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건강기능성 식용유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저온압착(cold-pressing) 유채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저온압착 유채유는 정제유에 비해 기름 고유의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산성백토를 이용한 저온압착 유채유의 탈색과정에서 산성백토의 첨가량, 처리시간 및 반응온도에 따른 탈색 후 이화학적 특성과 품질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화학적 특성으로 색차 (명도, 적색도, 황색도)를 조사하였고, 품질특성은 chlorophyll-A 와 carotenoid 함량, 지방산 조성, 토코 페롤(α, β, γ, δ), 및 식물성 스테롤(β-sitosterol, campesterol, stigmasterol)을 분석하였다.먼저 산성백토(DC-SUPER)의 첨가량(1, 2, 3%)에 따른 저온압착 유채유의 색도변화를 관찰한 결과, DC-SUPER 첨가량 2%에서 탈색 1시간 후 유채유의 색도가 갈색에서 연노랑으로 옅어졌다. 본 결과를 바탕으로 총 3종의 산성백토(DC-SUPER, DC-A3, 및 P1)에 대해 첨가량 2%를 기준으로 처리시간(20, 40, 60, 80분) 증가에 따른 색차를 조사한 결과, 처리시간 20분 경과 후부터 대조구 대비 명도(L)는 증 가하였고, 적색도(a)와 황색도(b)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산성백토 DC-SUPER 2% 첨가 후, 반응온도(40, 80, 120°C) 증가에 따른 색차를 조사한 결과, L값과 a값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b 값은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반응온도 40°C에서 처리시간 20분 이내에 클로로필 A와 카 로티노이드는 대부분 제거되었고, 토코페롤 함량도 현저히 감소하였다. 탈색 전 저온압착 유채유의 총 토코페롤 함량은 46.62mg/100g이나, 탈색 후 총 토코페놀은 12.67mg/100g(20분 탈색), 15.31mg/100g(40분 탈색), 13.56mg/100g(60분 탈색)로 나타나, 약 50% 이상 감소하였다. 탈색 후 α-토코페롤 과 δ-토코페롤의 함량 감소가 매우 컸고, γ>β>α>δ-토코페롤의 순으로 포함되어 있었다. 하지만 탈 색 전·후에 저온압착 유채유의 식물성 스테롤 함량은 큰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성백토 이용 저온압착 유채유 탈색시 색도를 향상시킴을 확인하였으며, 영양 학적으로 우수한 총 토코페롤 등이 감소한 바 향후 이를 보완 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4,000원
        2.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양한 화장품에 응용을 위하여 제주산 유채오일 추출물을 대상으로 PIT유화시스템을 이용한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천연 유채오일 추출물은 n-헥산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천연유채오일 추출물은 엷은 노란색의 점성을 가진 액체이었고, 수율은 43±2.5%이었다. 산가는 2.76±0.5이었고, 비중은 0.89±0.05 이었다. 20wt%의 유채오일을 사용한 PIT-Yuche-NE의 입자크기는 50-120nm (평균입자크기: 82±5.8nm)이었고, 제타 포텐셜은 -29.5mV 이었다. 이것은 (PEG)5-30 지방산 에테르를 사용하기 때문에 열역학적으로 안정하였다. 특징적인 결과로부터 얻은 몇 개의 결론을 다음과 같이 나열하였다. 첫째,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방법을 이용한 자유 라디칼 소거력을 측정하였다. PIT-Yuche-NE의 항산화력은 37.2±6.7%이었고, 비교군인 10 mg/mL의 PIT-Toco-NE(토코페롤 20wt% 나노에멀젼)은 28.8±6.5%, 10 mg/mL의 PIT-Nokcha-NE (녹차추출물 20wt% 나노에멀젼)은 29.6±7.2%이었다. 둘째, PIT-Yuche-NE의 콜라겐합성율은 148±15.2% 이었고, 동일 농도에서 비교군인 PIT-Toco-NE은 121±13.5%, PIT-Nokcha-NE은 95±12.7%이었다. 셋째, 6시간 후, Aramo-TS를 사용한 Yuche-CRM의 피부보습효과는 47±3.9% (*p-value£0.05, n=7)이었다. 반면, Toco-CRM은 30±5.2%(*p-value£0.05, n=7)이었고, Nokcha-CRM은 35±4.5%이었다. 따라서 Yuche-CRM은 다른 두 크림보다 높은 보습효과를 보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화장품 산업 및 제약산업에서도 폭넓게 응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sterification of palmitic acid in rapeseed oil and methanol emulsified by propylene glycol with PTSA(p-toluene sulfonic acid) was followed by the transesterification of rapeseed oil into biodiesel with 1(w/v)% GMS(glycerol monostearate) as an emulsifier using TMAH(tetramethyl ammonium hydroxide) catalysts at 60℃. The former reaction was optimized at the 1:20 of molar ratio of oil to methanol and 5wt% PTSA, and the latter was optimized at the 1:8 of molar ratio of oil to methanol and 0.8wt% TMAH. The overall conversion into biodiesel was 98% after 60min of reaction time at the 1:8 of molar ratio, 0.8wt% TMAH and 60℃. TMAH was a good catalyst to control the viscosity of biodiesel mixture.
        4,000원
        6.
        198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orage stability of Instant Ramyon by industrially prepared with palm, beef tallow and blended rapeseed oils for frying oil was studied. The products was stored under fluorescent light at 60℃ with illumination of 9,000 lux. Changes of peroxide value, total carbonyl value, and absorbance at 232 nm of lipids extracted from Ramyon were investigated during storage. The storage stability of Ramyon prepared with oils containing TBHQ had better than that prepared with a mixture of BHA and BHT. The Ramyon prepared with 4 part of rapeseed oil to 6 part of tallow containing 0.02% BHA/BHT showed higher storage stability than that prepared with palm oil alone but showed lower stability than that prepared with tallow alone both under the same condition of antioxidant treatment.
        3,000원
        7.
        198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partially replacing palm oil and beef tallow by rapeseed oil for frying oils of instant Ramyon manufacturing. The AOM stability of rapeseed oil was inferior than of palm oil, but was comparable to that of beef tallow. When rapeseed oil was blended with palm oil or beef tallow, the AOM stability of the blended oil was improved. As far as AOM stability is concerned, best results were obtained with a blending ratio of 3 part of rapeseed oil to 7 part of palm oil and a ratio of 4 part of rapeseed oil to 6 part of beef tallow. These blended rapesee oils was retarded the formation of conjugated dienes and polymers during heating. The antioxidative effects on the stabilities of AOM and thermal in blended rapeseed oils showed that TBHQ was superior to tocopherols and a mixture of BHA and BHT was inferior.
        4,000원
        8.
        2017.07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apeseed cake was extracted with 80% ethanol and then fractionated with H2O (fraction I) as well as with 30% (II), 50% (III), 70% (IV), and 100% ethanol (V). Total phenolic content (TPC),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erric-reducing antioxidant potential, an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were in the order of fractions II > III > I > IV > V. The three fractions with high antioxidant activities and TPC (I, II, and III) were pooled and hydrolyzed by NaOH solution, resulting in 18.97 mg sinapic acid/g hydrolyzed extract and 21- and 2.2-fold increases in TPC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spectively. Hydrolyzed rapeseed cake extracts (200, 500, and 1,000 ppm) and catechin (200 ppm) as a comparison were added to 10% fish oil-in-water emulsion, and their effects on oxidative stability were investigated by measuring hydroperoxide values (PV) during refrigerated storage. PV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emulsions with added hydrolyzed extract as compared to the control (p<0.05) and significantly decreased with increasing extract concentration (p<0.05) over a period of 29 days. The emulsion added with hydrolyzed extract showed higher PV than that added catechin at the same concentration (200 ppm) during 13-22 days (p<0.05), but after then, the PV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This study indicates that hydrolyzed rapeseed cake extract rich in sinapic acid may inhibit oxidation in a fish oil-in-water emuls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9.
        200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nmang' is a new rapeseed (Brassica napus L.) of F1 hybrid with high yield and high quality for oil and meal. This hybrid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Mokpo-CGMS (male sterile line) and 84055-B-10-3-1-6 (restore line) in 1996. It was a
        10.
        1994.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채 지방산조성개량 및 무독박 성분개량육종의 성과로 13년전부터 무에루진산 양질품종을 장여보급한 제주도산 유채가 에루진산 함량이 높아 식용유로의 이용이 어렵게 됨에 따라 '92년산 정부수매유채종자와 '93년산 유채의 포장등숙중 시료의 에루진산 함량을 분석, 그 원인을 추적확인함과 동시에 금후의 유채 연구방향을 재정립하고자 이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1. 제주도 '92년산 정부수매유채는 에루진산 평균 함량에서 전체평균 47.7% 함유되어 있어 유채 유의 국제품질규격의 에루진산 함량 3∼5% 보다 10배나 높으므로 식용유로는 부적한 것으로 판단되었음. 2. 제주도 '93년산 유채의 농가포장 등숙중 시료를 채취, 분석한 결과 포장에 따라 에루진산이 최저 25%로부터 48.5%까지 평균 37% 함유하고 있어 제주도의 농가포장에서는 무에루진산 장여품종이 재배되지 않음이 확인되었음. 3. 제주도에는 중국산 유채와 캐나다산 제유용 유채종실원료가 도입되어 있는바 중국산은 46.6%의 고함유 에루진산 원료였고 캐나다산은 50%인 것과 4% 에루진산을 함유한 원료가 도입되어 있었음. 4. '92 정부수매유채가 '93 포장농가유채보다 에루진산 함량이 훨씬 높고 고함량 에루진산의 외국산유채 도입이 되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값싼 외국산 고에루진산 도입유채가 농가수매유채에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5. 제주도산 유채는 품질로나 경영적인 면에서 경쟁력을 갖출 가능성이 없고 무에루진산 성분개량 품종의 수용에 무관심하므로 현재의 제주도 대상 유채육종은 중단하고 남부지역의 구조개선 2모작답을 대상으로 한 대형기계화 유채재배 적응품종육성으로 방향을 전환함이 바람직하다.tters of western interests, but "health".gs. Notable economic benefit has been achieved.d. 평가를 하고자 하며 기계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간의 상호 관련성에 대하여 연구를 계속하고자 한다.았다. 6. 강남콩 전체가루 (13%, db)의 아밀로그래프에 의한 호화는 시료 모두 최고 점도를 보이지 않았고 가열중 점도는 계속 증가하였으며 시료 A가 가장 높은 점도를 보였고 시료 B와 C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첨가하여 제조한 마요네즈는 색을 제외하고는 모든 항목에서 표준 마요네즈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에, 난황을 전혀 첨가하지 않고 5%의 Bovine Plasma만으로 제조한 마요네즈는 표준 마요네즈와 비교했을 때 다소 강한 기름냄새와 기름맛, 난황이 첨가되지 않아 색에 대한 기호도의 저하 등 관능적인 면에서 전반적으로 낮은 결과를 보였다.sim30명 편성, 현장 학습으로 수업 진행, 수업 시 이론과 실습의 3:1 비율 운영, 절대 평가에 의한 합격여부 판정 등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따라서 사회의 변화를 반영하고 교사의 현장 요구를 적극 수용한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연수자의 일반적 특성 변인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수 기관이 유의미한 변수로 작용하였다. 즉, 어느 연수 기관에서 연수를 받았느냐에 따라 연수에 대한 만족도가 다르게 나타났다(p<.05). 즉 교과교육을 가장 많이 개설하고 운영하였던 기관에서 만족도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현직 교사들의 요구가 많았던 교과교육에 대한 교과 개설이 확대된 표준화된 자격연수 프로그램 개발되어야
        11.
        199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채 국내육성품종, 재래종, 도입품종등을 공시하여 기름함량과 지방산조성 및 glyceride 유질특성을 조사하여 유채 고품질 품종육성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험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채, 개자 공시품종의 기름함량은 최저 21.8%에서 최고 47.4%까지 25.6%의 변이폭을 보였으며, 대부분 35-45% 범위에 분포되었고, 45% 이하 고함유 품종은 목포 71호 목포 90호, 단교 12호등 6품종이 선발되었다. 2. 기름함량은 원산지별로 국내육성 1대잡종 품종이 가장 높았고, 캐나다 품종이 가장 낮았으며, 숙기에 따라서는 만생종일수록 그 함량이 높았고, 1,000입중으로는 극대입종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3. Brassicathr 작물중의 기름함량은 B. napus가 가장 높고 B. hirta등 개자에서 21.8~28.9% 범위로 낮은 수준이었다. 4. 원산지별 지방산조성에서 palmitic, stearic 및 linolenic acid 함량은 큰 차이가 없었으나 oleic, linoleic, eicosenoic 및 erucic acid함량은 큰 차이를 보여 주었다. 5. 성분개량된 품종은 미개량 품종에 비하여 양질인 oleic acid 43.3% linoleic acid 7%가 각각 증가되었다 6. 기름함량과 palmitic, stearic, oleic acid와는 높은 정상관을, 기름함량과 eicosenoic, erucic acid와는 부의 상관으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7. Oleic acid는 linoleic과 정상관, erucic과는 부의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linoleic acid는 lino-lenic과 상관성을 erucic과는 부 상관을 보였고, eicosenoic acid는 erucic과 정의 상관을 보여 주었다. 8. 공시된 3품종의 triglyceride구성비율은 내한유채가 86.7%로 가장 높았으며, 기타(mono, di-glyceride 및 free fatty acid) 는 13.3~17.4%로 나타났다.
        12.
        1984.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답리작과 전작 유채재배에서 지방산조성이 개량된 품종을 공시하여 시비량을 달리했을 때의 토양화학적 성질, 종실의 유분함량 및 지방산조성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분함량은 전작재배에서보다 답리작재배에서 높았고 지방산조성에서는 Palmitic. Linoleic. Linolenic acid함량은 답리작재배에서 높았으며 Stearic과 Oleic acid는 전작재배에서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2. 질소시용은 많을수록 함유율이 증가하는 경향이나 15kg/10a 이상에서는 오히려 감소하였으며 인산과 가리는 모두 증가할수록 함유율이 증가하였다. 3.양질 지방산인 Oleic+Linoleic acid의 함량은 답리작보다는 전작재배의 경우 평균 2∼5% 더 높아서 유질이며 우수하였다. 4. Oleic acid와 Linoleic acid 함량은 질소의 증시에 의해 증가하는 경향이며 인산과 가리에서는 전작인 경우 8kg/10a까지는 증가하나 그 이상에서는 감소하였으며 답리작에서는 인산, 가리의 증시효과가 없었다
        13.
        197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재배시기이동에 따른 유채종자유에 따른 지방산조성은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 함량이 높은 Erucic acid가 가장 큰 차이를 나타냈으며 함량이 적은 지방산의 변동은 적었다. 2. 추파재배한 유채종자가 춘파재배한 것보다 Erucic acid함량이 높은데 대해서 Oleic acid와 Linoleic acid함량은 반대로 낮었다. 이들 차이는 1%수준에서 유의차가 있었다. 3. 추파재배된 유채종자가 Erucic acid함량이 높았으며 이는 등숙기간의 적산온도가 낮고 강수량이 많은데 있다. 이들 기상조건과 Erucic acid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4. 단쇄지방산인 Oleic acid와 Linoleic aci의 증감경향은 항상 정상관관계가 있으며 장쇄지방산인 Erucic acid와는 부의 상관관계에 있었다.
        14.
        1975.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환경조건을 달리하여 재배한 유채유의 지방산조성은 품종과 지방산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일반적으로 함량이 낮은 지방산에서는 함량차가 적은데 대해서 함량이 높은 Erucic acid에서는 뚜렷한 차가 있었다. 2. 국내의 3개지역에서 재배된 유채품종의 지방산조성은 목포가 제주, 강릉보다 Erucic acid함량이 높으며 Oleic acid와 Linoleic acid함량은 낮았다. 어느 경우나 단쇄지방산과 장쇄지방산과의 사이에는 높은 부의 상관이 있었다. 4. 목포에서 재배된 유채종자가 Erucic acid함량이 높았던 원인은 등숙기간의 적산온도가 낮고 강수량이 많으며 일조시수가 적은데 있으며 이들 환경조건과 Erucic acid함량과의 사이에는 각각 높은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같은 경향은 한국과 일본의 지역차에서도 같은 원인과 상관관계가 성립되었다.5. 지방산개량육종은 등숙기간의 온도가 낮고 강수량이 많으며 일조량이 적어서 Erucic acid함량이 높아지기쉬운 지역에서 육종하는 것이 효과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