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부산의 돼지국밥과 중국의 뉴러우탕(牛肉湯), 일본의 돈코츠라멘(豚骨ラーメン)은 고기와 부산물을 주재료로 하여 하나의 온전한 요리이자 한 끼 식사로 자리잡은 측 면에서 유사점이 많다. 이들 각각의 음식은 자국의 문화와 조리법을 통해 독특한 맛 과 풍미를 선사하고 있으며, 동시에 대표적인 가축 가운데 소와 돼지를 활용한 고기 요리의 풍부한 역사와 전통을 공유하고 있다. 여기서는 부산을 대표하는 음식인 돼 지국밥을 주제로 동아시아 3국의 국탕 문화를 음식의 의미와 먹기의 의미로 다루면 서 세부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3국이 차이를 보이면서도 유사한 결을 가지고 있는 세 음식을 통해 상징되는 문화적, 사회학적 의미를 짚어보고 이를 통해 인문학적으로 어떻게 음식을 연결 지을 수 있을지에 대한 성찰을 얻고자 한다.
        5,400원
        2.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의 대중문화산업은 미국과 일본 같은 나라들의 문화적 영향력을 많이 받은 바 있다. 하지만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그 양상이 변화되기 시작했다. 1990년대 초 아이돌 그룹들의 폭발적인 인기와 함께 한국 대중문화산업은 급성장하기 시작했고, 2000년대에 들어서는 본격적으로 해외 진출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국내 기획사를 중심으로 아이돌 육성시스템이 완비되었으며, 국가지원이 아닌 민간부문 중심으로 대중문화산업의 성장이 이루어졌다. 최근 K-Culture로 불리는 한국의 대중문화는 전세계적인 선풍을 일으키며 한류 신드롬을 일으키고 있다. 현재 한국의 대중문화는 ‘K-Pop’을 필두로 전세계적인 인지도와 지명도를 쌓고 있다. 이 논문은 이런 현실에 주목하여 K-Pop의 문화산업적 성장을 견인한 팬덤 현상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에서는 한류의 전세계적 확산과 K-Pop 팬덤의 진화 양상을 살펴보고, BTS 사례를 중심으로 한류가 어떻게 지속 가능성을 확보해 나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5,100원
        3.
        201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many existing research fields are matured academically, researchers have encountered numbers of academic, social and other problems that cannot be addressed by internal knowledge and methodologies of existing disciplines. Earlier, pioneers of researchers thus are following a new paradigm that breaks the boundaries between the prior disciplines, fuses them and seeks new approaches. Moreover, developed countries including Korea are actively supporting and fostering the convergence research at the national level. Nevertheless, there is insufficient research to analyze convergence trends in national R&D support projects and what kind of content the projects mainly deal with. This study, therefore, collected and preprocessed the research proposal data of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transforming the proposal documents to term-frequency matrices. Based on the matrices, this study derived detailed research topics through Latent Dirichlet Allocation, a kind of topic modeling algorithm. Next, this study identified the research topics each proposal mainly deals with, visualized the convergence relationships, and quantitatively analyze them.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the centralities of the detailed research topics to derive clues about the convergence of the near future, in addition to visualizing the convergence relationship and analyzing time-varying number of research proposals per each topi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specific insights on the research direction to researchers and monitor domestic convergence R&D trends by year.
        4,500원
        4.
        201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propose a conceptual model of MO in emerging markets by drawing on industrial organization and economic sociology, and outline factors which can better explain the determinant-strategy-performance relationships in emerging markets. We provide two country examples (Russia and China), and propose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our conceptual model.
        4,600원
        5.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賴聲川과 表演工作坊은 대만의 사라져 가던 상성을 부활 시켰다. 엄밀하게 말하자면 상성을 되살린 것이 아니라 또 다른 차원에서 새로운 연극 장르의 하나로 재창조했다는 표현이 옳을 것이다. 이점은 우리에게 있어서도 시사하는 점이 적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중국의 상성과 유사한 것으로 여겨지는 우리의 만담과 재담의 형태는 한 때의 영화를 뒤로하고 이제는 그 종적조차 찾기 희미해졌기 때문이다. 우리 서민의 삶과 그 회한을 담아 즐거움을 익살맞게 전해주던 대중예술의 한 장르가 소리 없이 사라져버렸다는 사실이 안타까움을 지나 애통하기까지 하다. 우리의 문화의 전통의 하나인 만담, 재담을 찾고 창조적 작업을 통해 새로운 우리의 대중예술로 탄생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본 논문의 주제와 떨어지는 얘기긴 하지만 賴聲川에 의해 재창조된 상성은 생각보다도 훨씬 풍부한 예술적 경지를 담아내고 오늘날에도 경쟁력 있는 예술 장르로서의 가치를 입증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분석한 것처럼 그의 작품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상성이라는 장르가 예술적 생명력과 기능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는 사실로 입증될 수 있다. 위 논문에서는 賴聲川의 작품이 대중적이면서도 예술적으로도 주제의식을 매우 효과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이는 대만사회에 대한 매우 탁월한 작가로서의 안목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성이 언어의 욕망으로 빚어진 예술이라고 감히 말할 수 있는 것은 일반 대중과 서민들이 가장 먼저 그 소리에 반응하기 때문일 것이다. 위에 언급한 작품들이 그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그렇게 쉽게 적절히 포섭될 수 있다는 사실이 이를 반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의 작품의 상성이라는 장르가 가지는 특성을 잘 응용하여 시대적 상황과 대중의 욕구를 매우 탄력적이면서도 게릴라적인 방법으로 담아내고 있다. 그런 점에서 그의 상성극은 대만사회의 주요한 상황을 반영한 사회민중극이 되기도 한다.
        6,100원
        6.
        200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s designed to introduce perspectives of sociological understanding for criminal punishment. The basic stance of sociology of punishment is that we should consider social contexts under which penal policy and criminal justice activities are constructed and processed. This notion is quit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enological approach to the enterprise of crime control : it focuses on finding the best way to deter criminals from committing crimes and evaluating the most effective correctional programs and punishment devices. On the contrary, the sociology of punishment seeks to understand punishment within the broader social environments such as economic and political contexts. According to the sociological account of the function of punishment, a main role of punishment is not confined in its instrumental purposes. It also serves as an indicator to represent the society itself. Based on this line of understanding, this article first clarifies the concept and functions of punishment in sociological terms and then introduces explanations for changes in forms of punishment suggested by Durkheim, Marxist penal sociologists and Foucault. Next, it reviews many empirical studies that consider social, economic, political contexts for explaining crime control practices such as imprison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encourages further research adopting the sociological lenses in exploring criminal justice practices.
        6,100원
        7.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 체제 속의 초중고 사회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다문화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향후 개선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17권의 사회 교과서 속에서 다문화 관련 내용을 직간접적으로 담고 있는 단원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다문화 관련 용어 정의의 미흡, 일관성이 낮은 용어 사용, 이주자에 대한 부정적 인상을 줄 수 있는 기술 태도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문화 상대주의 태도의 편협한 적용, 다문화적 변동에 대한 추상적 해결 방안 제시 등의 문제점도 나타났다.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체제에 따라 개발될 사회 교과서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개선함으로써 다문화 사회에 대한 보다 정확하고 체계적인 이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