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7

        1.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낫또(natto)는 일본의 전통 콩 발효식품으로 혈전용해, 면역증강, 항고혈압, 항비만, 항균, 항산화, 항당뇨등의 다양한 효과를 가지고 있어 소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낫또용으로 이용되는 콩 품종의 성숙 종실에는 소화 불량, 알러지 유발 및 가공 적성을 저하시키는 P34, lectin, Kunitz Trypsin Inhibitor (KTI), 7S α′subunit 및 lipoxygenase 단백질과 같은 항영양성분도 포함되어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성분에 대하여 penta null 유전자형(p34leticgy1lox1lox2lox3)을 가지면서 종자 크기가 중소립이고 노란색 종피와 제색이 노란 또는 옅은 갈색을 가진 낫또용 콩 계통을 육성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64 및 22C1 모본과의 교배를 통하여 제색이 노란 및 옅은 갈색이면서 종자 크기가 소립인 81개의 F2 종자가 선발되었고 그 중에서, P34 단백질 함량이 매우 낮은 18개의 F2 종자가 선발되었다. 18개의 F2 종자로부터 초형, 성숙기, 종피색, 제색 및 백립중이 양호한 2개의 F2 개체(BL1 및 BL2)가 최종 선발되었다. BL1 선발 개체의 성숙기는 중간이었고 종피색은 노란색이며 제색은 연한 갈색을 보였고 백립중은 12.4g으로 소립이었다. BL2 선발 개체는 성숙기가 조생이었고 종피색과 제색은 모두 노란색은 보였으며 백립중은 12.6g으로 소립이었다. 선발된 두 개체는 모두 대표적인 항영양성분인 P34, lectin, KTI, 7S α′subunit 및 lipoxygenase 단백질에 대하여 모두 열성인 penta null 유전자형(p34leticgy1lox1lox2lox3)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발 개체는 낫또용 콩 품종으로 육성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4,000원
        2.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 aeroponic seed potato production technology project has been established in Pakistan through the Technical Cooperation Project (TCP) between RDA-KOPIA and PARC. For sustainable potato production, producing high-quality and disease-free potato seeds is critical in Pakistan. The majority of the farmers recycle their own seeds or obtain them through informal ways. Consequently, tuber-borne illnesses proliferate, seeds deteriorate, and yield diminishes. To mitigate such problems, the country moved to sustainable seed potato production by adopting rapid seed multiplication strategies like the combination of tissue culturing with aeroponic seed production technology which is being evaluated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pre-basic seed production methods. A series of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e shoot development and mini tuber production attributes between two cultivars, different plantlet size and planting period between October 27, 2021, and January 27, 2022, at the NARC aeroponic facility. A CRD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was used. The study aimed to compare the productivity by variety, plantlet size and planting period to improve aeroponic seed production technology in Pakistan. The results indicated that Lady Rosetta outperformed Asterix in terms of shoot growth and small tuber output. Early planting at an optimal temperature of 27 degrees Celsius in the daytime showed a substantial difference when compared to late planting in November and tuberization was commenced 50-55 days after transplantation. Furthermore, in an aeroponic seed potato production system, normal plantlets (8-10 cm) at the time of transplantation, performed better than medium and small plantlets. In a nutshell, it was determined that normal size plantlets (8-10 cm) of Lady Rosetta cultivar, planted at optimum time to plant showed best results in the aeroponic system at NARC, Islamabad, Pakistan.
        4,000원
        3.
        2015.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work, uniform and nanosize(75nm) silicalite-1 crystals was hydrothermally synthesized by using 9TPAOH:0.16NaOH:25Si:495H2O solution at 80 ℃. They were applied as seed in the secondary growth process for preparing silicalite-1 membrane by template-free method. The highest ethanol/water separation factor of 119 with flux 0.58kg/m². Furthermore, these membranes (nano seed, template free silicalite-1 membrane) exhibit high permselectivity of He over SF6(123), and small gas permeation mechanism and Knudsen diffusion studies suggest that the membranes contain negligible intercrystalline or non-zeolite pores.
        4.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지방산 조성이 우수하고 종실중도 무거운 유채 계통들을 선발하고자 국내에서 육성된 유채 4품종(탐미, 탐라, 한라, 목포CGMS)을 모본으로 이용하고, 대만 AVRDC에서 도입된 3 품종(Sarso, Sarson, Sarsyun)을 부본으로 사용하여 종간교잡을 실시하였다. 교배친, F1 및 F2 세대에서 100립중, 지방산 조성, 및 종피색을 분석하였다. F1 및 F2 세대에서 100립중을 조사한 결과, 교배 모본으로 탐미와 부본으로 Sarsyun이 사용된 경우 평균 100립중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 측면에서는 Oleic acid(C18 : 1) 함량이 높은 계통들은 모본의 지방산 조성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고, Erucic acid(C22 : 1) 함량이 높은 계통들은 부본의 지방산 조성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종자가 크고 지방산 조성이 양호한 계통선발이 가능하여 바이오디젤용 고수율·대립 유채 종자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5.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this work, uniform and nanosize(75nm) silicalite-1 crystals was hydrothermally synthesized by using 9TPAOH:0.16NaOH:25Si:495H2O solution at 80 ℃. They were applied as seed in the secondary growth process for preparing silicalite-1 membrane by template-free method. And silicalite-1 membrane, which was coated by nano-size seed, showed a high EtOH/H2O separation factor of 128. The high separation factor could be explained by the role of nanosize seed. The application of nanosize seed successfully retarded the formation of interfacial voids between silicalite-1 grains. Therefor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emplate-free hydrothermal process can produce silicalite-1 membrane with well performance.
        6.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aimed comparative analysis for business performance of land-based ezo abalone (Haliotis discus hannai) seed farms by standardizing cost structures by region and farming size. The result of survey on average farming incomes by region showed that farming incomes in Haenam and Jindo regions were much higher than those in other regions. Followed by Wando region, incomes in other regions were analyzed to be relatively lower. It is shown that farming incomes became higher as farm size increased. Farming incomes per unit size which were modified from farming incomes by region were highest in Jindo region, followed by East sea region, Wando and Haenam regions. Incomes in Jeju and Yeosu regions were analyzed to be relatively lower. Results on farming incomes per unit size (m2) showed that both farming incomes and profits became higher as size increased. It implies that a scale effectiveness might exist in case of land-based abalone culture system. Impacts of major factors on farming profits and returns on investment in abalone seed aquaculture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only if the survival rate increased by 10% with improvement of component ratio, variable effects became largest. In variable effects of other factors, a variation in Jindo region was largest and on the other hand, a variation in Yeosu region was shown to be smallest.
        4,500원
        7.
        2014.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식물 종자의 크기가 다르면 발아와 생육반응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우리나라 산림군락의 주요 우점종인 굴참나무 종자와 일반적인 단풍나무와 다르 게 5월에 결실하는 은단풍의 종자를 3등급의 크기(대, 중, 소)로 구분하였다. 굴참나무에 대해서는 추가적으로 광을 3구배(100%, 70%, 30%)로 처리하여 온실에서 유식물의 초기 생육을 관찰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굴참나무는 지 상부 길이(shoot length)와 줄기높이(stem height)가 광이 70%이상인 환경에서는 종자가 클수록 길었고 줄기직경 (stem diameter)은 광이 100% 환경에서 종자가 클수록 두 꺼웠다. 큰 종자의 지상부 무게(shoot weight)는 광에 대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중간종자와 작은 종자에서는 광이 높을수록 무거웠다. 줄기무게(stem weight)는 큰 종자와 작 은 종자에서 광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중간종자는 광이 가장 센 100%에서 무거웠다. 잎 수(Number of leaves)는 종자가 클수록 많았으나 광량이 적을 때(30%)는 큰 종자가 가장 적었다. 잎 밀도(Leaf density)는 종자크기 별, 광구배 별 영향을 받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굴참나무의 생육반응은 광이 높거나 중간정도인 환경에서 큰 종자일수록 유리한 반면 광이 낮은 환경에서는 종자크기에 따라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은단풍은 종자가 클수록 발아율 (Germination rate)이 높았다(대(64%)> 중(58%)>소(42%)).
        9.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식물의 초기 생활사가 종자크기에 따라 어떤 영향을 받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우리나라 산림군락에서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참나무 4종의 열매를 3등급의 크기(대, 중, 소)로 구분하고, 그에 따른 4종의 발아율, 겨울철 생존율과 초기 생장율을 측정하였다. 평균 발아율은 종자가 큰 상수리나무와 굴참나무에서 높았고,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갈참나무와 졸참나무에서 낮았다. 그러나 종 내 종자크기에 따른 발아율은 굴참나무에서만 종자가 작을수록
        4,000원
        10.
        200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시험은 1997년 연암축산원예대학 부속실험목 장에서 석회, zeolite 및 rock phosphate의 조합비율과 피복 종자의 크기를 달리 하였을 때 목초의 발아 및 초기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피복한 tall fescue 및 orchardgrass의 발아세 및 발아율은 피복하지 않은 종자에 비하여 낮았다. Tall fescue 피복종자의 발아율은 석 회 70 %와 rock phosphate 15%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4,000원
        11.
        199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국내 농가 포장에서 수집(蒐集)된 작약(芍藥)종자의 크기와 발아율(發芽率)간에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작약(芍藥)종자의 발아적온은 로 나타났고 종피색별 발아율은 담갈색(淡褐色)의 종자에서 68%로 가장 높았다. 작약(芍藥)종자에서 침출되는 점액물(粘液物) 총량은 종피색에 따라 차이를 보여, 담갈색(淡褐色)이 가장 적었고, 갈색(褐色), 농갈색(濃褐色), 흑갈색(黑褐色) 순으로 색깔이 짙어질 수록 많았다. 작약(芍藥)종자의 발아율과 발아과정중 침출된 점액물(粘液物)총량과의 관계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관행 노천매장에서 처리 8주후의 발아율이 50%로 낮은데 비해, 모래 + 활성탄 혼합처리에서의 발아율은 9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4,000원
        12.
        199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넓은 잎 벌로랑이의 이용에 있어서 초기생육 부진이 가장 심각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유식물 활력증진을 위한 육종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기 위하여 종자가 작은 MO-20과 종자가 큰 302921 두 채통을 와 의 생육상에서 재배하여 유식물 활력을 비교 검토하였다. 이산화탄소 교환솔(CER)은 적외선 가스분석기를 이용하여 closed system으로 측정하였다. 암호흡솔은 Gilson 호흡계로 측정하였으며 일당 순탄소 축적솔과 유식물 생장분석도 조
        4,000원
        13.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ybean [Glycine max (L.) Merr.] is an important source for protein, oil, carbohydrates, isoflavones, and many other nutrients to humans and animals. Lipoxygenase protein is the main antinutritional factor in mature soybean seed. Soybean cultivar, "Choseon" with yellow medium seed size and free of lipoxygenase 2,3 protein was developed. "Choseon" was selected from the population derived from the cross between cultivar, "Jinpum 2" and germplasm, PI408155. "Choseon" has purple flowers, tawny pubescence, a determinate growth habit, and light yellow pods at maturity. The seed of "Choseon" has yellow hilum and yellow seed coat color. Seed protein and oil content on a dry weight basis were 34.2 and 16.9%, respectively. "Choseon" has shown a resistant reaction to soybean necrosis, soybean mosaic virus, Cercospora leaf spot and blight, black root rot, pod and stem blight, and bacterial pustule. "Choseon" matured in 5 October with plant height of 51 cm and a 100-seed weight of 15.1 g. Average yield of "Choseon" was 2.66 (Ton/ha) on the regional yield trials of 2013 at 4 locations. "Choseon" has been registered as a soybean cultivar (registration number: 5985, registration date: April 11, 2016) by Korea Seed & Variety Service, Republic of Korea.
        14.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Recently, many breeders have preferred to use molecular markers for introgression backcross programs enabling foreground and background selection to cope with rapid cultivar changing of seed markets. In accumulation of target traits with marker-assisted selection, larger numbers of markers should give better resolution. For the analysis of quantitative traits, a high-density genetic map with a large number of markers is required for discovering more accurately linked markers with traits. Watermelon is a recalcitrant plant to generate a high-density genetic map with conventional molecular markers including simple sequence repeats (SSRs), since watermelon has narrow genetic diversity background and severe segregation distortions of those SSR markers. Thus, we have developed efficient and valid way to assemble genetic map and markers by next-generation sequencing coupled with genotyping by sequencing in F2 generation. After crosses between Citurullus lanatus ssp. citroides (PI254744 and PI189225) and C. lanatus ssp. lanatus (TS34, Korean cultigen), 163 of F2 progeny were sequenced through Illumina's Hi-Seq GAII platform. From sequence information of those variant call files, the SNPs were indexed and filtered by sequencing depth with genotype converter (SNP Genotyper), and optimized by heuristic physical bin mapping to construct more reliable genetic linkage map. Reliable SNP loci were determined and compared to sequences of physical reference map. Using the genetic map, we determined QTLs in F2:3 population and found major loci corresponding to seed size and powdery mildew race1 resistance in watermelon.
        16.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 품종육성에 있어 잎의 크기가 종실무게와 관련된 형질 의 초기 분리세대에서 조기선발 지표로서 활용 가능성을 구 명하고자 재래종, 도입종 및 야생종 등 229개 품종 및 유전 자원을 대상으로 단엽과 제1본엽 및 제3본엽과 종실 무게 와의 상관관계를 조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험재료 229개 품종 및 유전자원의 단엽 면적은 3.2 ∼33.8 cm2, 제1본엽 면적은 9.2∼29.5 cm2, 제3본엽 면적은 7.2∼58.9 cm2, 종실의 100립 무게는 2.7∼ 39.0 g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2. 엽 면적과 종실 무게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고, 상관의 크기는 단엽(r=0.80**), 제1본엽(0.75**), 제3 본엽(0.67**) 순으로 나타났다. 3. 엽의 장폭과 종실무게 사이에는 유의한 정의 상관이 있었고 단엽의 길이(0.71)와 폭(0.79)이 제1본엽, 제3 본엽 보다 상관이 높았으며, 엽장보다는 엽폭이 높은 상관을 보였다. 조사된 콩 잎의 장 · 폭비는 상위엽이 높았다. 4. 콩 종실크기와 관련된 생육 초기선발의 간접지표로서 단엽 크기와 단엽의 폭을 이용하는 것이 제일 유리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17.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소청2호’는 녹색 자엽의 검정콩으로 내재해성이 우수하고 가공용에 적합한 신품종육성을 목표로 숙기가 매우 늦은 대립 검정콩인 ‘밀양78호’와 소립 내재해 도입종인 ‘Peking’을 1996년 인공교배한 YS1262 조합으로 계통육종법으로 선발하였고 계통명은 ‘밀양182호’이다. 꽃은 백색이고 자엽색은 녹색이며, 입형은 장타원형이며 성숙기가 지나면 협의 개열에는 약하다. 성숙기는 10월 2일로 ‘청자콩’과 같이 다소 빠른 품종이며, 경장은 56 cm로 ‘청자콩’보다 10 cm 짧고 100립의 무게는 12.2 g인 소립인 품종이다. 도복에 강하며 포장 재배시험에서 콩모자이크 바이러스병은 다소 발생하였고, 불마름병에 대한 유묘 접종 및 포장반응은 ‘청자콩’과 비슷하나 약한 편이다. 종실성분으로 조단백 함량은 38.8%로 ‘청자콩’보다 다소 낮았고, 종실의 아이소플라본 함량은 2,031㎍/g으로 ‘청자콩’보다 높았다. 청국장 가공적성에서 ‘일품검정콩’보다 발효 정도는 다소 낮으나, 청국장 수율 및 풍취에서 우하였다. ‘소청2호’의 중남부지역 5개소의 평균 수량성은 ha당 2.00톤으로 ‘청자콩’ 대비 7% 증수하였다.
        18.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검정찰옥수수 종실을 일반분쇄와 저온미세분쇄를 하여 입자크기에 따른 항산화 활성과 cytotoxicity를 평가하여 이용성 증진을 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분쇄 정도에 따른 평균값은 일반분쇄가 473.7um , 저온미세분쇄 17.2um 이었으며 중간값은 336.9um 와 13.4um 를 나타내었다. 2. TEAC 활성 측정 결과 일반분쇄는 3.87umol TE/g로서 저온미세분쇄 5.15umol TE/g보다 낮은 활성을 보였다. FRAP 활성 측정에서는 저온미세분쇄가 10.08umol Fe(II)/g로 일반분쇄 8.86umol Fe(II)/g보다 높은 활성을 보였다 3. 간암 세포주(Hep-G2) 성장억제에 미치는 영향은 1 mg/ml 농도에서 검정찰옥수수 종실을 일반분쇄(31.48%)한 것보다 저온미세분쇄(27.41%)를 한 경우가 암세포 생장 억제 효과를 큰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장암 세포주인 HCT-116에서는 1 mg/ml에서 분쇄정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유방암 세포주(MCF-7)에서는 일반분쇄가 미세분쇄보다 높은 생장억제를 보였다.
        19.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 of seed weight on different aspect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germination and growth characteristics. Quantity of sinapine leaked from seed was greater as the viability of seeds was dropped by the time elapsed of seed aging model and long storage condition in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The cultivar of safflower was Jin-Sun and the seeds that are separated to three different weights of small, middle, and large were used in this experiment. Large seeds revealed the highest germination percent, coleoptiles fresh weight, coleoptiles dry weight, radicle fresh weight and 1000 seed weights than other seed weight. Seed weight had little effect on yield while seed number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Interestingly, yield per plant and its major components, number of capsules and capsule weights, revealed a negligible relationship with oil content.
        20.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종실의 크기가 작고 불균일한 소립종으로 파종시 초기 입모불량의 문제점을 개선하기위해 형질특성이 다른 밀수형 황금찰와 산수형 토종 품종을 대상으로 종자크기를 5가지 등급으로 선별하여 실내종자활력 평가와 포장조건에서 선별파종 효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주요 수수품종별 종자의 크기별 분포특성을 분석한 결과 황금찰에 비해 토종이 대립종으로 나타났으며, 종자의 균일도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자크기가 클수록 천립중과 비중, 탄수화물과 단백질 함량이 증가되었고, >3.55 mm 와 <2.36 mm의 천립중도 황금찰 19.78 g과 토종 17.91 g로 차이를 보였으며, 탄수화물과 단백질함량은 각각 0.98%, 14.61%의 차이를 보였다. 종자크기 >3.55 mm와 3.15 mm 범위에서는 탄수화물과 단백질함량 함량은 유의성이 없었으며, 탄수화물/단백질함량비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종자활력을 시험한 결과 저온과 표준발아시험 모두 종자 크기가 클수록 발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자크기가 >3.55 mm 이상의 종자 발아율이 79.8%로 높은 반면<2.36 mm에서는 51.5%로 크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2.80 mm 이하부터는 크게 떨어졌다. 포장조건에서 출아율은 황금찰의 경우 >3.55 mm에서는 92.7%로 높은 반면 <2.36 mm에서는 31.3%로 크게 낮았다. 평균출아일수는 황금찰의 경우 >3.55 mm에서는 4.26일이 소요되는 반면 <2.36 mm에서는 4.74일이 소요 되었고, 출아율지수는 >3.55 mm에서는 0.87인 반면 <2.36 mm에서는 0.26으로 종자크기가 작을수록 크게 감소되는 경향을 보였다. 수량에서는 <2.36 mm에 비해 >3.55 mm에서 황금찰 24.5%, 토종 36.9%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3.15 mm 미만부터는 뚜렷한 수량성의 차이를 나타났다. 따라서 수수종자 크기별로 중량, 밀도, 성분분석, 표준발아 조사, 저온발아조사 등 실내 종자활력 시험과, 포장조건에서 발아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3.15 mm 이상의 종자를 선별하여 파종하면 수수의 종자활력이 높아져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