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CI 등재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 15 No. 3 (1976년 9월) 8

1.
197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xytetracycline HCI의 대추나무 비짜루병 방제효과를 구명할 목적으로 병든 대추나무(15-20년생, 흉고직경 20cm 내외)에 oxytetracycline HCI의 1,000 p.p.m. 수용액을 1회에 500ml씩 시기별로 각각 1회(4월), 2회(4월, 7월), 30(4월, 6월, 8월) 그리고 대추 수확후 1회구(10월)로 나누어 수간에 주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수간주입당년에 있어서는 시기별 주입회수에 관계없이 1회 이상의 수간주입으로 비짜루병징이 완전히 억제되고, 정상엽이 자라나면서 개화결실하였다. 2. 2회이상 주입한 나무와 10월에 1회주입한 나무에서는 이듬해 가을까지도 병징억제효과가 지속되었으나 4월에 1회 주입한 나무에서는 이듬해에 부분적으로 경미한 병징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3. oxytetracycline HCI에 의한 병징억제효과는 수간주입부위의 윗쪽에서만 나타났으며, 그 이하부위와 약액이 주입되지 않은 측지에서는 병징이 억제되지 않았다. 4. oxytetracycline HCI의 5.000 p.p.m. 수용액을 주당 30ml씩 주입하였을 때는 전혀 병징이 억제되지 않았다.
3,000원
2.
197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를 가해하는 4종의 멸구매미충 즉 애멸구, 끝동 매미충, 벼멸구 및 흰등멸구의 경제적 중요성에 대한 지역적 차이를 수원과 남부 그리고 남서 해안지역에서 수행한 개체군의 밀도조사를 토대로 분석 검토하였다. 한국에서 년중 볼 수 있는 애멸구와 끝동 매미충의 경제적 중요성은 중부지방이 덜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겨울의 추운 기후조건, 벼, 보리의 경작 방법 및 거미류 같은 천직에 의해서 지연 치사작용이 효과적으로 일어나는 때문인 것으로 믿어진바. 그러나 남부지방에서는 겨울이 덜 춥고 벼, 보리의 경작방법이 이 두 해충의 생활환과 기주식물의 계절적 변천 양자의 재일성에 유리한 편이어서 이들의 경제적 중요성은 확실히 크다고 하겠다. 한국에서 원동을 하지 못하는 벼멸구와 흰등멸구의 매년 첫 발생개체군은 동지나해를 건너 원거리를 이동해 오는 것들에 기인된다. 이들의 이동과 관련을 갖고 있는 기상요소로 해서 이동되어오는 벼멸구와 흰등멸구의 양은 중부지방보다 남부지방에서 월등히 많다. 그러므로 벼를 가해하는 멸구매미충류에 대한 종합방제책으로 중부와 남부지방 별로 지침을 달리 세울 것이 요망된다.
4,900원
3.
197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도 수묘형 육묘에 있어서 종자침하에 의한 부패, 발아지연, 종자의 부유에 의한 종자가 한쪽으로 몰리는 등의 해를 야기시켜 발아율이나 성묘율율 저하시키는 조류나 괴불방제를 시도하여 수묘대에서 파종전후 5일에 Cuperic Sulfate, Lime Sulfur, Swep 80wp. Dithane A-40, Dichlone 50wp를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조류 및 괴불방제의 효과가 뚜렷한 약제는 Dichlon 50.wp, Dithane A-40, Swep 80 wp 였으나 Dithane A-40, Swep 80wp는 약해등으로 성묘율이 낮었다. 2. Cuperic Sulfate는 조류 및 괴블에 대한 약제효과는 인정되었으나 약제처리후의 파종시 발아억제 및 종자침하현상이 심하였다. 3. 파종후 25일묘 조과결과 Dichlone 50wp를 제외한 기타 약제처리구는 Check구에 비하여 지하부의 근수, 지상부의 생체중 및 건물중비율이 낮았고 초장은 약제처리구가 전반적으로 낮은 편이었다. 4. Dichlone 50wp는 조류 및 괴블 방제효과 과 뚜렷하여 종자발아 및 성묘비율을 높일 수 있었으며 약효의 지속기간은 처리후 4일 정도임이 인정되었다.
4,000원
4.
197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남북 전매지청관내 14개조합 산하 51개 포장에서 담배 기생선충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 포장에 대한 선충의 검출률은 이었다. 2. 선리속별 검출포장수는 Tylenchus가로 가장 높고 다음이 Aphelenchus, Tylenchorhynchus , Meloidogyne , Criconemoides Pratylenchus, Hirschmaniella 의 순이였다. 3. 지역별 선충속별 밀도는 Pratylenchus는 영덕이 43으로 가장 높았고 Tylenchorhynchus는 진보, 금천, 영양, 영천이 46-48로 높았으나 전지역에서 검출되었다. Tylenchus는 영일 408, 김천 372, 상주 281의 순이나 전지역에서 검출되었다. Meloidogyne는 진보를 제외한 전 지역에 나타났으나 금천이 168로 가장 높았다. Xiphinema는 의성이 26으로 가장 높고 다음이 상주 12, 영덕 7의 순이였다. 우리나라에 있어서 담배에 기생하는 선충은 11과 16속 18종이 발견되였으며 이중 12종은 우리나라 담배에서는 처음으로 발표되었다.
3,000원
5.
197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의 바이러스 무감염란 생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Cymbidiun mosaic virus와 Tobacco mosaic virus를 중심으로 그 감염상 및 감염된 바이러스의 혈청학적 반응, 검정식물상의 반응, 물이적 성질, 형태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란에 발생하는 바이러스병의 병징은 크게 1) 모자이크, 2) 괴저줄무늬 모자이크, 3) 괴원륜문, 4) 퇴록륜문 및 5) 괴달반점의 5군으로 분류되었다. 2. 수원근교의 난 재배농장에서 수집한 각종란의 바이러스 이병률을 조사한 결과 CyMV는 의 감염율을 나타내었고, TMV는 한개체에서도 검출되지 않았다. 3. CyMV의 검정식물인 Chenopodium amaranticolor, Cassia occidentalis 및 Datura stramonium에 CyMV 병즙액을 접종한지 7-12일 후에 퇴록국부반점이 나타났다. 4. CyMV의 물리적 성질을 Chenopodium amaranticolor를 검정식물로 하여 조사한 결과, 내열성은 내보존성은 8일, 내포석성은 으로 나타났다. 5. CyMV의 혈정학적 한천내 확산반응에 사용된 0.1M 및 0.01M의 Phosphate, Imidazol 및 Tris 완충간에는 침강대 형성에 차이를 볼 수 없었다. 그러나 이들 완충액의 수소이온농도간에는 침강대 형성에 심한 차이를 나타내어, pH 7.0에서는 침강대가 뚜렷하였고 pH9.0에서는 미약하였다. 6. CyMV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크기 460-580mu의 간상입자의 빈도가 제일 높았다.
4,000원
6.
197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수도 신품종 밀양 21호와 23호를 공시하여 벼멸구, 애멸구, 흰등멸구, 끝동매미충 및 번개매미충에 대한 저항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주로 품종저항성기작으로 여겨지는 멸구매미충에 대한 유균의 반응, 공시품종에 대한 멸구매미충의 식이선호성, 산란선호성 및 항충성을 실내에서 검토하였다. (1) 유충의 반응에 있어서 밀양 21호와 23호는 끝동매미충에 대하여 중간성(M), 밀량 23호는 애멸구에 대하여 중도저항성(MR)으로 나타났으나 그밖에 멸구매미충에 대해서는 중도감수성(MS) 내지 감수성(5) 반응을 보였 다. (2) 끝동매미충은 감수성 대조품종 유신, T(N)-1에 비하여 밀유 21호와 23호에서 비교적 낮은 식이선호성을 보였으나 벼멸구, 애멸구, 흰등멸구 및 번개매미충은 감수성 대조품종과 비교하여 밀탕 21호와 23호에서 같거나 높은 식이선호성을 보였다. 밀양 21호와 23호는 저항성 대조품종들에 비하여 모두 멸구매미충의 식이선호성이 높았다. (3) 벼멸구와 애멸구는 저항성대조품종 Mudgo, ASD-7에서 산란선호성이 높았고 밀양 21호와 23호에서 현저히 낮았으며 흰등멸구에서는 저항성 대조품종과 공시품종사이에 거의 같은 산란선호성을 보였다. 그러나 끝동매미충과 번개매미충의 경우는 반대로 저항성 대조품종들of 비하여 밀양 21호와 23호에서 현저히 높은 산난선호성을 보였다. (4) 밀량 23호에 대한 끝동매미충의 약충기간은 저항성 대조품종과 대등하였으나 밀양 21호와 23호에 대한 다른 멸구매미충의 약충기간은 저항성 대조품종들에 비하여 현저히 짧으며 감수성 대조품종과 같았다. (5) 저항성 대조품종에서 멸구매미충의 우화율이 심히 낮았으나 공시품종 및 감수성 대조품종에서는 비교적 우화율이 높았다. 감수성 대조품종에 비하여 공시품종에서 비교적 우화율이 낮은 害펄은 밀탕 21호 와 23호에 대한 애멸구, 끝동매미충 및 번개매미충이었다. (6)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밀양 21호와 23호는 멸구매미충에 대한 진성저항성을 결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진다. 다만 두 신품종은 끝동매미충에 대하여 비교적 저항성이 높은 것이 아닌가 보며 애멸구에 대한 것은 저항성이라기 보다는 벼의 내성이 있는 것으로 보아진다.
4,000원
7.
1976.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clerotinia sclerotiorum(Lib.) de Bary의 상치, 오이 및 유채의 3균주에 대하여 PDA를 기본부지로하여 광선이 이들의 균핵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광원으로서는 주광색 형광등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계속광처리에서 광도 480Lux까지는 광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했지만 성숙균핵의 건물중은 이와는 반대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800 Lux 처리에서는 균핵시원체의 유기가 크게 억제되었고 성숙균핵은 거의 형성되지 않았다. 2) 5000Lux의 고광도라 하더라도 48시의 단시간처리는 균핵시원체수 및 성숙균핵수를 증가시켰다. 그러나 성숙균핵의 건물중은 160 Lux에서만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3) 광 shock 즉 1분간치의 계속광 48시간까지의 160 Lux, 500Lux 처리는 모두 균핵형성수와 건물중을 증가시켰는데 균핵형성수와 건물중을 증가시켰는데 균핵형성수는 500Lux에서 균핵건물중은 160Lux에서 더 높았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