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7

        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rogoderma variabile B. is one species of well-known stored product inse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perforation ability of larvae of T. variabile on different packaging films which has been widely used in food industry at different thickness. The tested packaging films are polypropylene (PP) 20μm,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20μm,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12μm, PP 30μm and PP 40μm. This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for 7 days. In the same order as the films mentioned above, the perforation rate are 33.33%, 0%, 14.81%, 29.62%, 0%. From these results, the easiest film to perforate among PP, LDPE, PET is PP, an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ickness. Therefore, different type of materials and thickness would be considered to be used for food packaging.
        3.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식품의 생물학적 위해요소인 해충과 유해균 및 부패균을 제어하기 위해 실제 포장필름 생산 공정 설비를 이용하여 방충 및 항균 기능성을 갖는 식품용 다층 포장필름을 제조하였다. 우선, 효과적인 활성 물질의 스크리닝 과정을 통해 식품의 대표적 해충인 화랑곡나방 유충(Plodia interpunctella)에 대해 기피력을 나타내는 팔각회향 에센셜 오일과,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및 페니실리움(Penicillium roqueforti)에 대해 항균력을 갖는 티몰(thymol)을 필름내 혼입할 활성 물질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활성 물질을 혼입한 폴리우레탄계 코팅액을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12 μm 필름 표면에 코팅하였으며, 방충용 필름은 polypropylene (PP) 30 μm을, 항균용 필름은 low-density polyethylene (LDPE) 30 μm을 적층하여 다층필름의 구조로 제조하였다. Large-scale 생산 공정 설비를 통해 제조된 필름을 활용하여 유충에 대한 기피 효과와 항균력을 측정하였으며, 대조군 필름은 유충에 대한 기피력 및 항균 효과를 보이지 않은 반면, 개발된 방충 및 항균 필름은 화랑곡나방 유충과 두 가지 균에 대해 각각 뛰어난 기피력과 항균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식품 포장소재의 대량생산에 활용 가능한 표면 코팅 기술을 개발하고 그 방충효과 및 항균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식품 중 생물학적 위해요소의 저감화를 위한 식품 포장 신소재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4.
        2017.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식품 포장재 내 곤충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방향유를 함유한 방충 필름이 연구되고 있으나 파일럿 규모의 생산 장비를 이용한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파일럿 규모의 생산 장비로 미세캡슐화된 시나몬방향유(cinnamon oil, CO) 함유 식품 포장 필름을 개발하고 필름의 방충효과와 이화학적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었다. 모든 필름은 파일럿 규모의 그라비아 인쇄기(Roto Gravure Printing Press, Ilsung Machinary Co., Ltd., Gumi, Korea)와 적층기(Dry laminating & Extrusion laminating machine, INT CO., Ltd; Ansan, Korea)로 제작되었다.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0.02%, w/w, 폴리비닐알코올/증류수)을 사용하여 CO (5.2%, w/w, CO/PVA 수용액) 미세캡슐 에멀션을 제조하였고, 0,1 또는 2% (w/w, CO/미세캡슐 CO 에멀션)의 미세캡슐 CO 에멀션을 잉크(54 또는 61%, w/w, 잉크/전체 혼합액)와 시너(thinner) (23 또는 26%, w/w, 시너/전체 혼합액)에 혼합하여 인쇄 용액을 만들었다. 만들어진 용액을 폴리프로필렌필름(30 μm)에 그라비아 인쇄기로 인쇄한 후, 인쇄된 면에 저밀도폴리에틸렌 필름(40 μm)을 올려놓고 적층(lamination)하여 방충 필름(75 μm 두께)을 제작하였다. 소규모와 파일럿 규모로 진행된 필름의 방충효과 측정에는 화랑곡 나방(Plodia interpunctella) 유충을 사용하였고, 개발된 필름의 시남알데하이드 방출률, 인장 및 수분 차단 특성 그리고 열 중량을 분석하였다. 파일럿 규모 인쇄기와 적층기는 미세캡슐 CO 에멀션이 사용된 방출필름을 연속적이고 균일하게 생산하였다. 미세캡슐 2% CO 에멀션 제형으로 제작된 필름이 가장 높은 방충능을 보였으며, 미세캡슐화가 방충효과를 유지하면서 시남알데하이드의 보존성을 높여 방충효과를 유지하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열 중량분석 결과를 통해 미세캡슐화와 적층이 CO의 휘발을 막는 데 효과적임을 확인했다. 필름의 인장강도, 신장률, 탄성률 그리고 수증기 투과성은 각각 40.4-45.4 MPa, 87.1-87.6%, 831.8-838.1 MPa, 그리고 0.0078-0.0082 g·mm·h-1·kPa-1·m-2이 었으며, 이 결과들은 개발된 방충 필름의 인장 및 수분특성에 변화를 주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p>0.05). 연구를 통해 파일럿 플랜트 규모에서 방충 필름을 성공적으로 제작할 수 있었고, 방충효과와 이화학적 특성 결과를 통해 제작된 방충 필름의 상업적 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5.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팽이버섯 포장필름의 국산화 및 동남아시아 지역 수출용 필름개발을 목적으로 개발중인 포장필름을 현재 시중에 유통 중인 포장필름과 수입산 포장필름과 함께 저장 중 팽이버섯에 적용하여 이화학적 특성변화를 검토하였다. 각 포장재 원단으로 포장된 팽이버섯을 저장 온도에 따라 중량 감소율을 측정하여 선도유지를 평가하였다. 4oC에 보관한 팽이버섯은 모든 포장필름에서 중량 변화가 거의 없었으며 15oC의 경우 수입 포장필름과 국내 유통중인 포장필름이 시험용 포장필름 보다 더 많은 중량 감소율이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신장률을 측정한 결과, 15oC에서는 수입 포장필름, 국내 유통 중인 포장필름, 실험용 포장필름 순으로 신장률 변화가 크게 측정되었으나, 나머지 온도조건에서는 세 가지 포장 조건 모두 자루 신장률 변화가 비슷하게 나타났다. pH의 변화는 25oC에서 수입포장필름, 국내유통 포장필름, 실험용 포장필름 순으로 pH가 낮게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저장 온도 4~25oC에서 저장한 시료는 저장 기간 동안 명도가 약간 낮아졌으나 포장 필름의 종류는 팽이버섯 색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총 6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종류는 oxalic acid(수산), lactic acid(젖산), malic acid(사과산), citric acid(구연산), acetic acid(초산) 및 succinic acid(호박산)로 나타났다. 팽이버섯의 유기산 총 함량은 저장 전 5.58%, 4oC에서 저장 후 4.70~5.50%, 15oC에서 저장 후 4.51~5.48%, 25oC에서 저장 후 4.91~6.07%, 35oC에서 저장 후 4.96~8.34%로 나타났다. 팽이버섯의 주요 유기산은 oxalic acid(1.11~4.28%)와 malic acid(0.48~1.96%)로 나타났다. 저장 온도에 따라서는 4~25oC에서 저장한 시험구는 유기산 함량의 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35oC에서 저장한 시험구는 malic acid의 함량이 낮아짐과 동시에 acetic acid의 함량이 높아졌다. 각각의 온도 조건에서 저장성을 실험한 결과 포장용 필름 원단에 따라서는 유기산 함량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13.
        2003.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식품의 저장성 및 안전성 향상을 목적으로 필름이나 용기형태의 항균 기능성 포장재를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며, 아울러 새로운 고분자 및 항균 소재 탐색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의 합성 고분자뿐만 아니라 생고분자에 각종 항균제를 첨가 또는 혼입하여 제조한 식품 포장용 항균성 필름이 최근 들어 주목받고 있는데, 이러한 항균성 필름은 담체로 사용된 고분자는 물론 항균제의 종류, 이들의 상호작용에 따라 항균효
        14.
        2001.09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풋고추를 수확하여 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천연항균소재를 이용한 항균용제와 항균포장필름에 대한 각각의 효과와 두 가지를 병행한 상승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풋고추를 항균용제에 침지 처리후 1에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항균용제와 항균포장필름에 대한 각각의 효과뿐만 아니라 두 가지를 병행하여 저장하는 경우 상승효과가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풋고추의 선도를 유지하는 데에 천연항균소재가
        15.
        2001.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광물질 연입필름 2종류(15%의 SiO 계 LDPE, 10%의 zeolite계 LDPE와 기공필름 및 LDPE필름(두께 30)을 이용한 표고버섯의 MAP효과를 조사하고자, 표고버섯을 동일한 방법으로 필름포장한 다음 2와 5에 저장하면서 중량감소율, 표면색과 상품성 지수를 조사하였다. 표고버섯의 MAP시 중량감소율과 상품성에 미치는 포장방법의 영향은 표고버섯의 높은 생리특성으로 인하여 2에서는 인식할 수 없었으나 표면색의 경우는 5의 저온보다는
        16.
        2000.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제적이면서 효과적인 항균성 필름의 생산방법으로서 corona 저려한 저밀도 폴리에틸렌 (LOPE) 필름에 천연항균성 물질을 코팅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딸기의 포장에 적용하였다. 보다 안정한 항균제 코팅 필름의 생산을 위하여 결착제와 함께 코팅한 필름의 생산방법을 검토한 결과, polyamide수지용 과 항균생 물질을 함께 코팅함에 의하여 안정한 코팅을 행성할 수 있었다. 이의 항균성을 미생물 평판 배지 상에서 확인한 결과, 1% 자몽종자추
        17.
        1999.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velop a wrapping film, which suppresses the microbial decay through the storage and distribute of greenhouse fresh produce, the antimicrobial packaging films were made and applied to the preservation of grapes(Campbell early). For the purpose the films were made by adding 1% grapefruit seed extract(GFSE) to LDPE film(Control). Graps were separately wrapped with packaging films in the state of closely-adhered packaging as well as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MAP). The wrapped grapes were stored at 5 for 65 days and then the colony count of contaminated microorganims, decay ration of grapes, the gas component within the packages and chemical qualities were investigated. The antimicrobial film packaging showed the efficient results to suppress microbial growth as compared with control. The total number of containated microorganisms were decreased gradually through all the storage period. In the closely-adhered packaging and MAP the decay ratios of grapes was 31% and 19%, indivisually. After the storage period of 65 days, the interior gas components of MAP were 4.5% of O2 and 17.6% of CO2, which were efficient for the storage of grapes. In addition, no negative effects in sweetness and acidities occur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