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9

        42.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시험은 찰벼의 수량제한요인을 알아내기 위하여 찰. 메근동질유전자 계통인 화청찰벼와 와청벼를 공시하여 공급부위(잎)와 수용부위(영화)의 조절이 등숙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찰벼의 수량증대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삭당 총립중과 편균립중의 감소경향은 두 품종 모두 차엽처리구 < 지엽처리구 < 상위 1, 3엽처리구 < 상위 1,2엽처리구 < 상위 1, 2, 3엽처리구 순이었다. 상위 1, 2, 3엽 제거에 의한 총립중과 평균립중의 감소율은 화청찰벼에 비하여 화청벼에서 컸다. 2. 화청벼와 화청찰벼 모두 전엽처리에 의한 고밀도립비율과 등숙율이 2차지경보다 1차지경에서 높았다. 3. 화청벼와 화청찰벼 모두 영화의 절제처리에 의하여 이삭당 총립수와 총립중이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한 반면 평균입중과 등숙율은 증가되었다. 대조구와 비교한 평균입중의 증가율은 1, 2차지경립 및 상. 하위지경립의 절제구 모두에서 화청찰벼가 화청벼보다 높았다. 4. 영화의 조절의 의하여 두 품종 모두 고밀도립비율과 등숙립비율이 증가되었으며 고밀도립비율은 화청찰벼가 화청벼에 비하여 높았던 반면에, 등숙립비율은 화청벼에서 높은 결과를 보였다.
        43.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ongjinchalbyeo” is a new japonica glutinous rice cultivar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Milyang95 and SR11155-4-2/Toyonishiki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the National Ho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NHAES), RDA, in 1998. This cultivar has a sho
        44.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olhyangchalbyeo", an aromatic and glutinous rice cultivar, was developed by the rice breeding team of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RDA during the period from 1991 to 1999 and released in 2000. The cultivar i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Miyagaori
        46.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ull grains segregated from F3 and F4 of the crosses between two dull mutants and a glutinous cultivar were compared with non-glutinous and glutinous segregants for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Amylose content of dull rice grain segregated from the dull/glutinous cross showed the intermediate value between glutinous and non-glutinous rice grain, whether it is controlled by the recessive or dominant gene. Alkali digestibility value (ADV) of dull rice grain was lower than that of glutinous or non-glutinous rice. A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ADV and amylose content of homozygous non-glutinous or dull F4 grains, but a negative relationship was observed in glutinous grains. Protein content of dull grai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lutinous or non-glutinous grain segregated from the same cross, while those of glutinous and non-glutinous grains were not different. Among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initial pasting temperature and peak viscosity of dull grains were higher than glutinous rice, and were not different with non-glutinous grain. Hot, cool and consistency viscosities of dull grain were intermediate between glutinous and non-glutinous rices. Dull grains showed the highest breakdown viscosity and the lowest setback viscosity among the three endosperm types.
        47.
        1999.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rty-eight glutinous rice varieties were classified into nine groups on the scatter diagram by the upper two principal components (56% contribution to the total information) based on eleve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viscograms and physical properties of cooked rice.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was the factor mainly associated with the viscogram characteristics of rice flour emulsion and the second was the factor chiefly related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cooked rice and water absorbability of rice grain. Indica glutinous rices we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japonica ones by the first principal component score. Javanica glutinous rices were widely distributed on the intermediate zone between indica and japonica or on several japonica rice groups. Significant positive or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water absorption rates of rice grain, physical properties of cooked rice, and viscogram characteristics of rice flour. Especially in japonica glutinous rices, the breakdown and setback viscosities of rice flour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alkali digestion value of milled rice and the stickiness of cooked rice. The frequency ratio of short glucose chains (A-chain) to intermediate glucose chains (B-chain), the ratio of B- chains to long glucose chains (C-chain) and the relative frequency of A- or B-chain fractions representing the amylopection structure of rice starch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breakdown and setback viscosities of rice flour
        48.
        199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of 111 glutinous rice varieties were evaluated by Rapid Visco Analyzer. Gelatinization viscosity of glutinous rice tested varied with ecotypes or varietal groups: indica, japonica, and Tongil type. Indica rice showed the highest average value of initial pasting temperature. The average values for peak, hot, and cool viscosities were highest in Tongil-type rice, and lowest in japonica rice. Japonica showed the lowest breakdown and consistency, but the highest setback value. Indica was lower in alkali digestion value (ADV), and shorter in gel length after gelatinization thanjaponica and Tongil-type. Glutinous rices tested could be divided into six groups by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ir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Group I-A was mostly early maturing japonica varieties while I-B was mostly indica and Tongil-type rices. Groups II-A and II-B were consisted of very early maturingjaponica, and III-A and III-B included medium or medium late maturingjaponica varieties. Group III-A showed the lowest average values of peak, hot, cool, and consistency viscosities, and also in breakdown and setback ratios. Group I-B revealed the highest values in peak, hot, cool, breakdown, and consistency viscosities. ADV was low in groups I-A, I-B, and II-B, and gel consistency was not different among the six varietal group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using seven traits related with gelatinization produced four effective components, and the first and second component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all the gelatinization characters evaluated
        49.
        199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에서의 미곡의 유통은 통일계와 일반계는 구분되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식미가 다른 품종간에는 대부분 구분되지 않고 혼합되어 관리ㆍ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쌀의 식미는 품종간에 차이가 크고 국민들은 양식미쌀을 선호하므로 저식미쌀에 찹쌀, 또는 고식미쌀을 일정비율 혼합하여 식미향상효과를 얻을 수 있는지와 밥맛이 다른 품종들의 쌀을 일정비율로 혼합했을 때 밥맛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시료는 1987년 및 1989년산 통일계벼, 1990년 고성 및 부여산 일반계, 1989년산 통일계 삼강벼. 일반계낙동벼. 1990년산 추청벼, 동진벼 및 진부10호를 식미관능검사 1주일 전에 12분게로 도정하여 사용하였고 시판되는 최고가의 이천쌀과 일반계 찹쌀 상품을 공시하였으며, 식미관능검사는 국립농산물검사소 검사반과 작물시험장 미질 검정실에 의해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저식미찰(일반계)에 시판 고식미쌀을 중량비 80%까지 혼합하여도 식미향상은 없었으나 동진벼쌀(고식미)을 80% 혼합했을 때에는 동진벼쌀과 동등한 평점을 얻는 식미향상효과가 있었다. 중식미쌀에 시판 시판 고식미쌀을 80% 혼합한 경우는 식미가 크게 향상되었다. 2 식미가 불량한 통일계 고미('87, '89년산)에 시판되는 일반계 찹쌀상품을 20% 혼합하였을 때 식미가 향상되었으나, 중하위 식미의 통일계 중상위 식미의 일반계쌀에는 찹쌀 20% 혼합시에도 유의적 효과가 인정되지 않았다. 3. 중위 및 상위 식미품종인 낙동벼, 동진벼, 추청벼 간 여러가지 비율로 혼합한 경우 단일품종과 비교하여 일정한 경향의 유의적 식미 변화가 인정되지 않았다.1989년산간에 평균평점차이가 뚜렷해졌으나 통일계벼는 1987, 1988, 1989년산간에, 일반계벼는 1989년산과 1990년산간에 밥맛평가에서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3. 정부양곡보관창고들 중 특급창고와 1급창고에 보관했던 일반계 벼간에는 3개조사지역 모두 현미지방산도와 밥맛평가면에서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2급창고는 3개지역 모두에서 지방산도가 약간 높고 밥맛평점이 약간씩 낮았다. 4. 저온저장(4℃ , RH 50%)한 벼는 2년반 저장한 벼도 밥맛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5. 1988년산 및 1989년산 일반계를 10분도와 12분도로 도정하였을 때 도정도에 따른 밥맛의 차이는 없었다.X>CoOx는 Co3O4 로 존재하고, 반응 전의 경우에는 이와는 다른 chemical state를 보여주었다. XRD 및 XPS 결과를 바탕으로, 촉매표면에 존재하는 Co3O4 의 외부표면이 Co2TiO4 와 CoTiO3 같은 CoTiOx 로 encapsulation되어 있는 모델구조를 제안할 수 있고, 이는 반응시간의 함수로 나타나는 촉매활성에 있어서 전이영역의 존재를 잘 설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XRD와 XPS에서 얻어진 촉매의 물리화학적인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다. 나타냈고, 골격근과 눈 조직에서 피루브산에 대한 LDH의 친화력이 상당히 크므로 LDH가 혐기적 조건에서 효율적으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사료된다.5) and "Cleanliness of clot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