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angang Artpark construction is an enterprise founded in 2018 that involved installing public artworks created by 37 different people (teams) in Hangang Park located in Yeouido and Ichon Park. An iconic public space in Seoul, Hangang Park is turning into an even better public space due to the efforts to change the park into an eco-friendly, cultural-artistic space in tandem with the change in times. The objective of the Hangang Artpark construction business is to augment the environmental and scenic value of Hangang not only to provide a space for leisurely activities but also to revive it as a cultural-artistic area. This is a study of the concept and the design and installation processes of “Thinking of each other”, a project by the Hangang Artpark construction business. This art piece has been installed in the wetlands and it trails along Ichon Hangang Park, which was created during the environmental recovery project. The piece consists of sculptures molded into animal shapes that are unique to the location and ecology of the area, displayed in harmony with the park’s street furniture. By showing the coexistence of animals that existed in Hangang in the past along with the current inhabitants and the natural enemies of these inhabitants, the piece displays an ecofriendly scene. Moreover, by incorporating this piece into the street facilities of the park, such as gazebos, streetlights, surveillance cameras, and perches, the piece exhibits a different kind of street view compared to the installation style of other conventional environmental artworks. The various sculptures are installed along with the street facilities throughout the trail, rather than in a specific location intended for artworks, thereby achieving harmony with the park scene. In so doing, the piece elicits in the beholder an environment-friendly way of thinking, and at the same time, gives them a sense of calm and pleasure. Further, the paper researches the methods of safely installing art pieces in public spaces and of maintaining these installations.
        4,300원
        3.
        2012.10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농업인들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며 효율적인 작업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농작업 편이장비 컨설팅 사업을 통하여 농업인들의 컨설팅 만족도 및 필요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강원도 W지역 복숭아 농가 중 23가구를 대상으로 6월∼10월 4개월에 걸쳐 컨설팅을 실시하였다. 컨설팅 전 사전 평가로 농작업 동작평가, 기존장비의 만족도 평가, 편이장비 선정 시 고려하는 요소에 대한 평가, 통증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컨설팅 후에 지급된 장비의 만족도 평가, 통증평가, 컨설팅 만족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컨설팅 전․후 통증평가 및 컨설팅 만족도 평가는 대응표본검정 t-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 : 기존에 운반작업에서 사용하는 장비로는 대부분이 수동식 손수레를, 제초작업에서는 작업자 신체에 설치하는 동력제 초기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탑재작업은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때문에 편이장비 지급 전에는 작업동작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의 유해요인이 발견되었고 신체적으로 경험하는 통증도 높은 수준이었으며, 현재 사용 장비에 대한 만족도는 낮은 수준이었다. 편이장비 선정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로는 ‘수리 및 유지관리’였다. 시연회를 통해 편이장비가 지급된 후, 근골격계 질환 발생의 유해요인인 작업동작의 발생도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으며(p<.001), 신체적으로 경험하는 통증 정도 또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p<.001). 지급된 편이장비에 대한 만족도는 지급전에 비해 향상하였으며, 작업자 만족도와 컨설팅에 대한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농작업 환경개선 편이장비의 컨설팅에 대한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컨설팅을 통한 편이장비의 인간공학 적인 개선은 편이장비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추후연구에서는 좀 더 체계화된 컨설팅의 효과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4,500원
        4.
        2009.06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농촌진흥청은 농작업 관련 문제점을 개선하고 작업능률의 향상을 통해 농작업 편이화 및 선진화를 도모하고자 2008년 부터 농작업 환경개선 편이장비 컨설팅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컨설팅 사업을 통해 농작업의 특성을 파악하고, 인간공학적 환경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J 지역에 거주하며, 사과재배를 주업으로 하는 고연령?v(56±4.1)의 농업인 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작업단계 및 기존 사용 장비를 조사하기 위해 농작업 여건 및 현황조사를 인터뷰 설문으로 실시하고 농작업에 대한 인간공학적 평가(OWAS, RULA, REBA)를 실시한 뒤, 조사된 자료를 기초로 개선된 편이 장비를 선정하여 보급하였다. 개선된 편이장비의 사용에 대한 인간공학적 평가를 수행하고, 컨설팅에 대한 만족도 조사와 전체 장비(기존 장비, 개선된 장비)의 만족도 설문을 자체 제작하여 실시하였다. 개선 전후로 실시된 인간공학적 평가를 비교하고, 기존 장비와 개선된 장비의 만족도 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 농작업 여건 및 현황조사 결과, 사과재배는 크게 제초, 수확 및 운반, 선별의 3단계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지며, 대부분의 작업에서 근골격계 질환 발생의 유해요인들이 발견되었다. 수동으로 사용하는 제초기, 수레, 선별기를 사용하고 있어 빈번한 반복 작업과 중량물 취급횟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된 편이장비 사용결과, 인간공학적 평가에서 편이장비 사용 후 작업자세와 작업형태가 향상된 결과를 보였고, 장비에 대한 만족도에서도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1). 컨설팅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또한 높은 수준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농작업 환경개선 편이장비 컨설팅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컨설팅을 통해 농업인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 유해요인을 감소시키고, 인간공학적 환경 개선을 통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현실적인 연구와 정책적인 지원이 확대가 요구된다.
        4,000원
        6.
        2020.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roject manager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success of any project. The primary duty of the project manager is to combine the outcomes or results of the various processes and activities of project management into a systematic project management strategy or plan for the projec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 lack of motivation is an urgent problem for many project managers in construction and engineering projects. Lack of motivation affects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jobs, reducing profits and growth for companies, businesses, contractors or organizations that rely on human resources. The reasons for this lack of motivation are diverse ranging from salary to culture to life and working environment, among others. Through surveys and data analysis using Cronbach’s Alpha reliability and EF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ur research scaled the factors affecting work motivation of project manag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Vietnam. The research results identified six major groups of relevant factors including (i) salary and benefits, (ii) work environment, (iii) promotion opportunities, (iv) organizational culture, (v) interest in the job, and (vi) relationship with the organization. From there, this paper contributed useful information as well as measures for businesses, companies, contractors or organization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7.
        2018.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건설해체공사와 유사한 특성을 갖는 원전 제염해체공사에서 구조적 리스크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DOE). 하지만 제염해체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구조적 재난재해 및 위험요소는 크게 고려하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구조적 재난 및 재해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 리스크 역시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다. 또한, 재난 및 재해 그리고 리스크 분류체계는 작업의 특성(작업프로세스, 활용장비, 작업 위치 등)별로 분류되어 있지 않아 실제 해체공사를 위한 매뉴얼로 활용하기에 무리가 있다. 따라서 차폐 콘크리트 구조물 제염해체공사의 건설해체공사와의 유사성을 기반으로 작업의 특성별로 분류한 리스크를 도출하는 것은 원자력 발전소 해체공사 리스크 관리에 필수적으로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