des apprenants. Le but de cette étude est d'explorer les moyens de développer la créativité et le caractère des lycéens qui apprennent la langue française comme deuxième langue étrangère en Corée. Nous avons d'abord examiné la situation actuelle et quelques problèmes de l'enseignement du français qui entravent le développement de la créativité et du caractère. Cette analyse nous amène donc à exploiter le travail en petit groupe et l'apprentissage par les tâches. Ensuite, nous avons examiné la notion de tâche actionnelle qui remplace celle de tâche communicative. La tâche actionnelle fournit un contexte, une raison « sociale » pour acquérir une langue. Elle est une série d'activités complexes et authentiques qui aboutit à un produit final, destiné à être présenté oralement et/ou par écrit, et donc adressée à un public réel. Enfin, nous avons proposé une tâche actionnelle sur le thème du logement. L'enseignement du français par les tâches actionnelles permet aux apprenants de développer une pensée créative et la diversité avec plus d'occasion de s'exprimer. Et ils peuvent aussi avoir des responsabilités et de la considération pour les autres en interagissant les uns des autres afin d'atteindre l'objectif commun du groupe.
        5,800원
        3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한경쟁 및 기술의 혁신적 진보, 그리고 세계적인 경기부진은 창조경제ㆍ창조경영을 시대적 화두로 만들었다. 그에 따라 많은 조직들이 생존과 번영을 위해 변화와 혁신에 주력하고 있는데, 성공적인 변화와 혁신이 무엇보다도 구성원의 창의성에 뿌리를 둔다는 점에서 경영진들은 구성원의 창의성 증진을 위해 그 어느 때보다도 고군분투하고 있다. 그런데 다수의 연구들에 의하면 리더십은 가장 효과적인 창의성의 결정요인 중 하나이며, 그 중에서도 변화와 혁신에 초점을 둔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은 효과적인 리더십 행동 구성요소 중 하나이자 창의성에 보다 직접적인 것으로 제시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에 대한 선행연구는 제한적이며, 특히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과 창의성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수에 대한 관심은 더욱 미흡하다. 본 연구는 이런 한계를 보완하고자 다음의 두 가지 연구목적을 가지 고 수행되었다. 첫째, 사회학습이론과 심리적 분위기 이론을 기반으로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이 구성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과 창의성 간의 관계에 대한 기존연구 결과를 공고히 하고, 경영진으로 하여금 구성원의 창의성 증진을 위해 무엇보다도 현장의 리더십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리더십 대체이론의 관점에서 변 화지향 리더십 행동과 창의성 간의 관계에 있어서 구성원의 정치적 기술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과 창의성 간의 역학관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인재선발 및 교육훈련에 있어 구성원의 어떤 역량에 집중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군 간부 리더- 부하 199쌍에서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은 구성원의 창의성 과 정(+)적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과 정치적 기술의 상호작용을 확 인한 결과, 구성원의 정치적 기술이 높은 경우에는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과 창의성 간의 정적관계가 유의 한 반면, 정치적 기술이 낮은 집단에서는 유의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이 창의성 에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것이며, 나아가 구성원의 정치적 기술에 따라 창의성에 미치는 변화지향 리더십 행동의 영향력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연구의 말미에 시사점,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5,400원
        3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ttempts to introduce and develop nature experience program utilizing the instructional mixed reality and examines its effects on creativity and young children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that can be found when young children explore and observe nature.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aspects of creativity and nature-friendly ability of young children when experiencing nature with the further activities using the instructional mixed reality. To verify the effect of the instructional mixed reality developed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selected 30 young children who are 5 years old in H child care center located in Seoul. As a research tool, creative test of characteristics for children (K-CTC) produced and standardized by Chung Kyung-won (2003) was used to test creativity. As data analysis methods, SPSS 17.0, T-test, MANOVA test, and repeated measure ANOVA were conducted.
        4,000원
        35.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직에서 상사에 대한 신뢰는 구성원의 내적인 동기부여는 물론이고, 지식공유, 창의성과 같은 조직경쟁력과 관련된 중요한 부분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상사에 대한 구성원의 신뢰가 내재적 동기부여를 통하여 지식공유와 구성원의 창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국내 제조업 32개 한국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사에 대한 신뢰는 구성원의 내재적 동기부여를 강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사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내적으로 동기부여 된 구성원들은 자신의 지식을 적극적으로 공유하도록 하였고, 창의적인 행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재적 동기부여는 상사신뢰와 지식공유, 상사신뢰와 구성원의 창의성 사이에서 부분적인 매개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상사신뢰는 차별적 경쟁력에서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는 지식공유, 창의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다. 이런 영향을 감안할 때 기업조직에서 리더(팀장/부서장)들의 신뢰로운 행동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과 조직관리에서 참고할 만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6,300원
        36.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학생활동중심의 수업방법 개선을 통하여 미래사회에 능동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창의력과 자 기관리 능력의 기본인 자아존중감을 신장시키고자 하였다. 1학년 학생 89명을 대상으로 주 5시간 국어 시간을 4시간은 국어수업, 1시간은 독서시간으로 운영하였다. 국어시간은 다양한 사고력 향상을 바탕으로 한‘생각키움 프로그램’을 구안·적용하여 창의력 신장을 목적으로 하였고, 독서시간은 ‘키움 4단계 독서 로그램’을 구안·적용하여 자아존중감 향상을 목적으로 운영하였다.연구 결과 ‘생각키움 프로그램’을 통하여 학생들의 상상력, 공감능력, 통합적 사고력, 확산적 사고력,논리적 표현력 등을 포함한 창의력이 향상되었다. ‘키움 4단계 독서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어 자신을 삶을 생산적으로 가꾸어갈 수 있는 능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5,500원
        3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최근 창조경제, 창의교육의 화두와 더불어 강조되고 있는 창의 인재 육성을 위한 연구로, 조직 내 리더와 동료의 역할이 중요함을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에 카리스마와 개별적 배려, 지적 자극으로 대별되는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구성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동료협력과 지원의 매개효과를 살펴 구성원이 속한 조직 내 인적환경이 창의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부산과 울산 지역의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최종 142부의 자료를 SPSS 18.0과 AMO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했다.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일반적인 기준을 만족시켰다. 연구결과 변혁적 리더십이 동료협력과 지원에, 동료협력과 지원이 창의성에, 그리고 변혁적 리더십이 창의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동료협력과 지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들에 관해서 논의했다.
        4,800원
        38.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박근혜정부의 창조경제는 국민을 창조활동의 주인공으로 자리매김함으로써 기존의 전문가 중심, 과학기술공급중심의 경제사회발전전략과는 다른 특성을 보여주고 있으나 그 해석과 정책 실행에 있어 그 특징을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창조경제가 주목한 국민의 창의성이 과학기술자의 창의성과 무엇이 다르며, 그것이 정책 패러다임으로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광범위한 문헌 연구를 통해 밝힘으로써 창조경제가 담아내야 할 도전과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민은 사용자로서의 창의성에 더불어 인문학적, 철학적, 윤리적, 경험적 능력을 바탕으로 한 생활인/삶의 주체로서의 창의성을 갖고 있으며 이것은 과학기술자의 창의성과는 구분되는 고유의 창의성이라 할 수 있다. 사용자로서의 창의성, 생활인/삶의 주체로서의 창의성의 발현은 삶의 가치에 대한 선택을 내포하며 이는 소비행태의 변화, 삶의 방식의 변화를 통해 기술 고착, 사용자 고착을 타파함으로써 시스템 혁신을 이루거나 새로운 사회ㆍ기술시스템의 구성 혹은 전환을 촉진할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국민의 창의성은 기존의 전문가/과학기술공급중심 혁신 패러다임이 아닌 사용자/현장중심 혁신 패러다임’의 토대로서 역할 할 수 있다. 따라서 국민의 창의성에 주목하고 있는 창조경제는 사용자/현장 중심 혁신 패러다임의 실현이라는 새로운 경제사회발전정책과제를 안고 있다고 할 수 있다.
        7,800원
        39.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와 니체는 욕망에 대해서 같은 관점을 가지고 있다. 예이츠와 니체는 금욕주의와 달리 욕망을 적극적인 차원에서 사용한다. 욕망이 가진 자연성과 생명성을 드러냄으로써 인간의 성숙과 궁극적인 진리에 이르려 한다. 예이츠와 니체는 이원론에 의한 투쟁과 갈등의 상황을 통해서 진정한 자아상을 추구한다. 그들의 투쟁적 상황은 끊임없이 반복되기에 계속적인 창조적 가치를 산출한다. 그들의 투쟁의 반복성은 헤라클레이토스의 만물은 변화한다는 탈고정성에 뿌리를 두고 있다. 예이츠와 니체의 정신세계는 탈고정성에 따라 끊임없는 투쟁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조해 나아간다. 본문은 이러한 과정을 면밀히 탐구해 나아간다.
        6,100원
        40.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급변하는 경영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조직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창의적 분위기 개념이 중요함에도 실제로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와 관련된 실증적 연구가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IT서비스 분야의 연구개발 조직을 대상으로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의 관계에 대해 검증하였다. 또한 그 관계에 있어 창의적 분위기의 매개효과와 조직구성원의 혁신성향으로 인한 조절효과에 대해서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구성원의 혁신성과의 관계 및 창의적 분위기와 혁신성과의 관계도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창의적 분위기는 변혁적 리더십과 혁신성과 관계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성향의 조절효과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실증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조직의 혁신 성과에 있어서 리더십 과 창의적 분위기 조성의 관련성을 증명하였다. 뿐만 아니라 조직구성원 개인 성향에 대한 이해를 기반으로 창의적 분위기 조성을 위한 리더의 역할이 중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추후 연구를 위하여 선행 연구 모델의 개념을 확장한 ‘창의성 생성 모델’ 개념을 제안하였다.
        8,9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