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

        1.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Honey bee plays an important role in pollinating plants. Recently, however, declines in honey bee populations have been reported in many countries, and pesticides have been pointed out as one of the factors contributing to honey bee los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esticides on honey bee behavior, we investigated the homing ability of honey bee exposed to four pesticides (acetamiprid, imidacloprid, fenitrothion, and carbaryl). In addition, the changes in expression levels of genes associated with ‘learning and memory’ (cGMP-dependent protein kinase foraging, Kruppel homolog 1, Adenlyate cyclase 3, Early growth response protein 1, Hormone receptor 38) were examined after pesticide treatment in forager bee. The four pesticides tested in this study generally reduced the homing ability of foragers. In the examination of gene expression, learning and memory-related genes were induced by the exposure to acetamiprid, imidacloprid, and carbaryl, whereas fenitrothion decreased the expression of these genes in honey bee. Although further studies are needed, this suggests that pesticides may have negative effects on honey bee behavior and behavior-related gene expression.
        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simulation-based Korea advanced life support training on new nurses' knowledg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performer confide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Methods: This is a non-equivalent controlled pre-post quasi-experimental study. A simulation-based CPR training program was applied to 37 new nurse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cored lower on emergency management knowledge (83.65±7.61) than the control group (84.55±9.22), which was not significant (t=-4.46, p=.657). However,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109.59±9.98) than in the control group (100.24±11.87) (t=3.581, p <.001). Performer confid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xperimental group (23.43±3.29) than in the control group (19.90±3.85) (t=3.69, p〈.001). In addition, the learning satisfaction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96.16±5.64)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88.42±11.13) (t=3.72, p< .001).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simulation training is an efficient way to improve new nurses'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performer confidence. Therefore, applying simulation training in scenarios can improve new nurses' work competence and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patient care.
        4,300원
        3.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만학도 간호대학생의 교수-학생 상호작용, 진로몰입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 J도에 소재한 4개 대학교의 25세 이상 64 세 이하에 입학한 간호학과 재학생 162명이며, 자가설문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 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및 multiple regression으로 시행되었다. 연구결 과,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로몰입,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진학의 동기 순이며, 변 인들은 만학도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29.5%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학도 간호대 학생의 진로몰입과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수준의 향상을 통해 자기주도학습능력을 촉진할 수 있는 프로그 램개발이 필요하다.
        4,000원
        4.
        2023.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마음이론과 자기조절학습능력, 사회적 유능감의 상 관관계를 살펴보고, 유아의 마음이론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유능감의 매개효과에 대해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 한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3~5세 유아 307명이고,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의 마음이론과 자기조절학습능 력, 사회적 유능감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의 마 음이론이 높을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사회적 유능감이 높고, 사회적 유능감 이 높을수록 자기조절학습능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아의 마음이론 은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의미 있게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고, 이 과정에서 사 회적 유능감이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아의 마음이론이 자기 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회적 유능감이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높일 수 있는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 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을 높이는 데 마음이론과 사회적 유능감을 균형 있게 지원 해야 함을 시사한다.
        5,500원
        5.
        202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대학의 피부미용 전공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PBL) 적용에 따른 학습효과를 알아보 고, 피부미용 교육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교수·학습방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H대학교에 개설된 피부미용 전공 교과목인 “동양요법” 수강 학생 15명을 대상으로 PBL 수업을 적용하여 실증적 교육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PBL 수업을 참여한 후 학습자들의 문제해 결 능력과 협력적 자기효능감의 평균값이 상승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에 따라 PBL 교수학습법 의 효과성이 확인되어 피부미용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들의 문제해결 능력과 협력적 자기효능감 상승을 위 한 효과적인 교수학습법으로 제안하는 바이다.
        4,000원
        6.
        2022.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 학습능력, 비판적 사고성향 간의 관련성을 파 악하고 문제해결능력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도와 C도에 소재하는 2개 대학 간호대학생 226명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 통계, t-test, ANOVA, Pearson's 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문 제해결능력의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 결과, 비판적 사고성향(β= .490, p< .001)과 자기 주도 학습능력(β= .355, p< .001)이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회귀모형의 적합도에 대한 F 통계량은 183.523(p< .001)으로 유의하였고, 설명력은 61.9%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 력 향상을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접 목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4,000원
        7.
        2021.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메타인지, 학습 동기가 문제해결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확인하고, 이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력을 효과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학습전략 마련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자료 수집을 위해, 2개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60명에게 2021년 1월 20일 부터 3월 10일까지 설문을 통해 조사한 후, SPSS/WIN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력은 메타인지(r=.44, p<.001), 학습 동기(r=.45,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학습 동기, 메타인지 순으로 전체 설명력은 32%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력을 증진할 수 있는 간호대학생 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들이 개발·적용되기를 바란다.
        4,000원
        8.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한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성장마인드셋과 그릿 및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자는 C도 소재 J대학교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19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화된 온라인 설문방식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성장마인드셋, 그릿 및 자기주도학습능력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로,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들의 성장마인드셋과 그릿은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r=.266, p<.001; r=.503, p<.001),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그릿, 전공만족도, 생활수준, 대인관계, 성장마인드셋 순이었으며, 이들은 자기주도학습능력을 38.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Adj. R2=.381, p<.001).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성장마인드셋과 그릿을 키워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시행이 있어야 할 것이다.
        4,300원
        9.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corpus-based formulaic sequences learning on developing learners’ writing skills and attitudes. For this purpose, fifty-four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learned formulaic sequences with the corpus-based method, while the control group learned the target items through the definition-centered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riting ability was found between corpus-based formulaic sequences learning and traditional formulaic sequences learning. The corpus-based formulaic sequences learning showed a greater effect on improving grammatical accuracy of writing. The traditional formulaic sequences learning was effective in the acquisition of productive knowledge of formulaic sequences. The results of the survey questionnaire showed that the students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corpus-based formulaic sequences learning, which may mean corpus-based learning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students’ motivation. These results may suggest that various corpus-based activities for EFL class need to be developed.
        6,300원
        10.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is examined the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with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attitudes, learning satisfact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Method: A quasi-experiment singl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adopted. Simulation education was conducted by utilizing problem-based learning methods to teach the following topics to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4th grade in S city: respiratory, circulatory, and nervous system.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for 12 week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9. Paired t-test and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Results: Learning attitude and problem-solving abi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riment. Among the sub-areas of problem-solving 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ollowing: problem recognition (p<.001), information gathering (p<.001), confident thinking disposition (p<.001), acceptance to carry out an adventure (p<.001), evaluation (p=.027), and feedback (p<.001). In addition, learning attitud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learning satisfacti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solving ability.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iterative studies and simulation scenarios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simulation training.
        4,200원
        1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learner-directed debriefing based on the clinical judgement model (LDCJM) on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elfdirected learn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debriefing experience after simulation. Method: This study used a quasi-experimental design with 38 sophomore nursing students from one university.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n=20) and a control group (n=18).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Chi-square, the Mann-Whitney U-test,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using the WIN SPSS 22.0 program.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that had participated in the LDCJM indicated significantly higher self-directed learning (U=23.50, p<.001), problem-solving ability (U=94.50 p=.011), and debriefing experience (U=87.00, p=.006)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LDCJM is an effective learning strategy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debriefing experience. Further study is need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various debriefing skills.
        4,600원
        12.
        2019.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typical Mathematics class is comprised of a heterogeneous group of students in terms of academic ability, learning styles, intelligence quotient, home background and the likes. The inability of the teachers to effectively manage these differences usually leads to poor academic achievement among the learners, especially the weak ones. This study therefore determined the effectiveness of Cooperative Learning Technique on low learning ability students in Mathematics.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was adopted. The sample size purposively selected consisted of 137 students from four schools in Education District II and IV, Lagos State, Nigeria. Two hypotheses were raised and tested at 0.05 level of significa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The result of the analysis revealed that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enhanced the low ability students’ achievement in Mathematics. Also,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enhanced low learning abilities students in understanding mathematics irrespective of their gender. It is therefore, recommended that teachers should adopt the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to teach Mathematics. For teachers to be more conversant with the use of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as well as other interactive methods of teaching mathematics, workshops and conferences should be organized for secondary schools on the use of different methods of teaching learners from different ability levels, especially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4,000원
        13.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basic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departments of college students. For this, MANOVA was performed. In order to reflect the difference between major fields, the norm was calculated consider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whole sample. The raw score was converted into the standard score T and used for the analysis. First, to understand the basic learn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major fields, and the average scores of major courses were checked for sub-areas of basic learning ability. As a result, the average scores varied depending on their major fields. The aeronautics, natural sciences, and health sciences majors, which have overlapping academic fields that emphasize a scientific approach, are ranked higher in the math ability as well as in overall scores. The Arts and Physics departments showed high scores in areas requiring humanistic literacy such as Literacy and Common Sense. Second, the differences in the division of college majors are analyzed by dependent variables. Literacy, Math, Common Sense, and I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0). Math was estimated at 65%, Literacy at 54%, Common Sense at 46%, and IT at 38%. In other words, students' majors affect the level of basic learning ability, and Math has the greatest influence among basic learning abil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as theoretical and empirical data, to help us understand why the basic learn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is deteriorating, and set up appropriate educational treatment plan.
        4,800원
        14.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imulation training using video debriefing on the self-efficac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Method: The study design was control group pre-and post-test non-synchronized experimental design. The sample included two teams of 138 nursing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provided feedback after the simulation was run, and then the team was debriefed through the video recorded video in the debriefing room, and the control group performed the oral debriefing.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0, 2015 to December 10, 2015,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χ²-test and t-test. Results: The scores of the self-efficacy, problem- solving process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group who received the video debriefing (experimental group) than those who received the oral debriefing training (control group). Conclusion: It has been found that debriefing using video in the simulation training has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ability to perform problem solving process and improvement of learning satisfaction, so it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and also helps strengthen nursing capacity.
        4,000원
        15.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학습조직화코칭이 학습조 활동을 실행하는 학습조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학습조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직무성과인 역할내 직무수행 과 적응적 수행성과 두 변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 경영층의 지원이 학습조직화코칭과 학 습조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사이의 관계에 대해 조절효과를 가지는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상기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가설을 설정하였 다. 그리고 가설 검증을 위해 부산, 경남에 소재한 중소기업 중 학습조직화코칭을 실시한 10개 기업의 학 습조직화코칭 참여 근로자 34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유효설문지 295부를 사용하여 회귀분석 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조직화코칭 프로세스가 성공적으로 진행될수록 학습조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높아진 다. 둘째, 학습조원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높을수록 직무성과인 학습조원의 역할내 직무수행과 적응적 수행성과 모두 높아진다. 셋째,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학습조직화코칭 프로세스와 역할내 직무수행 및 적응적 수행성과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조직화코칭 프로세스와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사이의 관계에서 경영층의 지원이 조절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부분에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 그리고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6,400원
        16.
        201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몇 년 사이에 점점 더 많은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이 홍콩의 대학으로 진학을 하고 있다.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은 언어와 문화의 차이로 인해 다양한 학습에서의 어려움, 특히 번체자의 인식에서 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본문은 홍콩 뱁피스트 대학(香港浸會大學)의 다른 소속 단과대학의 1학년 중국 본토 출신 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은 또 3년제와 4년제 등으로 구분하였다.그들은 보통화 수업을 수강하고 있으나 수업의 강의는 번체자로 구성되었고 시험 또한 가능한 많은 번체를 이용하여 답안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문은 그들의 답안지를 검토하고, 학생들의 실험 전과 실험 후의 성적을 비교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함으로써, 중국 본토 학생들의 번체자 쓰기에 대한 심리적 태도와 그 학습 능력, 교육과정, 교재, 교육방법 등의 일련의 교육 구상에 관련된 많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을 기대하였다.실험 결과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간체와 번체의 유형별 원칙, 신구 자형, 이체자, 하나의 간체자에 다수의 번체자 대응 관계 현상과 규칙을 이해하였고,『簡化字總表第一表』·『第二表』와『第三表』의 간화 귀납 방식을 이해함으로써 간화자 총표를 이용하여 대응 번체자를 검색할 수 있게 되었다.수업 후의 실험을 통해 그들의 성적이 수업 전에 비해 월등이 향상되었음을 발견하였다. 또한 교육자가 수업 중 학생들의 요구에 따라 수업 과정 속의 수업 내용을 변화시키기도 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홍콩, 대만 등지에서 출판한 많은 번체자 서적을 더 많이 보았고, 간화자의 문장을 번체자로 바꾸어 써 봄으로써 어감을 높이기도 하고, “繁簡通”과 같은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간화자를 번체자로 변환하기도 함으로써 번체자의 학습과 쓰기의 여러움을 극복하였다. 이러한 교육활동은 중국 본토 학생들로 하여금 빠른 시간 안에 번체자를 학습하게 하여 학교 생활에 적응하고 홍콩 사회에 융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는 사실에서 그 가치를 지닌다.
        5,400원
        17.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近年來,越來越多內地學生來香港就讀大學。內地生須面對語言和文化的差異而造成的種種學習上的困難。本論文嘗試從問卷調查、學生的前測和後測的成績比較等方法,分析、探討在香港浸會大學就讀的內地生學寫繁體字的心態及其學習能力,從而在教學過程因應需求微調課程的講授內容,幫助內地學生適應校園生活,儘快融入香港社會。
        18.
        2012.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근본적으로 지금의 학생들이 배움(수업)으로부터 도피하는 현상, 즉 학교붕괴(교실붕괴) 현상을 극복하고, 과학수업에서 과학을 어렵고 딱딱한 교과라는 인식으로부터 재미있는 과학, 우리 생활과 가까운 과학으로 인식시켜 과학학습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업방법으로 지금 시대가 요구하는 관계형성, 상호작용에 의한 소통과 공감의 수업모형인 구성주의 학습이론을 적용한 배움․나눔 공동체수업을 구안․적용하였다. 배움․나눔 공동체수업 과정은 크게 3단계로 나눠진다. 1단계는 원활한 상호작용과 소통을 위한 따뜻한 인사 건네기-수업의 핵심을 파악하기 위한 스스로 탐구목표 세우기 3분 전략-생각열기를 통한 흥미유발 및 수업방향 제시이다. 2단계는 교사와 함께 수업내용 파악-기초다지기 과정의 혼자 풀어요!-점프, 도전과제의 모둠원과 함께해요! 과정을 거친다. 마지막 3단계는 되돌리기 과정의 전체토론 및 발표수업, 배움․나눔 활동을 기록함으로써 수업과정을 정리하고 내면화한다. 이처럼 철저하게 계획된 수업과정을 통해 교사-학생, 학생-학생, 교사-학생-교재․교구와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학생들은 스스로 수업내용을 탐구하고 문제해결력을 기르며 내면화하게 된다. 결국 서로를 배려하고 협력하는 과정 속에서 과학수업의 학습능력 신장을 가져오고, 공동체의식이 함양되어 인성교육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5,700원
        19.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根據志願機構的統計數字,生活於香港的非華語家庭,大部份的經濟環境並不富裕。香港政府提供十二年免費教育(小一至中六),並不包括幼兒教育,因此幼兒教育的學費十分昂貴。香港的非華語家庭較難負擔年幼子女的幼稚園學費,故此過去較少非華語家庭送他們的年幼子女就讀幼稚園。近年,香港推行「幼稚園學劵制」,政府為幼兒就讀幼稚園提供學費津貼,於是愈來愈多非華語家長送他們的年幼子女到幼稚園學習中文。由於這些幼兒的母語並非中文,中文是他們的第二語言,因此他們的學習需要和困難都與本地學生不同;教師教導這些學生時遇到很多困難。本研究參考「綜合高效識字」課程,並按照非華語幼兒的學習需要和困難,為他們設計適合的中文識字課程、教材、教學法、評估等;是香港第一個大規模及有系統的非華語幼兒識字研究。參與本研究的幼稚園共有三間,參與人數約110人。本研究的課程設計,以幼兒常用的口語詞彙類別及頻率作為指標,安排教學主題的次序,並教導他們認識簡單的漢字結構。此外,教師透過運用不同的識字教學法,包括遊戲識字、部件識字、基本字帶字識字法、字根識字法、韻語識字、生活經驗識字、情境輔助識字法等,幫助幼兒有系統地學習漢字,提高他們對學習漢字的興趣,加強他們對漢字字形結構的感敏度,從而促進識字學與教的成效。此外,通過讓幼兒寫字和閱讀兒童故事,進一步鞏固和擴闊他們的識字量。本論文將報告是次研究的結果,並提出促進非華語幼兒識字的方法。
        20.
        200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컴퓨터의 대중화와 더불어 컴퓨터게임은 하나의 문화적 일부가 되었다. 이전의 게임에 대한 연구들은 게임의 중독성과 폭력성, 신체적 유해성 등 게임의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게임의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 분석하고 올바른 게임 방법을 제시한다. 초등학생과 고등학생들의 게임 이용 실태 조사를 통해 게임의 긍정적인 효과를 이용하여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올바른 이용 방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게임 시간과 게임 빈도는 학업 성적과 큰 상관이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초등학생의 경우 전략시뮬레이션 게임, 롤플레잉 게임, 스포츠 게임이, 고등학생의 경우 아케이드 게임과 롤플레잉 게임이 각 과목에 도움이 되며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효과를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생들의 성적향상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컴퓨터게임 이용시간은 초등학생의 경우는 30분에서 한 시간 미만이고, 고등학생의 경우는 30분에서 두 시간 미만으로 추정되었다. 장시간의 게임플레이는 학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위험요소가 있다. 본 연구에서 결과로부터 학생의 개인적인 학업 능력에 적합한 게임의 적절한 선택, 게임 플레이 시간의 조절, 게임 빈도의 조절을 통해서 학습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