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

        1.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시각적 착시에 의한 지각된 난이도 변화가 동작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 였다. 방법: 본 연구의 참여자는 정상이거나 교정시력을 보유한 8명(남자 6명, 여자 2명)으로 우세 손이 오른손인 자들로 구성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Verbal 판단과제, 판단수행과제, 그리고 연속수행과제를 수행하였다. 각 과제별로 5cm, 10cm, 20cm로 난이도가 구분이 된 Inverted-T 도형을 무작위로 제시하였다. Verbal 판단과제는 도형을 보여준 뒤 수평선과 수직선 중 어느 선이 더 길어 보이는지 구두로 표현하게 하였다. 판단수행과제는 연구 참여 자가 수평선과 수직선의 거리를 마크가 부착된 막대를 벌려 제시하게 하였으며, 이때 제시된 마크를 촬영하였다. 연속수행과제는 각 도형별 주어진 타겟을 40회 왕복 태핑 하는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총 운동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Verbal 판단과제 수행 결과 참여자 8명 모두 수직선이 길다고 판단하였다. 판단수행과제에서 5명의 참여자 가 수직선이 수평선보다 길다고 판단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3명의 참여자는 수평선이 수직선보다 길다고 하였다. 연속수행과제에서는 연속적인 움직임 수행 시 착시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난이도 지수가 커질수록 운동시간이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Inverted-T 도형은 지각 판단 시 수직선을 긴 것으로 지각하였으나, 연속수행과제 시착시는 동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시각시스템이 두 개의 경로로 나뉘어 처리되는 것을 시사한다.
        2.
        2013.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난이도와 대근운동발달 검사를 통한 대근운동발달 구성 요소의 상대적 중요도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대적 중요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난이도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실제 대근운동발달 검사를 통해 산출된 원점수와 상대적 중요도 및 난이도를 고려한 가중치 점수를 비교 분석하는데 세부목표가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신뢰도를 나타내주는 일관성 검증, 상대적 중요도, 난이도의 가중치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첫째, 이동기술이 물체조작기술 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난이도는 물체조작기술이 이동기술보다 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동기술은 홉, 달리기, 갤롭, 립, 슬라이드, 멀리뛰기의 순으로 중요하며 물체조작기술은 받기, 던지기, 차기, 드리블, 굴리기, 치기 순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난이도에 대한 결과, 이동기술은 홉, 립, 멀리뛰기, 갤롭, 슬라이드, 달리기 순으로 어려웠으며, 물체조작기술은 치기, 드리블, 차기, 받기, 던지기, 굴리기 순으로 난이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소분류 수준에서 상대적 중요도 결과, 홉 항목의 ‘땅에 닿지 않은 다리를 추진력을 얻기 위해 진자형태로 흔들어 힘차게 흔든다’가 가장 중요한 항목으로 나타났고, 난이도는 제자리 드리블 항목의 ‘발의 움직임 없이 4회 연속 공을 드리블 한다’가 가장 어려운 항목으로 나타났다. 넷째, 원점수를 바탕으로 상대적 중요도 및 난이도의 가중치점수를 적용한 분석 결과, 상대적 중요도, 원점수, 상대적 난이도 순으로 평균값이 컸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도출된 상대적 중요도 및 난이도에 대한 정보는 학령초기 여자아동의 대근운동 능력을 검사 할 시 평가 목적에 맞게 세분화된 검사 방법을 제시 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3.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과제의 난이도에 따라 분류된 연구참여자를 대상으로 자기통제 피드백의 효과가 차별적으로 나타나는 지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과제는 골프퍼팅과제였으며, 연구 대상은 골프퍼팅경험이 없는 여대생 총 32명이었다. 연구대상자에게는 본 연구의 목적에 대한 어떠한 정보도 제공되지 않았으며, 사전검사의 결과를 통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연구대상자 32명을 선발하여 고난이도 집단(자기통제 집단 8명, 동반 집단 8명), 저난이도 집단(자기통제 집단 8명, 동반 집단 8명)에 각각 16명씩의 연구재상자를 배정하였다. 습득단계와 파지단계는 각각 2(난이도)×2(피드백)×6(블럭), 2(난이도)×2(피드백)×2(블럭)요인 설계 하에 이루어졌다. 종속변인으로는 수행의 절대적인 오차를 나타내는 반경오차와 수행의 일관성을 나타내는 이원변량 가변오차로 설정하였다. 실험을 통해 산출된 기초 자료를 기술 통계와 삼원분산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반경오차 및 이원변량 가변오차는 연습을 함에 따라 운동수행 향상을 나타냈지만 네 개의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반경오차 및 이원변량 가변오차의 파지검사에서는 난이도와 피드백 형태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즉 저난이도 과제에서는 자기통제 집단과 동반 집단 간에 학습효과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고난이도 과제에서는 자기통제 집단과 동반 집단 간에 학습효과의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제의 난이도가 자기통제 피드백의 차별적 효과의 중요한 변인임을 증명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