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08.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학자들이 서구 어학 이론으로 漢文의 語學的특성을 구명하기 시작한 것은 1908년 元泳義의 初等作文法을 시작으로, 1916년에 辛在英이 漢文義讀自解를, 1917년에는 姜邁가 漢文法提要를, 1921년에는 永昌書館에서 實地應用作文大方등이 발간된 후 약 40 년간 공백기를 두고 1960년대와 1970년대 사이에 발간된 문법서는 1960년 丁南洙의 漢文解釋을 시작으로 1971년 6월 許世旭의 漢文通論, 7월 權重求의 漢文大綱, 1973년 文璇奎의 漢文敎疑書, 1975년 趙鍾業의 漢文通釋, 1976년 洪寅杓의 漢文文法, 1977년 박지홍의 표준 漢文法등이 발간되었다. 본고는 1975년 趙鍾業의 漢文通釋의 문법이론 분석에 이어서 1976년 洪寅杓의 漢文文法에 수록된 品詞理論을 분석하려 한다. 특히 초기에 간행된 한문 문법서의 문법 이론이 40년간의 공백기를 거친 후 다시 발간된 한문 문법서에 어 떻게 수용․변모 되었는가 파악할 수 있을 것이고, 이후 발행된 한문 문법서에는 어떻게 반영되었는가도 거론될 것이다. 漢文文法에서는 단어의 종류를 單詞와 複詞로 나누었는데 크게 5 가지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詞의 種類’에서는 音節數에 의해 분류되는 ‘衍聲複詞’와 두 개의 품사가 연결되어 단어를 형성하는 合意複詞로 분석될 것이다. ‘品詞의 分類’ 에서는 實辭와 虛辭의 종류와 개념을 설명하고, ‘品詞의 結合’에서는 聯合關係, 組合關係, 結合關係등이 서구 이론의 입장에서 분석될 것이다. 저자는 ‘品詞의 等級’에서 甲級, 乙級, 丙級으로 나누었는데 이는 어떤 품사가 주로 문장의 성분 으로 쓰이는가를 논한 것이다. ‘品詞의 活用’은 品詞의 轉成을 설명한 것으로 제 시된 예문을 통해 統辭的機能에 의해 품사가 변하는 것과 造語的側面에서의 품사가 변하는 것으로 분석될 것이다.
        7,000원
        2.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 서구의 문법이론을 기초로 한 한문문법의 연구는 1908년에 시작된 이래 1921까지 4권의 한문문법서가 간행되었다. 그러나 이후 40년간 한문문법서의 간행이 없다가 1960부터 다시 간행되기 시작하였다. 본고는 1960년부터 1975년까지 간행된 4권의 문법서에 수록된 形態論의 이론 중 品詞에 대한 연구이다. 초기간행문법서(1908-1921)에는 11가지로 品詞가 분류 되었는데 實辭(名詞, 代名詞, 動詞, 形容詞, 副詞)와 接續詞와 感歎詞등의 品詞는 名稱은 동일하였고, 槪念定義도 언어적 표현을 달랐지만 공통성이 있었다. 그러나 하위분류에는 造語的방법이 수용되어 과도기적 현상이 나타나 있고, 동일한 하위분류도 저자에 따라 각기 다른 용어를 사용하여 혼동을 초래하였다. 심지어 文의 性質上분류인 假定文, 反語文, 漸層文등을 轉詞란 품사로 설정하기도 하였다. 특히 虛辭 (助詞, 助動詞. 介詞)는 독립된 품사로 인정하지 않은 것이 특성이었다. 그 후 40년간의 공백기를 두고 60년대에 들어와 발간된 문법서들이 초기에 간행된 한문문법서에 이론을 어떻게 수용하고 발전시켰는가를 究明하는 것은 漢文 文法書硏究史에 필수적이라 본다. 이러한 검토가 있은 후에야 품사분류와 하위분류에 합리적인 기준이 제시되리라 생각된다. 본고는 ꡔ漢文解釋(1960)ꡕ, ꡔ漢文大綱(1971)ꡕ, ꡔ漢文敎疑書(1973)ꡕ, ꡔ漢文通釋(1975)ꡕ을 대상으로 품사를 검토하였다, 名詞, 代名詞, 動詞, 形容詞, 副詞, 接續詞, 感歎詞등은 品詞의 名稱이 동일하고, 槪念定義는 표현적인 차이가 다소있으나 내용은 일치하였다, 품사의 下位分類도 초기문법서와는 달리 용어나 하위 분류에서 상당히 합리적으로 대부분의 분류와 명칭이 후대문법서에 수용되고 있다. 그러나 助詞, 終尾詞, 終結助詞, 助動詞, 補助詞, 前置詞, 後置詞, 介詞, 前後置詞등은 품사의 명칭도 다르고, 개념 정의도 차이가 있으며, 하위분류는 상당한 부분이 견해를 달리하고 있어 여전히 과도기적 현상을 보이고 있다.
        10,100원
        3.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漢文의 品詞분류기준과 名稱에 대한 연구다. 漢文科에서 品詞연구는 중국의 馬氏文通에서 實詞와 虛詞를 통하여 품사를 분류하기 시작하면서부터 이후 많은 문법학자들이 품사에 대한 연구가 있어왔다. 學校文法은 學問文法이론의 체계위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학자들이 문법에 대해 많은 분류기준과 명칭을 제시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학자에 따라 분류가 달라 품사이해에 혼란을 야기 하고 있는데 이는 인구어 문법에서 도입한 품사론을 직접한문에 대입하는데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품사분류는 의미와 형태기능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한문에서는 형태변화가 없어 형태를 기준으로 삼기 어렵고 의미를 기준으로 할 경우는 虛詞에 있어서 모순으로 보이며, 기능을 기준으로 할 경우에 있어서는 실사에 있어서 모순을 보이고 있어 단일 기준으로 품사분류 하기 어렵다.그러므로 한문의 품사분류는 한문의 특성을 고려하여 實詞와 虛詞의 개념을 도입하여 분류 기준으로 삼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기존의 실사와 허사의 구분기준이나 개념이 분명치 않아 실사와 허사를 기준으로 삼기에도 모순이 있었다. 따라서 실사와 허사의 변별기준을 기존에 의미를 기준으로 한 것에서 문장 출현에 있어서 자립적으로 문장성분을 이루느냐의 여부에 따라 품사분류를 하면 명료하고 체계적인 설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漢文科 學校文法의 기준에 대한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첫째로, 漢文科에서 品詞는 實詞와 虛詞를 기준으로 분류할 것을 제안한다. 實詞는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며 자립적으로 의미를 실현하여 문장성분을 이루는 자립성분이며, 虛詞는 실질적 의미를 나타내지 않으며 실사에 의존적으로 출현하여 문장성분을 이루는 의존성분이다. 즉 虛詞는 실사와 실사를 이어주고 실사의 의미실현을 돕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實詞는 다시 語詞의 의미에 따라 名詞代名詞動詞形容詞副詞로 분류하며, 虛詞는 문법기능에 따라 介詞接續詞助詞感歎詞로 분류하여 9품사로 설정할 것을 제안한다. 둘째로, 품사 명칭문제에 있어서는 의견을 달리하고 있는 代名詞, 介詞, 接續詞, 助詞, 感歎詞를 중국학자와 우리나라 학자들의 견해와 국어문법과 관련하여 타당성, 적합성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學校文法에서 代名詞는 명사를 대신하는 말로 공통적으로 쓰고 있는 명칭이나, 漢文科에서도 명사를 지칭할 뿐 만 아니라 다른 語詞나 語句語節 등도 대신 지칭하여 그 의미범위가 넓다. 그러므로 학습자의 혼란을 줄이는 입장에서 代名詞의 명칭을 쓸 것을 제안한다. 介詞는 우리 국어에 없는 명칭이나, 介詞의 개념과 前置詞의 명칭상의 개념과는 차이가 있어 중국학자들의 명칭에 따라 介詞의 명칭을 쓸 것을 제안한다. 接續詞는 타 교과에서 사용하고 있는 接續詞의 개념과 같이 하고 있으므로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接續詞의 명칭을 쓸 것을 제안한다. 助詞는 국어문법에도 있는 명칭으로 국어와 관련하여 학습자에게 이해를 쉽게 할 수 있다고 생각되어 助詞의 명칭을 쓸 것을 제안한다. 感歎詞는 정서감정을 소리로 표현하는 품사로 感歎詞의 명칭을 쓸 것을 제안한다.
        6,700원
        4.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on identification and definition of parts of speech or word classes began from Greek/Latin tradition in early days. Most approaches on parts of speech were based on semantic criteria. As time passes, it has changed into the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words in a sentence, and on function and form. The approaches, however, have not fully gained appreciation among scholars. Even though many attempts have been made to set up proper parts of speech systems, the clear classification of them has been known to be far from perfection.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parts of speech or word classes and diverse parts of speech systems of some languages, and suggests that typological approaches to parts of speech classification depending on the syntactic properties of languages are the ideal w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