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8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pider silk, which combines strength and lightness, emerges as an ideal candidate for non-woven fabric production. Unlike synthetic polymeric materials, silk are nontoxic and biocompatible and cause no allergic reaction. In particular, the dragline silk produced by the golden orb-web spider, Trichoephila clavata, is renowned for its superior strength and exceptional mechanical properties compared to other spider silks. Non-woven fabrics have found extensive applications in diverse industrial sectors, owing to their advantageous qualities such as breathability, durability, and lightweight characteristics. Natural dragline silk was extracted from the orb-weaving spider and subsequently randomly arranged. Compressing into a sheet-plane form, in addition to inducing the formation of water-resistant, stable β-sheet structures through ethanol vapor treatment or direct treatment, preserved the morphology of the silk fibers. The resulting non-woven sheets were analyzed with an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to observe their fine structures and mesh size were measured through image analysis.
        2.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먼지 필터 막은 인간의 건강, 안전 및 환경 보호의 몇 가지 중요한 측면에 기여하기 때문에 인간의 삶과 다양한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는 고온 조건에 대한 우수한 열안정성과 접착 특성을 가진 polysulfone@polyphenylene sulfide/polytetrafluoroethylene (PSf@PPS/ePTFE) 복합 먼지 필터 막의 개발을 제시한다. FT-IR 분석은 PSF 접착제가 PPS 직 물에 성공적으로 함침되고 ePTFE 지지체와의 상호 작용을 확인한다. FE-SEM 이미지는 향상된 섬유 상호 연결 및 PSf 농도 와 함께 접착력을 보여준다. PSf@PPS/ePTFE-5는 가장 적합한 다공성 구조를 보여준다. 복합 막은 400°C까지 예외적인 열 안정성을 보여준다. 박리 저항 테스트는 먼지 여과에 대한 충분한 접착력을 보여 공기 투과성을 희생시키지 않고 힘든 고온 조건에서 신뢰할 수 있는 성능을 보장한다. 이 막은 산업 응용 분야에서 유망한 잠재력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최적화 및 응 용 가능성을 탐구할 수 있다.
        4,000원
        3.
        202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radioactive waste repository consists of engineered barriers and natural barriers and must be safely managed after isolation. Geologic events in natural barriers should be categoriz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ir magnitude to assess the present and future stability of disposal. Among the longterm evolutionary elements of natural barriers, faults are a small portion of the Earth’s crust. Still, they play an important role in nuclide transport as conduits for fluids moving deep underground. In addition,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fault rocks are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longterm and short-term behavior of faults. Paleomagnetic research has been used extensively and successfully for igneous, metamorphic, and sedimentary rocks. In addition, magnetic characterization of fault rocks can be used to describe faults or infer the timing of major geological events along fault zones. Components of magnetization defined in fault-breccias were attributed to chemical processes associated with hydrothermal mineralization that accompanied or post-dated tectonic activity along the fault. The study of magnetic minerals in fault rocks can be used as “strain indicators”, “geothermometers”, etc. This study is a preliminary test of magnetic properties using fault gouges. Fault gouges are not well preserved in typical terrestrial environments. Access to fresh gouges typically requires trenching through faults or sampling with a core drill. Fortunately, it is a magnetic property study using a fault gouge that exists on the inner wall of KURT (KAERI Underground Research Tunnel). This is to identify the motion history of the fault and, furthermore, to understand the stress structure at the time of fault creation. In addition, it can be presented as evidence for evaluating faults that may appear in future URL (Underground Research Laboratory).
        5.
        202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similar the virtual fit pants are to the actual fit of stretchable pants. Data is produced using a virtual model to apply movements. The results show that in the upright position, the similarity between the appearance of the actual fit and the virtual fit is high. Results are 4.47, 4.13 and 4.33 out of 5 on the front, side, and back, respectively. The base line of the front and back, and the amount of allowance in each part were well reproduced by the model. The texture of the virtual fit was evaluated and found to be similar to the actual fabric. In terms of shape and number of wrinkles with the virtual fit pants, large wrinkles were better expressed than fine wrinkles. After applying movements to the virtual model, the front and side results were similar to the actual fit, but the back results were different. As a result of multiple comparisons, the greatest difference in similarity by movements is found in the center front line. The similarity difference was lower on the side than on the front. The only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applying movements is in the hip circumference margin. According to movements, the similarity of virtual fit is lower on the back than on the front and side, and the back also has the largest similarity differences to the movements type.
        4,800원
        7.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emand for CFRP with new characteristics is increasing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from parts materials to daily necessities, and research on this is also being actively conducted. CFRP is a material that realizes properties suitable for multiple functions that cannot be seen in a single material by physically combining two or more materials with different shapes and chemical compositions. When machining CFRP using a high-speed steel (HSS) drill or a TiAlN-coating drill with different rotation speed and feed speed, the cutting force was experimentally analyzed and the optimal tool material and cutting conditions were selected. The cutting force according to the change in rotation speed of the high-speed steel drill and the TiAlN-coating drill is compared.
        4,000원
        8.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본 연구에서는 탄소나노튜브 기반의 신축성 직물 센서의 모양과 의복 상 부착 위치가 아동의 사지 관절 동작 센싱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아동의 사지 동작 센싱에 적합한 직물 동작 센서의 요건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 대상 아동에게 2종의 센서 모양과 2개의 센서 부착 위치에 따라 조작된 실험복을 착의시킨 후 60 deg/sec의 속도로, 팔과 다리의 굽힘-폄 동작(60°, 90°의 동작 각도별로 10회씩 3회 반복 동작, 총 60회 동작)에 의한 직물 센서의 신장과 수축에 따른 전압의 변화량을 측정하였으며, 가속도 센서를 함께 부착하여, 센싱 결과의 일치 도를 분석함으로써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아동의 팔과 다리 동작을 가장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직물 센서의 구성 요건은 장방형 모양 센서 및 관절로부터 4㎝ 아래 부위에 부착된 센서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사지 동작 측정에 적합한 직물 센서를 개발하고 관절동작 센싱에 적합한 센서의 모양과 의복 상 부착 위치에 대한 조건 을 분석하였으며, 의복에 통합된 유연한 직물 센서를 활용하여 인체 부위별 동작 센싱이 가능하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4,000원
        9.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마우스 사용 시 손목터널증후군을 예방할 수 있는 스마트장갑을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에 앞서 손목의 좌·우 움직임은 미세하므로 게이지율(Gauge Factor)이 크고, 이력현상(Hysteresis)이 적은 인장 직물 센서가 필요하다. 만능재료시험기(UTM)를 통해 4가지의 직물을 분석하여 각각의 게이지율을 계산하고, 이력현상도 가장 적은 직물을 선택하였다. 또한, 3가지 부착방법을 아두이노로 분석하여 센서값 변화(△Sensor Value) 값이 큰 방법을 선택하였다. 선택된 직물과 부착방법으로 제작한 프로토타입을 아두이노를 통해 데이터 패턴을 분석하였다. 첫 번째 는 센서 1개(A 센서)로만 파악하는 방법이고, 두 번째로는 센서 2개(A, B 센서)로 파악하는 방법이다. 손목 왼쪽(A 센서), 손목 오른쪽(B 센서) 양쪽에 인장 직물 센서를 부착하고, 손목을 오른쪽으로 꺾을 때 A 센서는 늘어나서 △ Sensor Value 값이 커지고, B 센서는 줄어들어서 △Sensor Value가 작아진다. 반면에 손목을 왼쪽으로 꺾을 때는반대로 패턴이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손목이 꺾일 시 LED가 켜지는 알고리즘으로 손목터널증후군을 예방하는 스마트장갑을 연구하였고,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후속 연구에서는 10명을 대상으로 직접 마우스를 사용하면서 실제 사용 시 문제점을 파악하고 파악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4,300원
        10.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ICT 산업의 기술혁신이 일어남에 따라 생체신호을 인식하고 이에 대해 대응을 하기 위한 웨어러블 센싱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단순한 함침과정을 통해 3차원 스페이서(3D spacer)직물 을 단일벽 탄소나노튜브(SWCNT)분산용액에 함침공정을 진행해 단일층(monolayer) 압전 저항형 압력 센서 (piezoresistive pressure sensor)를 개발하였다. 3D 스페이서 원단에 전기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해 시료를 SWCNT 분 산용액에 함침공정을 진행한 후 건조하는 과정을 거쳤다. 함침된 시료의 전기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UTM (Universal Testing Machine)과 멀티미터를 이용해서 압력의 변화에 따른 저항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또한 센서의 전기적 특성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분산용액의 농도, 함침횟수, 시료의 두께를 다르게 해서 시료의 센서로서의 성능을 평가했다. 그 결과 wt0.1%의 SWCNT 분산용액에 함침공정을 2번 진행한 시료가 센서로서 가장 뛰어난 성능 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두께별로는 7mm 두께의 센서가 가장 높은 GF를 보이고 13mm 두께의 센서가 작동범위가 가장 넓음을 확인했다. 본 연구를 통해 3D spacer 원단으로 제작한 스마트 텍스타일 센서는 공정과정이 단순하면서도 센서로서 성능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1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직물형 스트레인게이지 센서의 종류와 측정 위치가 호흡 신호 검출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호흡 신호 측정을 위하여 두 가지 종류의 센서를 구현하고 이를 밴드에 부착하여 호흡 신호를 검출하였다. 20대의 건강한 남성 8명을 대상으로 호흡 측정 밴드 2종을 순차적으로 피험자에게 착용하도록 하였다. 피험자가 편안하게 서 있는 상태에서 분당 15회의 호흡을 동기화시켰다. 30초 동안의 호흡 신호를 측정하고 10초간 휴식을 취하도록 한 후 다시 30초 동안의 호흡 신호를 반복 측정하였다. 측정 위치는 흉부와 복부에서 각각 측정하였다. 또한 동작 상태에서의 호흡 측정 성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피험자를 80SPM의 속도로 제자리에서 걷게 하고 이 때의 호흡 신호를 동일한 실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한편 참조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BIOPAC Systems, Inc.’의 SS5LB를 착용하게 한 후 동시에 측정하였다. 센서의 종류, 측정 위치, 동작 상태의 총 8개 조합의 집단 간 측정 성능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SPSS 24.0을 사용하여 Kruskal-Wallis test와 Bonferroni 사후검정을 실행하였다. 또한 센서 종류, 측정 위치, 동작 상태에 따라 각각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Wilcoxon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동작 상태와 관계없이 CNT기반의 직물센서를 통해 흉부에서 호흡 신호를 측정 했을 때 호흡 신호 검출 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향후에는 야외 환경에서 또는 일상 활동 중에도 동작에 방해 없이 다양한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가슴벨트형 웨어러블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한다.
        4,000원
        13.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high quality dark film honeycomb fabric curtains. The results of producing the prototype for various color tone development, hot melt viscosity, and adhesiveness test for the final prototype were as follows. The hexagonal honeycomb structure is easy to manufacture, has a good coupling force, and has a dark honeycomb fabric curtain. The hot melt condition was obtained with 540g of hot melt and 1.5kg of diluent, 242.3cp, and the curing result was obtained at 140°C. Seven different colors were developed using yellow, red, blue, and white four primary colors. The adhesive force test device was designed to enable more than 5,000 real tests by the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the convenience of the field workers. The size of the test sample was designed to be 1,000mm × 1,200mm. As a result of designing and manufacturing the prototype to attach the monitor and the control device to automatically count, the prototype was made to be measured 10,000 times. The combined force of the honeycomb fabric curtain was maintained after 5,000 tests on the manufactured rock film honeycomb fabric curtain.
        4,000원
        1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웨어러블 광섬유 직물의 주요 요건은 의류에 적용하기 위해 높은 유연성을 전제로 해야 한다는 점과 인체의 평평한 부위뿐만 아니라 굴곡이 있는 구간에서도 발광 효과, 즉 휘도를 유지해야 한다는 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 조건을 충족하는 웨어러블 광섬유 직물의 세부 구조를 직조(weaving) 타입과 자수(computer embroidery) 타입의 2가지 로 제작하였고, 이를 토대로 다음의 두 가지 조건에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첫째, 굴곡이 없는 평평한 상태에서의 웨어러블 광섬유 직물을 1㎝간격으로 총 10개의 측정점을 좌표화하여 그 휘도를 측정하였다. 둘째, 인체 부위 중 입체적 굴곡이 발생하는 팔뚝 부위에 가로 방향으로 웨어러블 광섬유 직물을 배치하고 1㎝ 간격으로 총 10개의 측정점을 좌표화하여 그 휘도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직조(weaving) 타입의 경우, 평평한 상태에서의 휘도값은 최대 5.23cd/㎡, 최소 2.74cd/㎡, 평균 3.56cd/㎡, 표준편차 1.11cd/㎡로 나타났고, 팔뚝 부위에서의 휘도값은 최대 7.92cd/㎡, 최소 2.37cd/㎡, 평균 4.42cd/㎡, 표준편차 2.16cd/㎡로 나타났다. 또한 자수(computer embroidery) 타입의 경우, 평평한 상태에서의 휘도값은 최대 7.56cd/㎡, 최소 3.84cd/㎡, 평균 5.13cd/㎡, 표준편차 1.04cd/㎡로 나타났고, 팔뚝 부위에서의 휘도값은 최대 9.62cd/㎡, 최소 3.63cd/㎡, 평균 6.13cd/㎡ 표준편차 2.26cd/㎡ 나타났다. 즉, 자수(computer embroidery) 타입의 경우가 직조(weaving) 타입의 경우에 비해 더 높은 발광 효과를 보였는데 이는 자수(computer embroidery) 타입의 세부 구조가 배면 소재로 인해 빛의 손실을 줄일 수 있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또한 두 타입 모두에서 팔뚝 부위의 휘도가 평평한 상태에 비해 각각 124%, 119%로 나타나, 인체의 굴곡에도 본 웨어러블 광섬유 직물의 발광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빛의 파동설을 정의한 호이겐스의 원리(Huygens’ principle), 빛 파면의 진행 방향과 이루는 각도(θ)의 크기에 커지면 이와 비례하여 빛의 세기도 커진다는 호이겐스-프레넬-키르히호프 원리 (Huygens-Fresnel-Kirchhoff principle)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4,000원
        16.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마찰 시 직물의 면적을 증가시켜 에너지 수확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입체 자수 기법 및 전도성 직물 재료를 탐색하고, 둘째 높은 효율을 보이는 입체 자수 기법을 토대로 브러싱 가공을 실시하여 가공 후의 발생 전압을 분석하며, 셋째 이를 근거로 마찰 에너지 수확 증대형 직물의 구조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의 두 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Ⅰ”에서는 인체로부터 마찰 에너지를 수확하는 효율에 영향을 미치는 직물 내 주요 변인으로, 1) 입체 자수 기법(사틴 기법, 파일 기법), 2) 전도성 직물 재료(구리 기반 MPF, 니켈 기반 MPF)를 선정하고, 이 두 변인들의 조합에 따른 4개의 시료를 제작하여 마찰 시 발생 전압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Ⅱ”에서는 높은 효율을 보이는 입체 자수 방식의 시료를 대상으로 브러싱 가공을 실시하여 가공 후의 발생 전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전도성 직물 재료 모두에 있어서 파일 자수 직물 구조가 사틴 자수 직물 구조에 비해 높은 마찰 에너지 수확 효율을 보였고, 이러한 결과는 마찰 면적에 따른 전하 밀도와 발생 전압이 비례하는 마찰 에너지 수확의 원리와 일치하였다. 이를 통해 마찰 면적이 큰 파일 자수 직물 구조가 마찰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은 사틴 자수 직물 구조에 비해 에너지 수확 효율을 증대시키는데 유리한 방식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브러싱 가공 후의 에너지 수확 효율도 마찰 면적 증대로 인해 가공 전에 비해 높게 나타나, 브러싱 가공 방식이 마찰 에너지 수확 증대에 있어서 유리한 가공 방식임을 알 수 있었다.
        4,000원
        17.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18.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ports wearables. It was conducted by a convergence team of professionals in the fashion industry, kinesiology and sports studies, and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design and develop a fabric-type fitness band for a sensor to measure acceleration during jump rope exercises. Computer science and engineering professionals developed the Arduino board and sensor, kinesiology and sports studies provided the necessary exercise protocol, and the fashion industry professionals developed the band. First, a fitness band preference survey was completed by men and women between the ages of 20 and 50. Typical uses of the band included tracking exercise amount as measured by the number of steps taken and calories burned. Strap watch closure, a single color and achromatic color, and soft and smooth touch materials were preferred as band design. Second, two fabric-type fitness bands were designed and developed. Design 1 had a 3-dimensional pocket for the sensor, bright blue color, and stretch binding around the edges and for a loop. Design 2 had a flat pocket for the sensor, achromatic color, mesh binding around the edges and two metal loops. Both designs had Velcro as a closure. Third, wear testing of both bands with the sensor were conducted of 15 women in their 20s. They wore the bands during jump rope exercises. Both bands generally satisfied the participants. The Design 2 band was slightly more satisfying than the Design 1 band.
        5,100원
        19.
        2018.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ontribution of Indonesia's economic creative to total Gross Domestic Product (GDP) increased for about 7.38%. To support the development, Indonesian Agency for Creative Economy continuous to improve its performance conducting a capacity building plan and one of them is through product innovation and promotion. In order to create innovation, there are many information and skill that individual party may not have. As a solution, collaboration can be the chosen strategy to develop innov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approaches, mapping stakeholders, and understand the operation in collaboration and promotion of Noesa as Indonesian fashion brand and Watubo rural artisans. The method used is exploratory analysis identify through the condition theory by Drucker (1993) with short ethnography stud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effective and efficient approach to conduct collaboration between fashion brand and rural artisan, in production and promotion of indigenous fabric.
        20.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paper presents an experimental study on shear behavior of RC beams retrofitted with Uni-Directional Narrow Fabric to improve seismic performance. Experimental parameters include the type of fiber, spacing of the fiber, and the ratio of transverse reinforcement. Also, Static loading test was performed on twelve shear-critical specimens. An experimental result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contribution of shear strength and failure modes of the specimens retrofitted or strengthened with Uni-Directional Narrow Fabric compared to the non-retrofitted the specimen. In order to derive the shear strength model according to the spacing of the fiber,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hear strength model of RC elements retrofitted with FRP.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