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3.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nguage is the living fossil of culture and the etymological motivation of vocabulary often contains rich cultural concepts. Therefore, it would be a preferable way to explore the cultural information behind the words by examining their origins. In this article, we explore the naming rationale of ancient weapons and interpret the cultural concepts behind them. The naming rationale of ancient weapons implies the internal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on of weapons and everything in nature, the perfect fusion of weapon shape and actual combat function, the efficient use of weapons functions and the inherent constraint of weapons. It reflects the ancients‘ artifact-making ideology of learning from nature, the substance-function thought of “the resemblance of form and identity”, the military thought of making good use of tools and the ritual thought of prohibiting violence.
        6,100원
        2.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anguage is the carrier of a nation’s culture and contains a wealth of cultural information. The origin of a name is the reason why something is named,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cultural concept of people in the time when the word was crea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explore the cultural information behind the words by examining their origins. Qi Min Yao Shu is one of the four major agricultural books of ancient China and is known as the “Encyclopedia of Agriculture in Ancient China”. We selected four typical terms in Qi Min Yao Shu, farming tools, farming actions, farming places, and water conservancy facilities, and conducted an extensive cognate word association of these terms. On this basis, we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ming rationale of these farming words and interpret the cultural concepts in them. The study finds that the naming rationale of these words reflects the ancient “agricultural-oriented” thought, which is reflected in both farming practice and emotion. Secondly, the naming rationale of these words also contains the cultural concept of the ancient people’s pursuit of the unity of heaven, earth, things and people, that is, to accurately understand and use the objective laws of heaven, earth and things. Lastly, What is more profound is the philosophical thinking of the ancient peop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nature, which is reflected in the naming rationale of these words, reflecting the ancient people’s feelings of reliance on and reverence for nature, and reflecting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the unity of nature and human”.
        6,400원
        3.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해 표기는 지도상의 표식일 뿐만 아니라 문화적, 정치적, 역사적 상징성을 내포하고 있는 종합적인 지리적 형체이다. 동해 표기는 지도에서 지명이 지니는 지리적 가치와 함께 공동의 지리적 영역에 대한 지명의 공유 차원과도 연관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동해 해역의 지명 병기를 위한 논리적 접근의 시작을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찾고자 한다. 본 논문은 동해 병기에 있어 지명 표준화와 지명 통일화에 대해 다양성과 차이성을 반영하는 다지명주의 관점의 1객체 다지명 원칙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전자지도에서는 종이 지도와 달리 다양한 축척에서의 지명 표기와 병기가 가능한 만큼 다지명 원칙과 근거는 전자지도상의 지명 표기와 병기의 근거로도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 논의하고 있는 지명 병기의 포스트모더니즘적 관점은 공식적인 하나의 표준 지명을 지향하는 지명 표준화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한계와 문제점을 조정하거나 해결하는데 적용되는 대안적 시각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동해 해역의 지명 병기에 있어 토착 지명과 복수 지명에 대한 입체적 위상 관계의 연구가 활발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4,3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