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22.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ny empirical findings of previous studies have suggested a connection between motivational factors and L2 writing. Nonetheless, the impact of motivational factors on the genre-based L2 writing has not gained much attention.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extent to which the characteristics of two writing tasks involving different genres interact with a learner’s motivational disposition (regulatory focus) and, further, affect language production of writing. 106 essays collected from 53 university EFL learners were assessed in terms of linguistic complexity and accuracy. 2X2 ANOVA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main effects of genre on lexical complexity (lexical variation and MSTTR). More importantly, there wer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enre and regulatory focus on both measures of the syntactic complexity (mean length of T-unit and clause per T-unit) and lexical complexity (lexical density). The findings highlighted the significance of learners’ motivational dispositions in genre writing. Drawing on the findings, some pedagogical suggestions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writing tasks on L2 development were proposed.
        6,400원
        2.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cess-genre approach on EFL learners’ writing improvement. A total of 48 Chinese college freshmen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high-level (n=20) and low-level (n=28) groups. All the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by the same teacher in the College English class for 14 weeks, during which they were taught how to compose in three writing genres: narration, exposition, and argumentation. After comparing the writing scores of pre- and post-tests from both group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processgenre approach is helpful in enhancing the EFL learners’ writing competence because both groups of students had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writing abilities. Besides, both group learners attained a salient achievement in expository writing after they were trained by the process-genre approach. Compared with the high-level learners, the low-level learners made larger progress in all three writing genres. It indicates that enough teaching time and teacher’s scaffolding systems are crucial for the learners’ writing development.
        5,700원
        3.
        2019.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resent study examined how writing tasks in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under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eflected the key writing elements (process, genre, and context) of process-genre based approach. Concerning the latter, the focus was narrowed to audience since it was relatively neglected in writing instruction compared with other contextual factors. For this study, we analyzed 335 writing tasks in ten English textbooks for 1st- and 2nd-year high school students. Results showed that writing tasks largely incorporated the process-genre based approach. However, pre-writing activities mostly scaffolded the organization of ideas, rather than generated them. In the post-writing phase, editing was not targeted in some writing tasks. Both the diversity of genres/subgenres and genre awareness activities were also lacking. In addition, few writing tasks targeted the development of audience awareness through explicit activities. These findings provide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writing task and curriculum development for material writers, curriculum designers, and practitioners.
        6,300원
        6.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홍콩에 거주하고 있는 대부분의 외국 학생들은 작문이 중국어를 학습할 때 겪 는 가장 큰 어려움이라고 말한다. 최근 장르 교육법(genre teaching approach)은 학습자의 읽기 능력과 작문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있어 여러 많은 방면에서 활용 되고 적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장르 교육법을 중국어가 모국어가 아 닌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운영하여 그들의 글쓰기 능력을 측정하고자 한 다. 이를 위해 홍콩대학에서 운영중인 “非華語 학생을 위한 중국어 학습 계획”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 중 한 반을 선택하여 그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수업 관 찰과 심층 인터뷰, 학습 전후의 문장 분석과 작문 능력을 비교하여 봄으로써, 두 번의 실험을 통해 우리는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에 효과가 있는가를 살펴 볼 수 * 香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중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학생들은 장르 교육법을 통해 교육 받 기 전과 후에 2번에 걸친 글쓰기 능력에 큰 차이가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교육 받기 전의 작문은 그 체제가 비교적 산만하였으며, 서술 문장의 문체적 특징이 무 엇인지도 보여지지 않았다. 반면 교육 후에는 그 체제가 비교적 형식을 갖추었고, 서술 문장의 문체적 특징도 전개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생들과의 심층 인터뷰 를 통해 우리는 장르교육법이 중국어가 모국어가 아닌 학생들의 중국어 작문 능 력을 향상 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6,400원
        7.
        2012.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genre-based in-class L2 writing instruction on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riting ability and their perception change toward L2 writi ng.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595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third grade from two co-ed schoo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Korea. Five sessions of writing instruction using a dialY genre over five weeks were provided to an experimental group, while no explicit writing instruction was provided to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posed to 13 writing sample texts, analyzed and identified the characteri stics of the target genre, and then constructed a diaty text in collaboration with their peers. Following the treatment, both groups were required to write a diaty ently in 40 minutes atld the students' writings were rated on content, organization, and language use.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with explicit genre-based L2 writing instl·uc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each categOlY in the post-test. In addition, a set of questionnaires and interview data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attitudes and perceptions toward L2 writing were positively affected.
        8,100원
        8.
        2012.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For the vast majority of non-Chinese speaking (NCS) students in Hong Kong, writing is the greatest difficulty they encounter when studying Chinese. Thus, giving support to improve NCS students’ Chinese writing is currently urgent. In recent years, Genre Teaching Approach is a widely used teaching method to improve students' reading and writing skills. This study attempted to use Genre Teaching Approach to teach NCS students to learn narrative writing. The researchers selected one class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ent Support Programme (SSP) in the University of Hong Kong as research participants. Through classroom observation, interviews and text analysis of students' pretest and posttest essays, we explored the effectiveness of Genre Teaching Approach for improving NCS students' writing skill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narrative writing performances of the NCS students. Before Genre Teaching Approach was adopted in teaching, their composition structures were unorganized and did not exhibit the stylistic features of narrative writing. But after they were taught by Genre Teaching Approach, their compositions were well-structured, and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writing. Finally, according to th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we could further confirm that Genre Teaching Approach helped to improve NCS students’ Chinese writing ability.
        9.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교육과정에 있어서 의사소통능력이 강조됨에 따라서 듣기, 말하기가 특히 강조되는 반면, 읽기와 쓰기 즉, 문자언어에 관한 학습능력 역시 같이 향상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많았고, 학교단위 수준에서 보면 오히려 부정적인 견해도 많았다. 이것은 알파벳, 단어, 문법, 구문, 독해로 이어지는 기존의 일반적인 상향식 학습의 폐해로 여겨지기 때문에, 문자언어에 미숙한 중학생이라 할지라도 텍스트 전체로부터 접근하는 하향식 읽기 방법을 접목할 필요가 있다. 글의 전체적인 구조와 전개방식에 대해 배경지식을 가진다면 읽기가 훨씬 수월해 질 것이기 때문이다. 쓰기의 경우에도 빈칸 채우기나 문장 단위의 통제되거나 유도된 수준에 그치는 경우가 많고, 실생활에 필요한 자유 작문 형태의 쓰기 학습은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문제 역시 영어교사들이 자유 작문을 시도해 볼 신뢰성 있는 틀이나 형식이 없기 때문에 그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실제로 수업에서 적용키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 같은 상황을 학생과 교사 입장에서 개선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서, EFL(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상황 하에서 읽기와 쓰기를 체계적으로 연계시킨 좀 더 새로운 학습방법이 고안될 필요가 있었다. 본 논문은 비교적 최근의 이론인 과정-장르 중심 접근법에 이론적 근거를 두고, 장르별로 텍스트의 전체적인 구조와 언어적 특징을 구별하고, 이것을 쉽게 도식화한 스켈레톤 다이어그램을 그려 봄으로써, 읽기와 쓰기에 동시에 효과적인 새로운 접근법을 구안하였다.
        5,200원
        12.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장르 분석 및 레지스터 분석을 통해 중학생들의 지구과학 주제 글쓰기의 언어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는 7, 9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지구 온난화'와 '암석의 분류' 주제 글쓰기를 실시하여 얻은 학생들의 글쓰기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장르별 글쓰기에 익숙하지 않았으며 특히 논설장르 글쓰기에 많은 어려움을 보였다. 둘째, 내용과 논리관계의 특징으로 정의나 분류와 같이 한 부분을 다른 부분과 관련시키는 관계적 술어보다는 행동 및 하는 것을 의미하는 현상적 술어와 부가적 논리 관계가 많이 나타났다. 셋째, 상호관계적 표현의 특징으로 글 속에서 글의 주체, 글쓴이의 감정, 주관적 의견들이 많이 드러났으며,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에 대해서 확신을 가지지 못하고 불확실성을 드러내었다. 넷째, 텍스트 구성의 특징으로 대부분의 학생들이 부가 접속사를 통해 단편적인 정보들을 나열하였으며, 체계적이며 논리적인 글을 쓰는데 익숙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적 소양의 함양을 목표로 하는 과학 학습에서 과학 글쓰기가 강조되어야 하며 국가 교육과정차원에서 체계적인 계획뿐만 아니라 과학 글쓰기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향상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4,800원
        13.
        2006.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300원
        14.
        200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6,1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