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0

        1.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lover cyst nematode (Heterodera trifolii, CCN) is one of the important plantparasitic nematodes in the Republic of Korea, causing serious damage to Kimchi-cabbage in Gangwon province since 2017. Soil fumigants are the preferred choice for managing CCN. However, cabbage fields in Gangwon province have a slope, making it challenging to apply soil fumigants and use plastic mulch. Consequently, alternative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for managing CCN. Nematicidal cover crops and resistant cultivars are among the alternatives. We conducted resistance screening of 82 white mustard (Sinapis alba) resources from a genebank at RDA against CCN for use as nematicidal cover crops or breeding materials. In the first assay (1st, 2nd, and 3rd pot experiments), 15 white mustard resources were selected, while others were susceptible to CCN. To confirm the reproducibility of resistance to CCN for 13 selected resources, the second assay was performed. As a result, five white mustard resource (IT297309, IT297312, IT302951, IT302953, IT302954) demonstrated resistance to CCN. These findings indicate the potential use of these five white mustard resources as nematicidal cover crops or for breeding cultivars of Kimchi-cabbage in Republic of Korea.
        4,000원
        2.
        2021.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7년 이후 강원도 고랭지배추는 클로버씨스트선충에 의한 피해를 받아 왔다. 저항성 배추 품종 재배는 씨스트선충 피해를 줄일 수 있는 가장 경제적인 방제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클로버씨스트선충 저항성 배추 신품종 육성을 위한 육종 소재 탐색을 위해 배추류 유전자원 총 57 자원을 대상으로 클로버씨스트선충에 대한 저항성 검정을 수행하였다. 배추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순무 (B. rapa), Brassica sp., 갓 (B. juncea), 겨자류 (B. carinata, B. tournefortii), 경수채 (B. rapa subsp. nipposinica), 다채 (B. rapa subsp. narinosa), 평지 (B. rapa var. perviridis), 루타바가 (B. napus var. napobrassica), 로켓샐러드 (Eruca sativa) 54자원은 뿌리에 클로버씨스트선충 암컷이 300개 이상 증식되어 매우 감수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겨자류 2자원 (B. carinata, B. tournefortii)도 클로버씨스트선충 암컷이 각각 144개, 110 개 증식되어 감수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겨자류 중 에서 African mustard (B. tournefortii, 씨앗은행 관리번호 IT218058)는 클로버씨스트선충 암컷이 평균 4±1.8로 증 식되어 저항성인 배추류 유전자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선발된 African mustard (IT218058)는 클로버씨 스트선충 저항성 배추 품종 육성을 위한 육종 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
        2020.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usarim oxysporum에 의한 덩굴쪼김병은 수박 재배에 큰 피해를 일으키는 중요한 병이다. 이 병을 방제하기 위해 덩굴 쪼김병 저항성 박 대목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본 연구는 박 덩굴쪼김병 저항성 자원을 선발할 수 있는 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효과적인 접종법을 개발하기 위해 접종 후 온도(15, 20, 25, 30°C), 접종 농도(1 X 105, 5 X 105, 1 X 106 and 5 X 106 conidia・mL-1), 접종 시기(파종 7, 10, 13, 16일 후)를 조사하였다. 박 덩굴쪼김병을 접종하였을 때 접종 후 배양 온도나 파종 후 접종 시기의 영향이 적었다. 그러나, 덩굴쪼김병에 저항성인 박의 경우 접종농도가 높을수록 발병이 심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박 덩굴쪼김병에 대한 효과적인 접종법으로 파종 10일 된 유묘 뿌리를 1 X 105 - 1 X 106 conidia・mL-1 농도로 30분간 접종한 후 감염되지 않은 토양에 옮겨 심고 25°C에서 3주 동안 재배하는 것을 제안한다.
        4,000원
        4.
        201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폴리드나바이러스(polydnavirus: PDV)는 일부 내부기생봉에 공생하는 이중나선형 DNA 바이러스 분류군이다. Cotesia plutellae bracovirus (CpBV)는 프루텔고치벌(C. plutellae)에 공생하는 일종의 PDV이다. 프루텔고치벌은 어린 배추좀나방(Plutella xylostella) 유충에 기 생한다. 기생 초기에 발현하는 CpBV-ELP1 유전자는 혈구세포에 세포독성을 발휘하면서 기주의 세포성 면역을 억제하여 기생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유전자를 담배 식물에서 발현하여 해충에 대한 경구독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재조합 CpBV-ELP1 단백질 이 배큘로바이러스 발현시스템을 통해 합성되어 세포배양액에 분비되었다. 수거된 세포배양액은 일련의 단백질 분리과정(ammonium sulfate 단백질 분획, size exclusion 크로마토그래피,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을 통해 CpBV-ELP1 단백질을 분리하는 데 이용되었다. 분리된 rCpBV-ELP1 단백질은 파밤나방(Spodoptera exigua) 혈구에 대한 뚜렷한 세포독성을 보였다. CpBV-ELP1은 파밤나방 5령충에 대해서 혈강 주입하여 살충력을 나타냈고, 엽침지법을 이용하여 경구독성을 갖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CpBV-ELP1 유전자를 CaMV 35S 유전자 프로모터 와 opaline synthase 유전자 전사종결신호를 갖는 pBI121 벡터에 클로닝하여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 세균에 형질전환을 유도하였 다. 형질전환된 세균은 담배(Nicotiana tabacum Xanthi)잎에 감염하여 캘러스를 유도하게 하였고 이후 차세대(T1)를 확보하였다. T1 세대 담배 는 파밤나방에 대한 해충저항성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CpBV-ELP1 유전자가 형질전환작물을 통해 해충방제에 응용될 수 있 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4,000원
        5.
        2009.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ntibiotics marker-free with herbicide-resistant tall fescue plants were produced through Agrobacterium: mediated transformation system. Embryogenic calli derived calli were infected with Agrobacterium tumefaciens strain EHA105 harboring the pCAMBIA3300 vector containing the bar and the CP4-EPSPS genes. The PPT-resistant calli and plants were selected with 10 ㎎/L PPT, respectively. Soil-grown plants were obtained about 14-16 weeks after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Genetic transformation of the regenerated plants growing under selection was demonstrated by PCR, and South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one copies of the transgene were integrated into the plant genome of each transgenic plant. Expression of the bar and CP4-EPSPS genes in transgenic plants was confirmed by Northern blot analysis and CP4-EPSPS genes in transgenic plant ELISA uses antibody protein by ELISA Assays. Transgenic plants sprayed of two herbicides with glufosinate ammonium or glyphosate remained green and healthy. We therefore report here a successful and reliable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two herbicide-resistances and this method may be useful for routine transformation and has the potential to develop new varieties of tall fescue with several important genes.
        6.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균근을 이용한 Ardisia pusilla의 내건성 증진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내생균근 Glomus spp.을 접종하여 생육상에서 30일 동안 재배한 후 수분스트레스처리를 실시하였다. 수분스트레스처리는 5일간 무관수 상태로 두었다가 관수하는 방법으로 60일 동안 반복 처리하였다. 식물생육은 균근처리시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관수시 스분스트레스의 회복력도 빨랐다. 식물체내 양분함량은 지하부의 Fe, Mn, 및 Cu의 함량의 경우 균근 접종 식물이 대조구에 비해 현저하 높았으나 이에 반하여 프롤린 함량은 대조구에서 균근 접종식불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4,000원
        7.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실의 환기연구를 위한 CFD 시뮬레이션 모델에 토마토 작물을 설계함에 있어서 우선적으로 작물군의 기하학적 형상 설계 및 이의 공기 항력계수를 찾고자 하였다. 작물군 형상을 간단한 형태의 공기투과성 매체로 설계하고 이의 공기저항의 물리적 특성을 풍동실험을 통하여 구하였다. 토마토 작물군과 작물군 사이에서 측정된 값과 작물군 중앙부에서 측정되어진 값들을 분리하여 계산하여 된 결과 공기저항값인 항력계수 Cd 값은 각각 0.2551와 0.2621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이들의 평균값인 0.26을 Fluent CFD 프로그램의 작물군 공기투과성 매체의 x, y, z축의 내부저항값으로 입력되었다. 이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전산유체역학 (CFD)을 이용한 시설내 작물군이 존재하는 경우의 온실 환기연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풍동을 이용한 작물의 공기저항 연구를 위한 실험방법을 개발하여 앞으로도 다양한 작물들을 대상으로 공기유동의 물리적 특성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4,000원
        11.
        199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sects are among the most important abiotic and biotic constraints to rice production. National rice research programs are in various stages i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pest management (IPM) stratagies for rice insect control. Among the various control tactics, insect resistant cultivars are sought as the major tactic in rice IPM. Through the activities of interdisciplinary teams of scientists significant progress has been made in the development and release of insect resistant cultivars to farmers. Because of its compatibility with other control tactics insect resistance has proven to fit well into the IPM approach to rice insect control agents and minimize the need for insecticide applications. The development of biotypes which overcome the resistance in rice plants has been a significant constraint in the breeding of rice for resistance to insects. Most notable examples in Asia are the green leafhopper, Nephotettix virescens,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ygens and the Asian rice gall midge, Orseolia oryzae. The current breeding stratege is to develop rice cultivars with durable resistance on which virulent biotypes cannot adapt. In spite of the significant progress made in the breeding of insect resistant cultivars there are still numerous important rice insect species for which host plant resistance as a control tactic has not been fully utilized. Advances in biotechnology provide promise of solving some of the problems that have limited the use of host plant resistance as a major tactic in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rice insect pests.
        5,500원
        12.
        198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봄보리 1.5엽기에 흰가루 병균을 접종하여 병진전에 따른 엽내전분함량변화를 측정하였다. 1.5엽기에 접종하였을 때 감수성 품종 Peruvian과 성체식물저항성 품종 Asse에서 상이한 전분축적양상을 보였다. 감염초기에서는 두 품종 모두 전분함량에 다소 변화가 있었다. 병반형성과 포자형성 동안 감수성 품종 Peruvian에서 전분함량감소가 뚜렷하였으나 Asse에서는 병반형성 동안 증가하였고 세포형성전후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감염이 심한 1.5엽에서 Peruvian은 급격한 전분감소를 보였으나 Asse는 감염강도에 관계없이 감염잎에 높은 전분함량을 유지하였다. 봄 보리의 성체식물저항성과 연관시켜 상이한 발육시기에서 흰가루병 감염된 잎의 전분축적역할을 논하였다.
        4,000원
        13.
        197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애멸구의 MEP제에 대한 저항성이 유전적 특성에 기인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나주지역의 야외집단을 채집하여 감수성인 실험실 계통과 교배하고 및 에 대하여 Probit 법으로 분석하고 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나주지역의 애멸구 야외집단은이 자충충의 경우 0.0029ug/충으로 감수성인 실험실계통의0.0008ug/충에 비하여 저항성의 차를 타나내었다. 2. 나주지역 야외집단이 나타내는 저항성은 과 의 분석에서 및 사충율의 회귀가 저항성인 친쪽으로 가깝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 유전적 특성에 기인된다고 생각되었다. 3. 집단의은 양친의 중간 정도였으며 넓은 분산을 보이고 있어 MEP제에 대한 저항성의 유전은 수개의 유전자가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4,000원
        14.
        197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수도 신품종 밀양 21호와 23호를 공시하여 벼멸구, 애멸구, 흰등멸구, 끝동매미충 및 번개매미충에 대한 저항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주로 품종저항성기작으로 여겨지는 멸구매미충에 대한 유균의 반응, 공시품종에 대한 멸구매미충의 식이선호성, 산란선호성 및 항충성을 실내에서 검토하였다. (1) 유충의 반응에 있어서 밀양 21호와 23호는 끝동매미충에 대하여 중간성(M), 밀량 23호는 애멸구에 대하여 중도저항성(MR)으로 나타났으나 그밖에 멸구매미충에 대해서는 중도감수성(MS) 내지 감수성(5) 반응을 보였 다. (2) 끝동매미충은 감수성 대조품종 유신, T(N)-1에 비하여 밀유 21호와 23호에서 비교적 낮은 식이선호성을 보였으나 벼멸구, 애멸구, 흰등멸구 및 번개매미충은 감수성 대조품종과 비교하여 밀탕 21호와 23호에서 같거나 높은 식이선호성을 보였다. 밀양 21호와 23호는 저항성 대조품종들에 비하여 모두 멸구매미충의 식이선호성이 높았다. (3) 벼멸구와 애멸구는 저항성대조품종 Mudgo, ASD-7에서 산란선호성이 높았고 밀양 21호와 23호에서 현저히 낮았으며 흰등멸구에서는 저항성 대조품종과 공시품종사이에 거의 같은 산란선호성을 보였다. 그러나 끝동매미충과 번개매미충의 경우는 반대로 저항성 대조품종들of 비하여 밀양 21호와 23호에서 현저히 높은 산난선호성을 보였다. (4) 밀량 23호에 대한 끝동매미충의 약충기간은 저항성 대조품종과 대등하였으나 밀양 21호와 23호에 대한 다른 멸구매미충의 약충기간은 저항성 대조품종들에 비하여 현저히 짧으며 감수성 대조품종과 같았다. (5) 저항성 대조품종에서 멸구매미충의 우화율이 심히 낮았으나 공시품종 및 감수성 대조품종에서는 비교적 우화율이 높았다. 감수성 대조품종에 비하여 공시품종에서 비교적 우화율이 낮은 害펄은 밀탕 21호 와 23호에 대한 애멸구, 끝동매미충 및 번개매미충이었다. (6)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밀양 21호와 23호는 멸구매미충에 대한 진성저항성을 결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진다. 다만 두 신품종은 끝동매미충에 대하여 비교적 저항성이 높은 것이 아닌가 보며 애멸구에 대한 것은 저항성이라기 보다는 벼의 내성이 있는 것으로 보아진다.
        4,000원
        15.
        197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지엽에 있어서 배수선의 또는 감수성인 품종이 저항성인 품종보다 평균 6개 이상 많았으며 중간성과 저항성 품종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2. 엽맥의 도관절의 길이는 감수성인 진흥, 김마제 수원 213호 등이 저항성 품종보다 길었으며 팔달 시로 가네 농릴 6호 등은 차이가 없었다. 3. 도관의 직경은 김마제쓱 수원 213호가 다른 4 품종에 비하여 길었으나 저항성품종과 감수성 품종간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4. 6-7엽기에 이른 뿌리의 후생도관은 진흥 김마제가 시로가에, 농릴 6호 보다 휠씬 많았으나 수원 213호는 예외적으로 후생도관수가 가장 적었다. 5. 저항성인 시로가네의 즙액에서는 감수성품종에 비하여 세균의 증식이 현저하게 억제 되였고 다른 품종들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6. 열처리된 즙액에서는 저항성 품종이나 감수성품종에 관계없이 세균증식이 비슷하였고 전체적으로 신선한 즙액에서 보다 세균수가 훨씬 적었다.
        4,000원
        16.
        196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uthor studied on the bionomics of Oriental moth. Cnidocampa flavescens WALKER, damaging to the persimmon tree n the southern part of Korea from 1964 to 1965.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Emergence peak period of Oriental moth was mid-June in Taegu district and eggs are deposited on the opposite side of persimmon tree leaf. Specially most of eggs are deposited on the terminal part of opposite side and peak period s also mid-June. 2. Hatched Percentage of eggs was in 1964 while in 1965 at the rearing room. Mean egg Period was in 1964 while days in 1965. Thus during two years, the egg period was about 6 days. 3. In the growth ratio of Oriental moth fed on various host plants persimmon tree, Acer negund, Hazel-wood and Platanus, the best growth ratio was shown on the leaf of Hazel-wood from 1st till 3rd instar, but, on the contrary, persimmon tree was the best from 4th till the last instar. The growth ratio of head width was also the same tendency as the body length above mentioned. Individuals fed on the leaf of platanus were dead after 20 days. 4. Oriental moth has one generation a year and molts 6 times. The first molting occurred in 5 hours after hatched, and the other moltings were done at f days intervals. After 3 days since the last molting, larvae made the non for over-winter in it. 5. As the bristles on the process of larval body are different from each position and instar, judgement of instars are possible by the counting of bristles on the body according to the Table 8. Specially the bristle of L. 2., D. 2, 3 ,8. 10. and L. 1, 3, 4, 5, 6, 7, are perfectly different from each instar. From these bristles, instars can be recognized easily. 6. Pupation of larvae in the over-wintered cocoon on the stem of persimmon tree was done in mid-May and continued will early June when emergence will take place. 7. Mean number of eggs in the ovary was
        3,000원
        17.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methods of enhancing the waterlogging resistance of soybean plant. Thus, we applied seven types of plant growth regulators (PGRs) to soybean plants and exposed them to waterlogged conditions for a total of 14 days. To evaluate stress resistance, we monitored plant growth characteristics data such as height, chlorophyll content,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for 28 days after the initial waterlogging (14 days under waterlogging conditions and 14 days after waterlogging). According to the results, plant heigh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gibberellin A4 (GA4) treatment compared to the control treatment and waterlogging-only treatment. However, we could not detect plant height owing to plant death when we applied abscisic acid (ABA). Except for GA4 and ABA treatments, plant heights slightly decreased in all treatments compared to the waterlogging-only treatment. The chlorophyll content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showed a similar tendency among PGR treatments. The chlorophyll content and chlorophyll fluoresce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y ethephon and kinetin treatments 28 days after waterlogging compared to the waterlogging-only treatment. Consequently, kinetin and ethephon treatments induced more resistant phenotypes in soybean plants during or after exposure to waterlogging conditions.
        18.
        2017.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8종의 잿빛곰팡이병 균주를 순무잎에 접종하여 병반의 크기를 확인한 결과 가장 강한 감염력을 보인 ‘포도-01’ 균주와 병반의 확산이 가장 적은 ‘오랜지’를 선발하였다. 순무잎이 저항성을 보인 ‘오랜지’균주를 처리한 잎이 감수성을 보인 ‘포도-01’균주를 처리한 잎보다 indole-3-ylmethyl glucosinolate (I3M-GLS) 함량이 무처리 보다 2.5배 이상 높았으나 ‘포도-01’ 균주를 처리한 잎에서는 무처리 보다 낮은 함량을 보였다. 균주의 메탄올 추출액과 물추출물을 식물배양세포에 처리한 결과 ‘오랜지’균 주의 추출물이 ‘포도-01’ 균주의 추출물보다 배양세포의 생장을 더 강하게 억제 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오랜지’ 균주의 메타놀 및 물 추출물 처리에서 배양세포의 활력은 각각 22.7% 및 16.5%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오랜지’균주 추출물을 처리 한 배양세포에서 I3M-GLS의 생합성이 ‘포도-01’ 균주 추출물 보다 현저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로 보아 식물체내에 생합성되는 I3M-GLS 함량은 잿빛곰팡이균에 대한 식물세포의 저항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19.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Four transgenic rice lines harboring insect-resistant gene cry3A showed ideal field performances characterized by high considerable resistance to rice water weevil (Lissorhoptrus oryzophilus Kuschel).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insert number of foreign genes, and analyzed the flanking sequences of T-DNA in rice genome. As a result, The T-DNA of Btt12R 3-1-1-1 line was inserted in exon region of rice chromosome 10 and Btt12R 6-1-1-1 line was inserted in two copies of foreign gene. Btt12R 9-1-1-1 line was analyzed at only left border flanking sequence. The T-DNA of Btt12R 13-1-1-1 line was inserted one copy of foreign gene between position 24,516,607~24,516,636 of rice chromosome 5 and 30bp known genomic sequences were deleted. The Btt12R 13-1-1-1 line confirmed to be inserted in intergenic region having not any expressed gene and no any deletion/addition of T-DNA sequence. From these results, we demonstrated that the molecular data of rice water weevil resistant Bt rice could be acceptable to conduct the biosafety and environment risk assessment for GM crop commercialization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