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학 실천은 학습 소재에 해당하는 대상이나 관찰과 측정을 위한 도구와 같은 ‘이질적인 것’들과 새로운 관계를 맺는 과정이다. 최근 전공 교과에 대한 과학 실천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천체 관측이라는 지 구과학 교과의 특유한 과학 실천을 새롭게 들여다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천체 관측을 경험한 학생들과 수많은 물질들 이 만들어 낸 의미를 ‘-되기’의 경험으로 바라보았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A고등학교의 천체 관측 활동에 참여하는 17명 의 학생들이 작성한 활동 일지, 사진 자료 등을 수집하고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상황 분석 방법을 재 구성하여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학생들의 존재-인식론적 ‘-되기’의 과정으로 1) 반복을 통해 새로움을 발견하 는 과정, 2) 천체 관측 활동의 정동을 전달하기 위한 ‘설명 기계’가 되어가는 과정, 3) 안정적인 영토를 벗어나 문턱을 넘는 과정을 발견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지구과학교육과 교육 연구를 위한 교사의 실천과 새로운 접근 방식에 대해 제언하였다.
        4,000원
        2.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depth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a parent education program at the H Science Institute and understand the meaning and essence of their experiences. Methods: This study employ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0 to 30, 2023.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28 people who could provide detailed experiences of participation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at the H Science Institute. Focus-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8 participants. Results: The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vealed six themes: “Exploring the genuine path to become a parent”, “Precious experiences acquired through education that is not easily accessible”, “Discovering the transformed self through education”, “I believe that there had been a change in family relationships”, “Improvements are required in a few contents”, and “I look forward to the program with more extended outreach”. Conclusion: Effort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parent education, verify its empirical effectiveness, and provide parents with awareness of the necessity to observe and control their minds.
        5,400원
        3.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코칭이 활성화 되고 다양한 형태의 코칭이 그 모습을 드러내면서 코칭에 대한 궁금증은 더더욱 커지고 있다. 코칭의 범위는 무엇인지, 코칭과 다른 유사분야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코칭의 효과는 무엇인지 등 코칭의 정체를 파헤치고자 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코칭은 학문적으로나 전문직업으로나 매우 최근에 발달된 분야로서 전 세계적으로도 2000년대 들어 그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코칭을 하나의 전문적인 직업으로 인정받기 위해 필요한 하나의 조건인 학문적 기초를 다지기 위한 출발점으로서 현재 프랙티셔너들에 의해 행해지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코칭을 분류하고 그 특징을 간략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코칭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객관적인 분류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상의 분류, 대상에 따른 분류, 주제에 따른 분류, 진행형태에 따른 분류, 코칭하기와 코칭 접근법 활용하기에 따른 분류 등 다섯 가지의 분류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Stein(2003)의 'The Field of coaching Studies'를 기초로 하여 코칭학의 종합적인 분류에 대한 초기 모델로서 ‘코칭 나무’를 제안하였다.
        5,100원
        4.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복잡한 현대를 살아가는 데 있어서 우리 삶 가운데 큰 도움을 주고 있는 코칭에 대한 연구다. 그 중에서도 삶의 코칭, 즉 라이프 코칭(life coaching)에 대한 이해를 도울 것이다. 라이프 코칭은 사람들이 원하는 것을 이루기 위해서 존재하며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행복에 기여한다. 라이프 코칭은 넓은 의미와 좁은 의미의 코칭이 있다. 넓은 의미에서 라이프 코칭은 ‘인생의 행복한 삶을 유지하거나 그것을 찾기 위한 코치와 피코치와의 아름답고 신나는 여행’이다. 좁은 의미의 라이프 코칭은 ‘자신의 더 나은 미래의 삶을 위해 자신의 능력을 이끌어 내가는 과정’이다. 전자가 인생의 목표인 행복에 초점이 있다면, 후자는 그것을 찾아가기 위한 것에 대한 과정을 도우는 것을 말한다. 최근 라이프 코칭의 바람직한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법들이 연구되었다. 전통적인 방법이 있는가 하면, NLP적 접근방법, 에니어그램적(enneagram system) 접근이 있는데 이것은 프로그램으로서 접근방법이다. 그러나 코칭의 프로세스로서 접근 방법은 코칭 시에 어떤 과정으로서 코칭을 행하느냐는 것으로서 개선적 접근과 창의적 접근 방법, 시스탬적 접근 방법, 대인관계와 내면 심리적 접근 방법, 이성적 접근 방법과 감성적 측면으로 접근 방법이 있다. 라이프 코칭은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키고 삶의 균형을 갖도록 하는 탁월한 도구다. 그것은 우리들의 삶에서 더 많은 승리를 얻게 함으로써 더 많은 성취(fulfillment)를 거두게 하고 더 많은 깨달음으로 더 많은 균형(balance)잡힌 인생을 살게 하며 더 많은 평화를 위해 더 효과적인 인생(process)을 살아가는 것이 라이프 코칭이다.
        4,900원
        5.
        200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과 과학 교수 효능감은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 둘째,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 정도에 따라서 과학 교수 실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 정도에 따라서 과학 교수 실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53개 공립 초등학교에서 120명의 교사를 표집하여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 측정 도구와 과학 교수 효능감측정 도구를 투입하였고, 수업 관찰과 면담을 통하여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과 과학 교수 효능감은 경력이 많을수록 점차 증가하며, 학력이 높을수록 발달한다.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과 과학 교수 효능감의 상관분석 결과 둘 사이에 높은 상관 관계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였다. 둘째,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이 높은 교사의 수업 실제의 특징은 교사가 가지고 있는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었으며 수업 전체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있었다. 셋째, 과학 교수 효능감이 높은 교사의 수업 실제의 수업의 초기에 수업 목표와 학습 문제를 학생들에게 정확하게 인식시키려고 노력하며 수업의 각 과정에도 재인식시키는 특징이 있다. 자기의 과학 수업에 대한 상당한 자신감이 있고 내용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수업에 관련된 그 외의 분야에도 지식이 풍부한 공통점이 있다.
        4,800원
        6.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meaningful suggestions according to the theoretical backgrounds and the scholastic characteristics and the present status of earth science education as a field of subject lesson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presented, the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1. Based on the scholastic characteristics, earth science plays a role as a subject content education, and earth science education functions a leading part as a subject lesson education. Accordingly, this might be an essential field for training earth science teacher with education. 2. It is thought that the educational goals of the department of earthscience education might be trained to be in an earth science educator rather than earth scientist or natural scientist. 3. It is thought that the solid background to the subject contents is essential for becoming earth science teacher. For the reason, the curriculum for training earth science teachers needs to be reformed to what extent like the criterion of the department of natural science. If it is really in a difficult matter, it might be effective for training earth science teacher to take the course work of science content related in the department of natural science under the equal circumstances. 4. It is considered that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might be organized according to the integrated subject lesson education rather than separate subject content education. 5. It is thought that the suggestions presented above will be accepted as the real worth of teacher training school and its pursuing goals are recognized as it is.
        4,000원
        7.
        202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육이론과 실행 간 격차는 오래전부터 논의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론과 실행 간 관계속에서 이론의 역할에 대한 논의가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이론의 영역을 과학교사의 내용 지식(SMK: Subject Matter Knowledge)과 교수내용지식(PC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에 한정하여, 이와 관련된 기본 개념을 재구조화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연구문제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하고, 가설적 제안과 가설 검증을 위해 필요한 실증적 연구도 함께 제안하였다. 첫째, 교과 내용 지식을 학생이 알아야 할 지식과 상위지식으로서 교사가 알아야 할 지식으로 나누고, 교사가 알아야 할 상위지식의 유형을 제시하면서, 이러한 상위지식이 교사의 수업 실행과 연결되기 위해서는 상위지식도 학생지도를 위해 직, 간접적으로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둘째, 심리학의 체화된 인지(embodied cognition) 이론에 기초하여, 교사의 지식이 상황에 맞추어 적절하게 변형되면서 즉각적으로 실행되려면 체화된 PCK (embodied PCK) 개념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고, 체화된 PCK의 특징과 과학교사의 수업 실행에서 이것이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PCK와 체화된 PCK를 포함하여 이론 과 실행 간 관계를 강조하는 새로운 PCK 모델을 제안하고, 그 특징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논의와 가설적 제안 및 실증적 연구의 제안은 이론과 실행 간 관계 속에서 이론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보다 깊은 이해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며, 나아가 이론과 실행 간 조화를 위한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8.
        2017.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세 명의 미국 초등학교 선생님들이 문화와 언어가 다른 도심지 저소득층 학생들을 위한 과학 수업 구성함에 있어서 어떻게 여러 가지 상황에 대한 지식이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도심지 저소득 학생들을 위한 각 교사의 세부적인 교육적 결정과 여러 가지 당면 한 상황 간에 역동적인 상호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상황에 대한 교사지식”에 관한 이론적 분류틀 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의 방법은 다중 사례연구로 각 교사에 대한 연구가 독립적인 사례로 제시 되었다(Merriam, 2001). 교실 관찰 기록과 인터뷰 전사 자료가 주요 연구 데이터로 사용되었으며 해석학적 질적 분석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들이 가지는 학생들의 과학 용어 이해의 부족과 같은 학생 상황에 대한 이해와 국어가 강조되는 학교 교육과정과 같은 외부 상황에 대한 이해가 비슷할지라도 각 교사의 실제적인 수업에는 큰 차이가 있음을 보여 준다. 특 히 각 교사의 내부적 상황 지식(knowledge of internal context)이 각 교사가 교수법적 결정과 실 제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결과는 교사가 문화 반영적 과학 교수법 (culturally relevant science teaching practices)에 대한 이해 부족의 문제점을 보여준다. 마지막으 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도심지 빈민 다문화 학생을 위한 초등과학교육에 대한 제언을 기술하 였다.
        9.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과학중점고등학교의 담당교사들이 반성적 실천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가를 분석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그들이 교육현장에서 과학중점고의 기본운영과 특화연구 과제를 기획하고 운영하면서 경험하는 반성적 실천의 의미와 과정을 발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총 11명의 과학중점고 담당교사를 대상으로 유의표집하였으며, 심층 면접으로 연구 참여자들이 근무하는 학교에 직접 방문하여 학교 시설물 및 학생들의 활동내용 등을 관찰하였고, 이는 연구 참여자들이 실천과정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들을 얻는데 도움이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자료수집 과정과 분석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연구 참여자들에게 분석에 포함된 자료들과 분석결과들을 다시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이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과학중점고 담당교사 2명을 대상으로 연구 결과에 대해 공감하고 있는지 논의하였다. 분석결과 과학중점고 담당교사는 연구과제와 특화연구 실천과정에서 예측하기 어려운 교육현장에서 복잡한 문제 상황을 일상적으로 대면하고 있으며 실천과정에서 문제 상황을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과학중점고 담당교사는 반성적 실천을 통하여 교육적 신념을 확인하고 성공과 실패를 통해 새로운 앎에 이르렀다. 교사 수업전문성 향상, 진로지도, 탐구활동 지도, 학내 기반 확보, 연구과제 지도 등 지속가능한 과학중점고의 방향을 제시함을 통해 과학중점고의 운영맥락을 충분히 숙지하고 반성적 실천을 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반성적 실천결과의 의미는 교사는 교육경험에 의한 자기평가를 통하여 지식의 생성과 교육전문가로 자아존중감이 높아졌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