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CI 등재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권호리스트/논문검색
이 간행물 논문 검색

권호

Vol. 2 (1963년 12월) 9

2.
196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본시험은 1962년과 1963년에 감자 겹둥근 무되병에 대한 살균제 7종을 공시한 효과비교시험이다. 2) 본병을 방제학 위하여 Alternaria solani를 접종한 후 6월 초순부터 1주일간격으로 4회 살포함으로서 방제효과가 우수하였다. 약제살포구는 무살포구에 대하여 유의성이 있었고 특히 Dithane M45, Difolatan, Dithane M22는 효과가 좋았으며 세 약제간에는 유성이 없었다. 그 다음으로 볼드액살포로서도 상당히 효과가 양호하였다.
3,000원
3.
196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 참깨나 목화에 기생하여 위조병을 일으키는데 Fusarium oxsporum f. vasinfectum의 생육에 미치는 질소원의 종류 및 농도의 영향을 구명하고자 본연구에 착수하였다. 본연구의 결과로부터 질소원의 종류 및 농도의 차이가 Fusarium oxysporum f. vasinfectum의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았다. 공시한 4종의 질소원 중에서 Nitrate N나 Urea N가 Ammonia N 또는 Ammonium and Nitrate N 보다 공시균의 생육에 대하여 더욱 알맞는 질소원이었다. 그 중에서도 Nirtrate N는 타른 N원보다 훨씬 넓은 농도범위에서 본균에 의하여 이용되므로 가장 알맞는 질소원이라고 할 수 있다. 한편 Ammonia N는 공시균의 균계생장이나 포자형성의 현저한 감소와 더불어 기형적인 파형균총 또는 염주상균계세포를 농도에 관계없이 형성하므로 질소원으로서의 이용가치가 거의 없다. Ammonia N가 공시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은 파형균총 또는 염주상균계형성으로 보아 Phenoxy 화합물이 타른 진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과 흡사하다. Ammonium and Nitrate N도 50meg. 이상의 농도에서 공시균의 균계생장 또는 포자형성을 감소시키는 한편 파형균총과 같은 이상생육이 다소간음폐되기는 하나 적제 Ammonia N에서 유래하는 파형균총을 유기하므로 알맞는 질소원이라고 생각할 수 없다. 따라서 Ammonia N 단독 또는 타질소원과 Ammonia N의 결합태는 Fusarium oxysporum f. vasifectum의 생육을 위한 질소원으로서는 부적당하다.
4,000원
4.
196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본 시험은 malathion이 방충제로 사용되었을 때 자연적인 곡물저장조건하에서의 잔류효력과 그의 지속성을 검정하기 위해서 1963년 6월부터 9월에 걸쳐 행하였다. 2) 백미를 malathion 유제로 처이하고 일령 21일된 쌀바구미를 일정기간마다 8일간 접종하여 살충율을 을 조사하고 이로서 malathion의 잔류효력과 지속성을 판정하였다. 3) 처리후 8일까지는 각 실험농도에서 의 살충율을 나타내었고 32일에서 8ppm과 16ppm은 의 살충율을 보였으나 4ppm과 2ppm에서는 각각 와의 살충율을 보였다. 32일 이후에서는 어느 농도에서나 의 살충율은 볼 수 없었고 107일에 이르러서는 각 농도간 살충율에 차가 없었다. 4) 처리한 malathion의 반감기는 즉의 살충율을 나타낸 것은 2ppm에서 33일, 4ppm에서 54일, 8ppm에서 73일. 16ppm에서 93일 이었다. 5) 자연곡물저장조건하에서 malathion 잔류효력을 5개월간 보지하려면 본 실험에서 사용한 농도보다 훨씬. 높여야 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5.
196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농작물에 대한 각종 선충류의 피해가 주목되어 있는 실성에 비추어 필자는 선충류연구의 기초적 과제로서 온실내의 화훼류 근부에서 발견되는 선충류 중 농업상 비교적 중요하다고 인정되는 종류와 그밖에 몇 종류에 대하여 형태적인 특징을 기술하였다. 즉 취급된 종류들은 다음과 같다. 1. Meloidogyne arenaria Chitwood 2. Scutellonema coheni Andrassy 3. Paurodontus gracilis Thorne 4. xiphinema americaum Cobb 5. Rhabditis sp 6. Cephalobus sp 7, Diplogaster sp 그리고 이상 7종류의 기주식물 및 기생정도를 보면 Meloidogyne arenaria Chitwood는 Begonia에 만 기생하였고 그밖에 화훼류에는 기생을 볼수 없었다. Scutellonema choeni Andrassy는 꽃치자, 소펄, 이마리 리스, 제브리나에 가장 많이 발견되었고, Paurodonthus gracilis Thorne는 동백나무, 청목. 지내고사리, 카네이션, 충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Xiphinema americanum Coob는 산호수, 서향, 코피나무, 시크라맨, 용설란, 동백 등에서만 발견되었으나 그중에 용설란, 동백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었다. Rhabditis sp.는 초본류 화훼류의 대부분에서 발견되었으나 그중에도 산세배리아에서 가장 많았다 Diplogaster sp는 대부분의 화훼류에서 발견되었으며 그중에 크로톤에 비교적 많았다. Cephalobus sp.는 전반적으로 발견되었으며 발견정도는 모두 비슷하였다. Monhystera app. , Mononchus spp. , Dorylaimus app. 등도 조사란 과반수의 화훼류들에서 발견되었으나 특히 많이 발견되는 화훼류는 없었다. 이상 선충류중 근류를 형성하여 피해가 가장 주목되는 Mceloidogyne arenaris Chitwood에 대해서 온실내에서 그의 유일한 기주식물인 Begonia의 품종별 기생정도를 비교조사한 결과 semperflorens 품종에 가장 기생률이 높았고 metarica 품종은 중정도였으며 erytholopylla와 argento-guttata 품종들에는 기생이 없었다. 이 점은 매우 의의있는 사실로서 앞으로 더욱 연구할 과제로 삼았다. 끝으로 Sanceberia에서 많이 발견되는 Rhabditis sp를 , , , 의 동온도별의 incubator에서 사육한 결과 본 종의 생육적온이 라는 사실을 알았다.
4,200원
6.
196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 본 시험은 1962년과 1963년의 2개연에 걸쳐 수원과 김해에서 이화명충방제를 위하여 수종의 공시농약과 비교 실시하였다. 2) 의 시용은 건사동율 혼합하여 손으로 수면에 시용하고 액제(Lebaycid Dipterex. B. H. C기타)는 분무기로 약면에 살포하였다. 3) 본 시험의 결과에 나타난 바에 의하면 타 약제에 비하여 이 유효하였으며 수면시용시기는 부화 10일이내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4) 수원과 김해의 양지역에서의 시험결과를 비교해 보면 지역적 효력차가 없는 것 같다.
4,000원
7.
196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죽림해충중에서 가장 피해가 심한 죽순나방을 대상으로 하여 신농약 8종과 약제살포시기를 조사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Endrin, Aldrin E.P.N은 부화 14일전 처리로서 약간의 부화유충의 식입방지로서 유효하였고 부화후 처리구에 있어서도 무처리구에 비하여 유효하였다. 2) Sevin Aldrin, EPN은 Endrin에 비하여 효과가 낮았으며 Sevin, Folidol, Diazinone은 별차가 없었다. 3) 부화전후의 일별처리 효과는 부화 5일후 처리에 가장 효과가 좋았다. 4) 본 시험은 1회의 시험성적이 되므로 동일시험이 수회반복되어 살충효과 및 살포적기가 완전히 구명되었으면 한다.
3,000원
8.
196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조사는 밤나무혹벌의 생태, 특히 생활사, 발생소장 및 피해에 대하여 1961-1963년에 걸쳐 경기도, 강원도 및 충청북도에서 조사한 것이다. 1. 본 충은 년 1회 발생하며 단성생식을 한다. 2. 성충의 출현은 6월 하순부터 7월 하순이며 최성기는 7월중하순이며 일중 오전중에 많이 탈출한다. 3. 성충은 출현후 곧 아에 산란하는데 1아당 4.89개를 산란하며 1개체의 포란수는 평균 198.5개이었다. 4. 란기는 30일간이며 란은 8월말까지 부화하였다. 5. 유충기간은 8월중순부터 익년 6월 중순 까지며 용기는 6월 초순부터 7월 중순까지였다. 6. 본 충은 아에 산란 기생하며 5월 하순부터 충영을 형성하여 생장을 정지시키고 율의 결실을 없게 할 뿐만 아니라 율목을 고사시킨다. 8. 본 충은 1958년 충청북도 제천에서 처음 발생된 이래 현재에는 강원도, 경기도, 충청북도의 북반부 및 경상북도북부 일부에 분포하여 가해하고 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