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

        1.
        2016.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imal-Assisted Intervention programs and interventions with students are becoming promising field in school and therapeutic settings. Following this trend, Animal-Assisted Intervention (AAI) program was designed to help students adopt more easily to school life and to encourage them to keep healthy relationships with other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 (AAI)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sociability and depress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8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Seoul who were interested in animals and agreed to the research attended this program. This study was conducted two times a week for 6 weeks (a total of 12 times) with one main researcher and three research assistants. The major research tool was the test of sociability and depression and the statistical test being used for this study was Wilcoxon's signed rank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ed the significant effects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 on sociability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ny aspects such as reliability, autonomy, sociability and compliance. Second, significant reductions in anxiety and depression were found after the introduction of animal-assisted intervention for students. Students who participated this program experienced a reduction in depression and stress to some degree. Also, they began to form much more positive friendships and followed school rules as well.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animal-assisted intervention program significantly has the positive effects on the social adaptability and depress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refore, this animal-assisted interven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positive program for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upport for middle school students.
        4,500원
        2.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동물매개중재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정서지능과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A구 B소재의 중학교에서 방과 후 교육을 이용하는 학생 중에 동물에 관심이 있는 남학생들로 프로그램연구에 동의하는 8명을 선정하였다. 동물매개중재프로그램은 주 2회 45분씩 6주간 총 12회기를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계획 및 운영은 동물매개심리상담사 1급자격증을 취득한 본 연구자와 보조 진행자로 한국동물 매개심리치료학회 소속 동물매개심리상담전문가 1인과 펫파트너로 동물매개심리치료학 전공 4학기생과 동물매개심리상담사 2급자격증을 가진 2인이 반려견 2두와 함께 참여하였다. 치료도우미견을 활용한 동물매개중재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검사도구는 정서지능 척도검사, 사회성 척도검사이며 비모수적 통계분석 (non-parametrictest)방법인 윌콕슨 부호순위검증(Wilcoxon's signed ranks test)을 통 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간의 점수 차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동물매개중재 프로그 램이 중학생의 정서지능과 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정서지능에서 정서인식 및 표현, 감정이입, 정서·사고촉진, 정서활용 그리고 정서조절에서 유의한 차이 가 나타났고, 사회성에서는 신뢰성, 자율성, 사교성 그리고 준법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정서조절과 사교성에서 다소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동물매개중재의 차별화된 장점의 결과로 보인다. 따라서 동물매개중재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정서지능과 사 회성 향상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의 의의가 있다.
        4,500원
        5.
        2017.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재 대한민국은 65세 이상의 노인의 수는 약 542만 명으로 65세 이상 노인 5명중 1명은 독거노인에 해당이 된다. 저 출산 고령화 현상으로 독거노인의 비율은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사회에 여러 노인 문제를 야기하며, 특히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독거노인의 경 제적 사회적 심리적 문제 등을 유발한다. 특히 독거노인은 함께 생활하는 다른 노인들에 비해 고독감과 우을증이 쉽게 나타나고 사회성이 감 소하며 빈곤과 질병으로 고통 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우울감과 사회성 감소를 해소하기 위한 독거노인의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우울증 감소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연구하여 원예치료를 통한 노인의 사회적 문제 해결 방안을 모색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종합사회보지관에 독거노인 우울증 친구만들기 프로젝트에서 65세 이상 90세 미안의 우울감이 있는 독거 노인 10인을 연구 대상으로 실시 하였다, 3월 8일 ~ 5월 17일 간 매주 수요일 1시간의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엿다 원예치료 활동 프로그램의 독거노인의 우울증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우을증 척도와 사회성 발달 척도를 이용하 여 평가한 결과 , 10명 중 9 명이 긍정적으로 변화 되었음을 알수 있었다. 첫 회기 에 자기 소개를 할때에도 관심을 보이지 않고 말이 없으셨던 분들이 회차가 거듭될수록 말수가 늘어나고 옷차림에도 신경쓰시는 등의 변화를 지켜 볼수 있었다, 또한 웃음이 없던 불들이 밝게 웃으시고 원예 활동에 대한 의지를 보이시는 등 눈에 띄는 변화를 보이시는 분들도 있었다. 따라서 원예치료 프로 그램이 독거 노인을 우울증 감소와 자아 존중감 향상에 효율적인 방법임을 알수 있었다
        10.
        2011.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대상자의 수가 적고 연구기간이 짧아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 제한점이 있으나 원예치료프로그램이 보육시설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 유의함을 나타내었다. 이는 자연의 산물인 식물로 오감을 자극하는 창작활동을 통해 자기표현을 함으로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식물심기 등을 통해 공동체를 인식하여 사회성을 향상시켰다고 생각 된다. 따라서 자아형성과 사회에 적응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는 보육시설아동들에게 건강한 인성발달을 위한 다양한 원예치료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16.
        200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orticultural activities on the sociability and eating habit for children seven years old in kindergarten. The two groups of preschool children 7 years, in 'M' kindergarten and in 'N' kindergarten, were objects of this research. The number of children were 22 and 7, respectively. The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 were applied for 12 sessions in one time a week to 'M' kindergarten and for 15 sessions in one time a week to 'N' kindergarten. The results showed horticultural activities significantly improved sociability and eating habit. Especially the inclination for violence, injuring or beating, was reduced remarkably. Horticultural activities seem to be effective for understanding on natural phenomenon, involve the characteristics of a plant and an animal, and also for recognizing signification of nature life while children did horticultural activities. It was seem those positive effects lead improve sociability in their group. Horticultural activities had an effect on eating habit for children. Especially, It was seem that this effect, improving an unbalanced diet habit, arise from getting familar with vegetables while children cultured and cared themselves.
        18.
        200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analyze how a horticultural therapy affects behavioral psychotic symptom and sociability of schizophrenic patients, a study was performed with 48 schizophrenic patients in a psychiatric institution in Daejeon, Korea. The horticultural therapy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a total of 29 sessions for seven months. Pre- and posttest assessment of behavioral psychotic symptom and sociability was done. Data from 48 patients who were not absent from the tests more than five times, and who performed every test item, were analyzed T-tests. Positive symptom(t=10.261, p=0.000), negative symptom(t=7.285, p=0.000) and general psychopathology(t=7.711, p=0.000) showed significant increase after application of horticultural program. Sociability of patients related to expression of their own opinions and respect to other persons through verbal(t=-4.64, p=0.000) and non-verbal(t=-6.43, p=0.000) showed significant increase after application of horticultural program. Substance of conversation(t=-5.58, p=0.000) was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Considering such healing effects of the horticultural therapy, it appeared to be a treatment technique that can improve the psychotic symptom and sociability of the schizophrenic patients.
        19.
        2006.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협동게임프로그램이 보호관찰대상 청소년들의 정서 및 사회성에 주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알아보기 위하여 보호관찰소에서 보호관찰 명령을 받고 있는 12명의 남자청소년들을 대상으로 2주간 8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보다 심층적인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의 질적연구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정서와 사회성의 변화를 양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질문지는 프로그램 적용 전과 후를 비교하였으며, 질적인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8회의 프로그램 후 실시한 심층면담은 삼각검증법을 통해 결과를 알아보았다. 분석을 통해 나온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양적연구에서, 정서는 현재기분상태, 소외감과 사회비관적태도 중 현재기분상태(p<.05)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회성은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갈등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질적연구결과, 첫째로 혼자가 아닌 우리라는 인식과, 둘째로 재미와 즐거움을 경험하였고, 셋째로, 도전과 성취로부터 자신감을 얻었고 넷째로, 자기반성의 시간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