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5

        21.
        2018.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목과 접수의 결합 단계에서 나타나는 스트레스를 오이접목묘의 엽록소형광반응, 엽록소함량, 활착 및 생장 특성 측면에서 분석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활착실 내의 광합성유효광양자속은 25, 50, 100, 150μmol·m-2·s-1의 4수준으로 설정되었고, 기온, 상대습도 및 LED 램프의 광주기는 각각 25oC, 90%, 16h·d-1이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목의 최대양자수율은 0.84-0.85로서 광량에 따른 분명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접수의 최대양자수율은 접목 후 2일째에 0.81-0.82로 낮게 나타났으나, 3일째부터 광량이 높을수록 접수의 최대양자수율이 증가하였다. 활착 후 4일째에 측정된 접수의 엽록소함량은 광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오이접목묘의 활착율은 광량이 100μmol·m-2·s-1 이하일 때 90-95% 정도로 높게 나타났으나, 150μmol·m-2·s-1의 처리구에서는 80% 정도로 저하되었다. 광주기에 따라 다르나, 오이접목묘의 활착에 적합한 한계 광량은 플러그 트레이 표면에 조사된 광량을 기준으로 100μmol·m-2·s-1 정도이다. 본 연구에서 처리된 광강도 하에서 활착된 오이접목묘의 발근에 최소 2일이 소요되었고, 이 기간에 접수의 최대양자수율은 최저치로 나타났다. 활착 단계에서 조사되는 광량에 따라 대목과 접수의 변이형광과 최대양자수율이 다르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접목묘의 활착 단계에서 나타나는 스트레스를 줄이면서 대목의 발근을 촉진하고, 접수의 최대 양자수율이 급격하게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려면 광 및 습도 등의 물리적 환경이 정확하게 제어되어야 한다. 향후 접목묘의 활착 단계에서 대목의 발근, 통도조직의 결합 상태, 수분의 이동에 따른 엽록소함량 변화를 정량적으로 구명할 필요가 있다.
        4,000원
        22.
        2018.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wo different emitting compounds, 1-[1,1;3,1]Terphenyl-5-yl-6-(10-[1,1;3,1]terphenyl-5-ylanthracen-9-yl)-pyrene (TP-AP-TP) and Poly-phenylene vinylene derivative (PDY 132) were used to white OLED device. By incorporating adjacent blue and yellow emitting layers in a multi-layered structure, highly efficient white emission has been attained. The device was fabricated with a hybrid configuration structure: ITO/PEDOT (40 nm)/PDY-132 (8∼50 nm)/NPB (10 nm)/TP-AP-TP (30 nm)/Alq3 (20 nm)/LiF (1 nm)/Al (200 nm). After fixing TP-AP-TP thickness of 30 nm by evaporation, PDY-132 thickness varied with 8, 15, 35, and 50 nm by spin coating in device. The luminance efficiency of the white devices at 10 mA/cm2 were 2.93 cd/A∼6.55 cd/A. One of white devices showed 6.55 cd/A and white color of (0.290, 0.331).
        24.
        2017.1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sions of a mouse collagen antibody-induced arthritis (CAIA) model using fluorescence bioimaging and micro-computed tomography (micro-CT) and to compare it with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Twelve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group 1 (G1) as control, group 2 (G2) as fluorescence probe control and group 3 (G3) as collagen antibodyinduced arthritis. The mice of G3 intravenously received anti-type II collagen 5-clone antibody cocktail (2 mg/mouse) on day 0 and intraperitoneally received lipopolysaccharide (50 μg/mouse) on day 3. On the while, the mice of G1 and G2 received 0.9% saline in equal volumes at equivalent times. Fluorescence bioimaging and micro-CT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assess arthritis. Treatment with the collagen antibody cocktail increased the paw thickness of mice compared to those in both the control and probe-treated groups. Fluorescence bioimaging using a near infrared imaging agent showed high intensity in the joints of collagen antibody- treated mice, whereas those of control mice showed no signal. Micro-CT analysis of the knee joints of collagen antibody-treated mice showed rough and irregular articular appearance, whereas those of control mice showed normal appearance.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knee joints of collagen antibody-treated mice revealed destruction of cartilage and bony structure, synovial hyperplasia and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No cartilage destruction or inflammation was observed in control or probe control mice. Taken together, it is concluded that analyses of fluorescent bioimaging made it possible to evaluate CAIA lesions, comparable with those by micro-CT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in mice.
        4,000원
        25.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teractions between starch and starch - derived materials and fluorescent materials. Many researchers have used fluorescent materials to monitor the internal structure of starch, which is an effective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internal structure of starch by using fluorescent material and to check how much fluorescent material could be loaded inside the starch. For this, a standard curve of the fluorescent material was obtained and a linear graph corresponding to the concentration was obtained. Next, the incorporation of the fluorescent material into the starch was confirmed by CLSM in the infusion experiment. Infusion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quantify the amount of fluorescent substance in starch, but the error was confirmed in this experiment. The error was caused by the action of starch and the fluorescent substances FD4 and NaFl, resulting in an increase or decrease in fluorescence intensity. To find the cause, dextrin, amylose and amylopectin, which are starch-derived substances, and α, β, γ-cyclodextrin, which can form inclusion compounds, were used. The fluorescent materials were merbromin, NaFl, and FITC. As a result, the fluorescence intensity of the fluorescent material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the concentration of amylose and amylopectin. This result implies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analysis of the phenomenon or observation of the starch using the fluorescent substance. We still do not know exactly the cause of this phenomenon, so further research is needed.
        26.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Defects of zeolite membranes often lower their separation performance. Thus, the investigation of the defects is highly critical in achieving high separation performance. While general characterization methods (e.g.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at examine the membrane surface cannot detect defects, the FCOM measurement is able to identify the defective structure inside the zeolite membrane using dye molecules of appropriate size [1]. In this work, various dyeing conditions (times and concentrations) were applied to a MFI zeolite membrane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defective structure. Furthermore, the quantitative analysis is practiced to measure the defects in numerical form.
        27.
        2017.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미국 Lick 천문대에서 위상이 다른 세 시기에 공생별 AG Peg을 분광 관측하고 방출선 H I, He II, O III를 조 사하였다. 6개의 O III Bowen 선의 FWHM과 선세기를 측정하고 형광 기작 효율을 연구하였다. 세 시기의 O III 일반 선과 Bowen 선의 평균 FWHM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선세기 비는 약 4.0 배 정도로 O III Bowen 선이 높았다. O III Bowen 선의 이론적 세기 비와 관측 세기 비를 비교한 결과, O III λ 3759.87만 제외하고 관측한 세기가 이론적 세기보 다 크다는 사실을 알았다. O III λ 3791.26과 3754.67의 선세기 비는 세 시기 중에서 2001년도만이 Saraph and Seaton (1980)의 모델과 잘 일치하였다. 다른 두 시기는 AG Peg의 효율(R)을 구할 수 없었으나 2002년은 R=0.47을 얻었다. 이 때문에, 2002년 효율 결과를 기초로 He II λ 4685.68에 대한 O III 일반선과 Bowen 선의 세기 비를 구하여 시기에 따른 효율 변화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AG Peg의 효율은 1998년이 가장 높았고 2001년이 가장 낮았다. 결론적으로, 위상에 따른 효율 변화는 이온화된 가스의 전자 온도 변화에 기인하는데, AG Peg의 효율은 전자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있다. 우리 연구 결과는 선세기 비 및 효율의 경향성 파악과 공생별에서 이온화된 껍질의 물리적 조건을 이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4,900원
        28.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karyotype analysis of five wild rose species (Rosa helenae, R. mulliganii, R. multiflora, R. rubus, and R. solieana) was performed using bicolor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All five species were found to be diploid (2n = 2x = 14). The chromosome length in the metaphase stage ranged from 1.29 to 2.05 μm in R. helenae, 3.32 to 6.82 μm in R. mulliganii, 1.58 to 2.24 μm in R. multiflora, 2.05 to 3.46 μm in R. rubus, and 1.62 to 2.46 μm in R. solieana. The chromosomes were either metacentric or submetacentric, with no subtelocentric or telocentric chromosomes being observed. Each p air of 5 S and 4 5S rDNA sites was detected at the proximal region of the long arm and the terminal region of the short arm of chromosome #7, respectively.
        4,000원
        30.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에서 나노 알루미나와 마그네지아의 첨가에 의한 304 스테인레스 스틸에 170 ℃ 2시간 열 경화시켰다. 레이저유도 분광학에 의한 코팅된 시료를 전하결합 장치와 SEM을 활용한 장치를 설계 하여 시험 측정하였다. 이 결과 나노 알루미나와 마그네지아가 함유된 세라믹 코팅이 나노 무기화합물이 함유되지 않은 시료보다 부착성,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였으며, 또한 산용액속에서 시료의 질량감소의 변화가 매우 작았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304 스테인레스 스틸의 내부식성을 개선하기 위해 시료가 코 팅되었으며, 분석공정이 설계되어 고분해능 CCD와 함께 분석되었다. 요즈음, 스테인레스 스틸의 코팅은 산업에 특이응용이 발전됨에 따라 위생학, 우주항공, 기기장치, 관측 등의 분야 등에 산업적 요구가 증 가되고 있다.
        4,000원
        31.
        2016.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graphene oxides (GOs) were tested as a fluorescent quencher in the field of DNA-diagnostics. The various suspensions of GO nanoplates were prepared by changing the synthesis conditions. The suspensions were stable for at least 6 weeks by differing degrees of functionalization of various oxygen-containing groups of atoms. Depending on the properties of GO nanoplates, their fluorescent quenching abilities, which were determined by the amount of the tagged immobilized oligonucleotide, were also changed. GO suspension synthesized at 75 oC of reaction mixture showed the fluorescent quenching of 16.39 nmol/mg, which would be a potential substitution of molecular fluorescent quencher in test-systems for DNAdiagnostics.
        4,000원
        32.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propyl-N,N-dimethylethanolamine의 산란혼탁매질에서 형광, 산란과 응집의 영향은 파장과 산란된 형광세기로 나타내는데, laser induced fluorescence(LIF) 분광학에 의한 분자특성으로 나타난다. 산란매질에서 광학적 효과는 광학적 파라미터들(μs, μa, μt)에 의해 표현되고 응집은 고-액상 분리공정에서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입자가 서로 접근될 때 콜로이드 입자들의 상호작용을 LIF와 응집효과로 분석하였다. Monte Carlo simuation과 실험으로 레이저 광원에서 검출기까지 거리의 함수에 의해 농도가 묽어짐에 따라 산란세기가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유지화학, 생의학, 레이저 의학, 의공학 분야적용에 LIF와 입자이동 현상은 아주 적합한 모델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4,000원
        33.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들메나무, 버드나무, 참조팝나무, 신나무, 다릅나무, 호랑버들 6종의 식물을 심적 산림 습지 내에서 생육하는 개체와 습지 밖의 산지사면에서 생육하는 개체의 광합성 특성과 엽록소 형광반응의 차이를 조사하여 습지환경이 이들 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참조팝나무와 들메나무의 경우 습지 내 생육하는 개체가 산지에서 생육하는 개체에 비하여 기공전도도의 저하로 인해 대기로부터 CO2와 수분의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여, 증산량 감소, 기공제한 증가 및 엽육세포 내 CO2 농도 감소 등 광합성 활성에 관련하는 반응들이 상대적으로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참조팝나무는 습지에서 생육하는 개체가 산지에서 생육하는 경우보다 광계 Ⅱ의 광화학반응 과정에서 에너지 전달 효율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광합성 기구의 활력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산지와 습지환경의 차이가 광합성 반응 및 엽록소 함량의 변화를 가져오며, 수종마다 다른 경향을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300원
        35.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혼탁매질에서 형광, 산란과 응집의 영향은 파장과 산란된 형광세기로 나타내는데, laser induced fluorescence(LIF) 분광학에 의한 분자특성으로 나타난다. 산란매질에서 광학적 효과는 광학적 파라미터들(μs, μa, μt)에 의해 표현되고 응집은 고-액상 분리공정과 Photodynamic therapy에서 중요하게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입자가 서로 접근될 때 콜로이드 입자들의 상호작용을 LIF와 응집효과로 분석하였다. 우리는 레이저 광원에서 검출기까지 농도의 함수에 의해 in vitro 시료의 산란과 형광 스펙트라를 측정하였다. 산란계수 μs는 산란체의 입자가 증가함에 크게 나타났다. 그리하여 Phorphyrin A 는 Phorphyrin C보다 산란세기는 증가하였으나, 침투깊이 δ는 감소하였다.
        4,000원
        36.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저장기간에 따른 돈육의 신선도 변화측정을 위하여 돈육의 형광 반응을 측정 하였다. 형광 방출-조사 메트릭스를 측정하여 저장기간별 돈육의 부패 정도를 가장 잘 구분 할 수 있는 최적 형광 파장을 찾고자 하였다. 등심의 경우 조사광 420 nm, 방출파장 569 nm, 삼겹살의 경우 조사광 430 nm, 방출파장 636 nm이 저장기간에 따른 신선도 변화 측정을 위해 가장 적합한 파장임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ZnPP와 PP 성분의 형광 반응 영역과 일치하였다. 형광 반응측정에서 얻은 상대 형광강도 값과 돈육의 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측정값을 선형회귀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선형회귀 분석 결과 등심의 결정계수(R2)는 TBARS, TBC, VBN, pH가 각각 0.693, 0.822, 0.869, 0.632로 나타났다. 삼겹살의 경우는 TBC값이 0.577로 가장 높은 결정계수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정 파장 영역의 돈육의 형광 값이 돈육 신선도와 관련된 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인자들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형광측정기술이 돈육의 신선도를 간편하고 빠르게 그리고 비파괴적으로 예측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4,000원
        37.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 L.)와 동백나무(C.japonica L.), 제주지역의 주요 과수작물인 귤나무(Citrus unshiu M.) 잎을 대상으로 엽록소형광과 CO2 흡수능을 비교 분석하여 탄소흡수원으로서의 가치를 평가하고자하였다. 차나무의 CO2 고정율은 같은 과의 동백나무보다 높고 과수작물인 귤나무와 유사하였다. 기공전도도 (gs)는 3종 모두 새벽에는 높고 이후 저녁 시간까지 계속하여 감소하였다. 엽육 내 CO2 농도 (Ci)는 3종 모두 새벽(06:00)에 높고 낮에 감소하였다가 저녁에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잎의 증산율 (E)은 낮 시간에 높아졌다가 저녁에 감소하였다. 차나무에서 광계II의 광화학적 효율(Fv/Fm)은 낮시간에 다소 낮아졌다가 저녁에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낮시간의 Fv/Fm 감소는 광억제의 결과로 보이며 그 감소폭이 동백나무보다 적어 빛이나 고온 등에 내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엽면적당 활성상태의 반응중심의 상대적 밀도를 의미하는 RC/CS는 3종 모두 낮시간에 감소하였다. ABS/RC, TRo/RC, ETo/RC와 DIo/RC는 차나무와 동백나무에서 낮시간에 증가하였으며, 귤나무에서도 낮시간에 증가하였으나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동화율은 차나무가 320.1 mmol m-2 d-1로 가장 높았으며, 귤나무와 동백나무는 각각 292.5 mmol m-2 d-1와 244.8 mmol m-2 d-1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차나무는 광합성율이 높고 낮 시간의 광억제도 낮을 뿐만 아니라, 귤나무보다 수분요구량이 낮고 수분이용효율은 높아 탄소흡수원으로서 유용한 작물수종인 것으로 보인다.
        4,000원
        39.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사일리지용 옥수수 교잡종을 인공기상실에서 온도조건 시험 1) 21±3oC와 시험2) 24±3oC에서 포트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인공강우 첫째 날은 100 mm를 관수하였고 둘째 날 이후부터는 50 m씩 관수하였으며 시험 1에서는 3엽기부터 시험 2)는 5엽기부터 관수를 시작하였다. 본 시험에서는 습해저항성을 포장상태가 아닌 포트재배조건에서 미리 평가하여 선발을 용이하게 하고 선발기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본 시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시험 1)에서는 관수처리 5일차에 형광의 변화가 급격하여 옥수수 자원간에 범위가 매우 크게 나타나 분류에 매우 유리하였다. 시험 2)의 5엽기 관수처리조건에서는 옥수수 자원간에 형광값의 범위가 작았다. 관수 처리 후 건조 시일의 경과에 따라 형광값의 상승효과가 나타나 토양이 건조시에는 내습성 자원선발에는 다소 불리하였다. 3엽기 관수처리는 건조를 하여도 형광값의 상승이 적어 회복이 어려웠다. 5엽기 관수처리는 관수처리에 따른 형광값의 변화가 늦어 건조 후 회복속도가 매우낮았다. 옥수수 습해 처리에 따른 내습성 계통 선발은 비파괴적인 방법으로 생육 초기에 간단한 형광 측정에 의한 내습성구분이 가능하였다.
        4,000원
        40.
        201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ancidity of soybean (Glycine max L.) in powder forms was evaluated by fluorescence spectrum test (FST). The results from the FST were validated by comparing those of 2-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and acid value. The storage temperature and time of soybean powders were at the room temperature, 50, and 90oC for 20 days. The maximum excitation and the maximum emission of fluorescent compounds generated from the soybean powder during storage were observed at the wave length of 360 nm and 430 to 440 nm, respectively. The mean particle size of soybean powder was controlled to be 40 μm. The FST results showed that the lipid oxidation during storage at room temperature and 50oC was not progressed actively (p < 0.05), but dramatically progressed at 90oC. All the values at room temperature and 50oC showed a similar pattern during storage. But, at 90oC, the FI (fluorescence intensity) values and the acid values showed similar pattern.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FST might be useful to measure the rancidity of soybean powder because FST did not require oil extraction to measure the rancidity.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