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30

        181.
        2016.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동남아 노동자의 식생활 실태 를 분석하여, 한국에서 거주하는 동안 바람직한 식생활을 하 도록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 제시를 위해 조사되었으며, 조 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연령은 25~29세가 35.1%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20~24세 (32.7%), 30~34세(21.1%)였고 35~39세가 9.6%로 가장 낮았다. 성별은 남성이 76.5%로 여성(23.5%)보 다 많았다. 결혼유무는 미혼인 경우가 59.8%였다. 교육수준 은 고졸이 49.8%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전문대졸(22.7%), 고졸 이하(17.1%)였고 대졸은 7.2%로 가장 적었다. 종교는 불교가 59.0%로 과반이 넘었고, 무교 35.3%, 기독교 4.0% 였다. 대다수가 공장(90.1%)에서 근무하고 있었다. 한국에는 4~5년 거주한 비율이 39.4%로 가장 많았고 2~3년 31.9%, 1 년 미만이 17.9% 순이었다. 대다수가 월평균 100~199만원 (88.0%)의 수입을 얻었다. 84.1%가 취사가 가능한 곳에서 거 주했다. 한국어 실력은 보통이 56.2%로 가장 많았고 친한 한 국친구 숫자는 한 명도 없다가 84.1%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그 다음은 15명이 12.7%였다. 2. FNS는 캄보디아, 미얀마, 베트남, 태국 순으로 높았다. FNS가 높은 캄보디아, 베트남과 미얀마는 각각 3.91±0.58과 3.92±0.65, 3.97±0.56로 평균 3.88±0.59보다 높았고 태국은 3.76±0.59으로 평균보다 낮은 지수를 보였다. 국가 간 유의 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경제지표에 따라 경제가 발전한 국가 일수록 FNS는 낮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3. FNS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요인은 취사가능여 부와 거주형태였다. 취사가능여부는 취사가능하다고 답변한 동남아노동자의 FNS (3.85±0.61)가 취사가능하지 않다고 답 변한 동남아노동자의 FNS (4.09±0.35)에 비해 낮게 나타났고 (p<0.05) 기숙사에 거주하는 동남아 노동자의 FNS (3.94± 0.55)가 자취(3.74±0.60)나 기타(3.83±0.66)의 FNS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직접 취사를 하는 등 음식준비에 책임을 많 이 가질수록 음식관여도가 높아지고 높은 음식관여도는 FNS 와 부(−)의 관계를 가진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였다. 4. 동남아 노동자의 한국음식인식의 유형에 따른 평균점수 를 중심으로 국가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요인분석과 일원 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한국음식의 조리법, 맛, 색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캄보디아가 3.46±0.63으로 가 장 높았고 그 다음은 베트남(3.38±0.68), 미얀마(3.26±0.50), 태국(3.09±0.64) 순이었고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1). “모국음식과의 조리법, 냄새, 질감에 대한 이질감” 요인에 대 해서는 미얀마가 3.40±0.60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캄 보디아(3.16±0.76), 태국(2.88±0.98), 베트남(2.70±0.63) 순이 었으며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모국음식과의 맛 에 대한 이질감” 요인에 대해서도 미얀마가 2.84±0.79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베트남(2.76±0.71), 캄보디아(2.65± 0.67), 태국(2.58±0.74) 순으로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 었다. 비교국가에 비해 한국음식에서 모국음식과의 조리법, 냄새, 질감, 맛에 대한 이질감을 가장 많이 느끼고 있는 미 얀마의 경우 한국음식에 대한 적응이 쉽지 않을 것으로 예 상되며 이들에 대한 한국음식 적응 교육에 시간을 더 투자 하여 교육할 필요성이 있다. 5. 동남아 노동자의 한국음식인식정도와 FNS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한국음식의 조리법, 맛, 색에 대한 긍정적인 인 식” 요인과는 p<0.01 수준에서 유의적인 부(r= −0.219)의 상 관관계를 보였고, “조리법, 냄새, 질감에 대한 이질감” 요인과 는 p<0.01 수준에서 유의적인 정(r=0.248)의 상관관계를 보였 다. “맛에 대한 이질감” 요인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이 결과를 통해 FNS는 동남아 노동자의 한국음식인식정도와 연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NS가 크면 “한국음식의 조 리법, 맛, 색”에 대해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조리법, 냄 새, 질감에 대한 이질감”을 크게 느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음식에 대한 이질감은 맛(r=0.071)보다 조리법, 냄새, 질 감(r=0.248)에서 더 큰 이질감을 느낀다는 경향을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동남아시아 중에서도 유사한 지리적 특성 을 가진 인도차이나 반도에 있는 베트남, 태국, 캄보디아, 미 얀마 4개국 외국인 근로자들의 푸드네오포비아 경향은 국가 별 차이가 유의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경제가 발전한 국가일수록 FNS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국가별 한 국음식인식에는 차이가 있다는 것이 나타났고 FNS는 한국 음식인식정도에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FNS가 낮을수록 한국음식인식이 긍정적으로 나타났는데 “한 국음식의 조리법, 맛, 색”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조리법, 냄 새, 질감에 대한 이질감”은 더 낮은 수준으로 인식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동남아 노동자의 한국음식 적응에 대한 수월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FNS가 선행적으 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FNS가 높은 국가의 동 남아 노동자의 경우 입국 시 한국음식 적응을 위한 사전교 육에 시간을 더 할애하는 방법도 고려해 볼 수 있다. 국적 이외에 FNS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취사가능성여부와 거 주형태였는데 음식준비에 대한 책임을 많이 가질수록 FNS 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FNS를 낮추기 위해 가 능하면 취사가 가능한 숙소를 배정해 적극적으로 취사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도 음식문화 적응을 수월하게 하기 위 한 방법으로 사료된다. 한편 FNS는 한국음식인식을 판별할 수 있는 절대적인 지 표는 아닌 것으로 나타났는데 베트남의 경우 태국보다 FNS 가 높았지만 전반적인 한국음식인식은 태국보다 긍정적인 것 으로 나타났다. 태국은 타 동남아 국가 중에서도 음식문화가 발달한 나라로 자국민의 음식문화에 대한 자긍심이 높아 한 국음식인식이 비교국가 중 긍정적이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 다. 따라서 한국음식 적응에 대한 수월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사전조사로 FNS 뿐만 아니라 자국음식에 대한 자부심 정도를 알아보는 것도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후속연구 로 진행되었을 때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결과는 동남아노동자의 한국음식문화 적응을 돕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본 연구결과는 한국음식과 한국식품의 동남아시아 진출 시 필 요한 동남아인들의 한국음식에 대한 소비자 반응에 대한 기 초자료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본 연구에서 연구되었던 4개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 노동자들에 대한 연 구가 추후 진행된다면 질 높은 기초자료 구축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4,000원
        182.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Korea Immigration & Integration Program (KIIP) by the Ministry of Justice offers social integration education in order to educate immigrants about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is paper presents a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KIIP. Korean Language and Culture for Immigrants (Intermediate Levels 1 and 2) is used as a teaching material at 308 social integration education institutions. This paper introduced its development procedure and method, its development directions, the organization of its syllabus, and the content of its units. Its development process involved analyzing purposes of social integration education and of needs of incumbent teachers to develop a teaching material to meet the goals of social integration. Efforts were made to closely connect the content of Korean study to that of culture study with a focus on making culture study lead to an overall understanding of South Korean society and to serve fully as a preparation process to acquire Korean nationality. This paper will hold its value as a guideline to be consulted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immigrants and help teachers make efficient use of textbooks according to the objectives of education in a social integration program.
        5,800원
        183.
        2016.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일본어와 한국어에 있어 높은 사용률을 보이고 있는 2자 한자어에 초점을 두어 품사성 특징, 어휘적 성질, 통어적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 목적은, 두 언어 모두 한자어의 쓰임이 많고, 각각의 고 유어와 거의 흡사하게 쓰이고 있다는 공통점을 이용하여, 양언어의 학 습자에게 유의한 학습방향을 제시하고자 함에 있다. 일본어에서는 ‘한 자어동사’ 혹은 ‘한어동사’라고도 쓰이는데, 이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았 고, 한국어에서는 어종에 대해서 살펴보면서, 한자어의 위치에 대해 검 토해 보았다. 나아가, 한자어에 접속되는 여러 가지 어미에 대해 언급하면서 한자 어가 가지고 있는 어휘성의 특징을 일한 양 언어 간에 비교해 보았다. 물론, 공통점이 있는 반면, 상이점도 많기 때문에 학습자에게 혼란을 가져오는 부분이 있으므로, 그 부분 또한 명확하게 밝혀야 하지만, 지 면상 금후의 과제로 남겨 두기로 한다. 결론을 말하자면, 한국어에서도 한자어의 위치는 중요한 부분을 차 지하고 있고, 한국어교육에 있어서도 반드시 고려되어 지도해야 할 부 분이다. 일한 양언어의 한자어의 어휘적 특성과 지도에 필요한 부분을 명확히 알아보았고, 여기에 대한 지도사항이 절실히 필요함이 인식되어 야 한다.
        4,900원
        184.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ackground: The assessment tool developed in other countries should be translated into Korean language using rigorous methodological approaches in order to be used in Korea. Because these procedures are insufficient for establishing the cross-cultural and linguistic equivalence, the need for statistical methods is raised. The Fullerton Advanced Balance Scale was translated into Korean and the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the back translation method, bu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have not yet been proven by statistical methods.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Fullerton Advanced Balance Scale (KFAB) by statistical methods in elderly people. Methods: A total of 97 elderly adults (39 males and 58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FAB was measured using Cronbach’s alpha and an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 was used to assess test-retest reliability between the two measurement sessions. Concurrent validity was measured by comparing the KFAB responses with the Korean version of the Berg Balance Scale (KBBS) using the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Construct validity of the KFAB was measured using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evaluate the unidimensionality of the questionnaire. The significance level was set at α=.05. Results: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FAB was found be adequate with Cronbach’s alpha (.96),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excellent as evidenced by the high ICC (r=.996). Concurrent validity showed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KFAB and KBBS (r=.89, p<.001). Construct validity was evaluated u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 from Bartlett test of spheric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and the value of Kaiser-Meyer-Olkin measure of sampling adequacy was .93.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e existence of only one dominant factor that explained 76.43% of the variance. Conclusion: The KFAB is a reliable, valid and appropriate tool for measuring the balance functions in elderly people.
        185.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Rasch analysis estimates the probability that a respondent will endorse an item and select a particular rating for that item. It has the advantage of placing both the items and the person along a single ration scale and calibrates person ability and item difficulty onto an interval scale by logits. In addition, Rasch analysis is a useful tool for exploring the validity of questionnaires that have been developed using traditional methods. Therefore, it has been recommended as a method for developing and evaluating functional outcome measures.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tem fit, item difficulty, and rating scale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Fullerton Advanced Balance Scale (KFAB) using Rasch analysis. Methods: Total 97 subjects (39 males and 58 females) with dwelling elderly adults were participated, but 3 people were excluded for misfit persons. Rasch analysis was then done by means of the Winsteps program to determine the item fit, item difficulty, rating scale, and reliability of the KFAB. Results: In this study, the ‘standing with feet together and eyes closed’, ‘two-footed jump’, ‘walk with head turns’, and ‘stand on foam, eyes closed’ items shown misfit statistics. The most difficult item was ‘stand on one leg’, whereas the easiest item was ‘turn in full circle’. The rating scale was acceptable with all criteria. Both item and person separation indices and reliability showed acceptable values. This would indicated that each domain covers a useful range of item difficulty that is appropriate for measuring a person with a wide range of functional ability. Conclusion: The KFAB has been proven reliable, valid and an appropriate tool with which to evaluate the balance of the elderly people.
        4,000원
        186.
        2016.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글의 연구 주제는 한국의 ‘初級課程’ 한자교육 현황 紹介에 있다. 연구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 행하기 위해, 먼저 한국의 한자교육의 位相과 性格을 究明한 다음, 초급과정의 槪念과 範圍, 초급 과정 한자교육 現況을 槪括的으로 살펴본다. 그리고 한자 교수·학습 방법의 개념, 한자 영역 교수· 학습 내용, 한자 교수·학습 방법을 考察한다. 한국의 한자교육은 크게 國語敎育, 漢文敎育, 그리고 漢字文化圈 차원에서 그 위상과 성격을 究 明해 볼 수 있다. 한국에서 한자교육은 학교 교과교육의 하나인 ‘漢文科’ 교육의 핵심 내용 가운데 한 分野이다. 그리고, 한국의 地理的·言語的·文化的 조건에 의해, 한국에서 한자교육은 국어교육 혹은 한국어 교 육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한편, 한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 대만, 홍콩 등은 역사적으로, 또 한 현재의 동시대적으로 ‘한자’를 自國 文字로, 혹은 表記의 수단으로 共有하면서 活用했다. 이른바, ‘漢字文化圈’을 말하는데, 〈그림 1〉에서 외곽 點線으로 作用한다. ‘初級’이란, 가장 낮은 段階나 等級을 말하고, ‘초급과정’이란 낮은 단계나 등급에서 시행되는 課 業의 程度를 말한다. 한국의 한자교육의 경우, 유치원, 초등학교, 그리고 중학교 時期 가운데, 학생 의 선택 여부에 따라 학습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초급과정 한자교육은 ‘入門期’ 한자교육으로 볼 수 있다. 다음은 한국 초급과정 한자교육 현황을 교육과정, 교재, 식자량, 교수자, 그리고 수업 시수를 기 준으로 간단하게 정리한 것이다. 한자 교수·학습 방법은 “한문 敎授者와 한문 學習者가 한자를 가르치고 배우는 節次와 技法”을 말한다. 교사의 敎授와 학습자의 學習은 分節的이거나 獨立的이지 않다. 교사와 학습자는, 그리고 교수와 학습은 相互 連繫되고 相互 作用한다. 유아 한자 교재, 초등학교 한자 교과서, 그리고 중학 교 한문 교과서에 제시된 한자 영역 교수·학습 방법을 通察하면, 초급과정 한자 교수·학습 방법은 다음과 같다. 節次, 過程, 段階를 기준으로 한자 교수·학습 방법을 분류하면, 초급과정 한자 교수·학습 방법은 크게 (가)와 (나)로 區分된다. (가)는 ‘下向式 언어 이해 처리 모형’이나 ‘分散 識字’ 방법에, (나)는 ‘上向式 언어 이해 처리 모형’이나 ‘集中 識字’ 방법에 견줄 수 있다. ‘本文’의 경우, 成語와 漢文 文章이 제시되기도 하고, 초등학교 한자 교재의 경우, 한글全用文, 國漢混用文, 國漢倂記文 등이 사용되기도 한다. ‘標題字’의 경우, 2字에서 4字 정도로 새로 배울 한자[新習 漢字]가 제시된다. (가)와 (나)의 ‘漢字’는 주로 字源 학습법을 활용하여 신습 한자의 形·音·義를 가르치고 배운다. ‘活 用’에 동원되는 기법이나 활동은 다양하다.
        5,200원
        187.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2음절 형용사의 중첩 형태인 AXAB에 해당하는 한국어 A디AB와 중국어 A里A B의 형태, 의미, 통사적 특징을 비교한다. 한국어 A디AB식 중첩어는 시각형용사, 특히 색채 형용사의 중첩이 생산적이며, 주로 관형어로 많이 쓰인다. 중국어 A里AB식 중첩어는 부정적 인 의미의 형용사가 중첩되기 때문에 매우 특이한 양상을 보이는데 이것은 A里AB식 어휘의 기원과 깊은 관련이 있으며, 부사어로 많이 쓰인다. 이러한 AXAB식 중첩은 대부분의 알타이 어에 보이는 중첩 방식이다.
        7,800원
        188.
        2015.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henomena of teaching writing in Korean as a foreign or a second language, and to propose contents and methods for improving teachers’ ability of teaching writing. I presented 3 reasons that mainly cause the difficulty in teaching writing for nonnative speakers of Korean. Among the reasons, teachers’ lack of confidence and insufficiency of expertise in teaching writing is the most important one which we have to compensate in terms of improving teachers’ ability. First, in chapter Ⅱ, I analyzed the trend of teaching writing in Korean as an L2,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 training for teachers-to-b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Next, in chapter Ⅲ, I defined the concept of ‘ability of teaching writing’, and summarized the categories of the ability. Finally, in chapter Ⅳ, I suggested the contents and methods for improving teachers’ ability of teaching writing with regard to teachers’ expertise. Specially, I focused not only on the pedagogic content knowledge (PCK), but also on the content knowledge (CK). In this paper, I explored teacher education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rea for better teaching Korean as an L2. However, this paper remains only as a pioneer attempt at teacher education research for the area is not fully discussed yet.
        5,200원
        189.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Kang Hyeon-seok. 2015.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tatus of Korean and their Implications for Governmental Policie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3(3). 35~75.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present international status/prestige of Korean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speakers, the number of countries where it is spoken, the size of GDP by language, and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considering other factors as well as the number of speakers and the economic factor. This research, next, predicts the ‘rather dismal’ future status of Korean based on the predicted statistics of Korea's future population and potential economic growth rate provided by domestic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Finally,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nd some suggestions on governmental policies, which could be of help to maintain the current international status of Korean, are given.
        9,200원
        190.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어와 일본어는 중국어와는 달리 어순이 거의 같으며 조 사가 있고, 어간에 접미사를 결합시켜 변화시키는 膠着語로서 의 공통점이 있기 때문에 표기법의 발달 과정이 매우 유사하였 다. 본 고찰에서는 고대 한·일 양국의 문장 표기법에 한하여 그 발달과정을 검토하면서, 이두문에 쓰인 이두와 간략문자(略體 字)가 일본에서도 사용된 사례를 파악하는 데에 역점을 두었 는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먼저, 고구려의 생략문자 “卩“가 백제에 전래되어 쓰여진 사 례가 『增補韓國金石遺文』에서 발견되었다. 한국어는 다음절 이기에 한자로서 표기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결국은 한글이라는 문자를 창제하게 되지만, 일본은 단음절이기에 한자로서의 표 기가 가능하여, 한자를 초서체로 쓰는 과정에서 하라가나와 가 다카나가 만들어져 국자로서 정착하게 된다. 일본의 경우, 훈전 용표기법 내지는 경어표기 등의 표기체에 있어서 도래인의 영 향이 있었던 것은 法隆寺의 금석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리 고 고대한국의 이두문에서 쓰여진 ‘叱’,’支’,’之’,’賜’,’者’,’在’등의 용법은 고대 일본문에서도 쓰여지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 다. “仁王經”의 구결체는 일본의 히라가나·가다카나와의 유사한 문자가 보이지만, 현재로서는 서로의 영향관계는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
        6,100원
        191.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이주민선교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 로서 국가의 다문화교육 정책에 대한 기본적 이해가 필요함을 말하고 있다. 이에 다문화교육이란 무엇인지 먼저 간략히 정의하였고 다문화교 육의 대상을 제시하였다. 또한 정부가 지금까지 시행해 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의 흐름 속에서 다문화교육 정책을 정리해 보았다. 특히 국가의 다문화교육 정책에서 이주민선교를 위한 적용 및 실천 방안은 없는지 살펴보았다. 이는 이주민선교가 교회 안에서만 수동적으로 이루어지는 데 그칠 것이 아니라, 이주민들이 모여 있는 삶의 현장으로 직접 들어가는 등의 역동적인 사역이 되어야 할 것임을 강조하였다. 이주민선교는 교육이라는 분야, 특히 다문화교육이라는 큰 틀 안에서 전문성을 가지고 대상자들을 만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기독교 세계관을 기반으로 제작한 우수한 다문화교육 콘텐츠와 프로그램 및 교재들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일 또한 매우 중요하다. 더욱이 이주민선교를 위해 국가의 정책과 계획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활용할 수 있는 순발력도 필요하다. 즉 다문화 중점학교 교육 내용에서도 제시하고 있듯이 다문화이해교육, 문화간 이해 및 소통, 문화다양성, 반편견 및 반차별, 세계시민의식의 주제를 다룸은 물론, 한국어교육, 상담, 멘토링, 문화체험교실, 인권, 평등사상, 성품교육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전문가들을 배출하여 학생들과 교사들, 학부모들을 만날 수 있도 록 다문화교육의 장을 계속해서 준비하고 열어나가야 할 것이다
        7,800원
        192.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f Japanese and Chinese language learners of Korean, whose native language has a CV syllable structure, can apply the liaison rule when C2 of Korean the CVC syllable structure is followed by a vowel, where the application of liaison rule is necessary. For this purpose, Japanese and Chinese learners of Korea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their Korean proficiency levels: beginner and advanced learners. Then the study examined if these learners can apply the Korean liaison rule in the sentence reading task. The result showed that learners in their higher proficiency level were able to apply the liaison rule better. The degree of increased application was more drastic, especially in the cases of Japanese learners. The performance varied by their native languages, it appears that Japanese learners better apply the liaison rule than Chinese learners. In addition, the result also differed by the familarity of the vocabularies used in the reading task. The liaison rule was used more accurately in more familiar vocabularies than less familiar vocabularies.
        5,400원
        193.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whether learning context and language aptitude affected the use of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ies and pronunciation proficiency. One hundred thirty-eight Chinese learners (88 KFL Ss & 50 KSL Ss) learners were investigate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context(KSL, KFL), language aptitude (high/low),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y and pronunciation proficiency. Participants' sound discrimination ability was measured by PLAB and then they were divided into high group (upper 30%) and low group (lower 30%) by scores. SPLS and personal information survey were also conducted. The results showed that (i)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pronunciation proficiency pursuant to learning context and language aptitude, (ii) use of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y differed significantly pursuant to learning context and language aptitude, and (ⅲ) use of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y could predict pronunciation proficiency. The findings suggest that effective pronunciation learning strategy should be investigated and taught in L2 Korean classroom.
        6,300원
        194.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근대 유럽 지도에 나타난 한국 관련 지리정보는 중국이 「황여전람도(皇輿全覽圖)」를 발간하고 이 지도가 당빌에 의해유럽에 번역‧소개되면서 질적·양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후 18세기말부터 프랑스, 영국 및 러시아 등에 의한 해안 및 수로조사결과가 반영되면서 한반도 모양을 비롯한 지리정보의 양과 질이 풍부해지는 계기가 된다. 특히 서양 탐사선에 의한 해안선 및도서지역 탐사는 선박의 국적에 따라 그 나라 언어로 지명을 부여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기에 중국어 발음으로 표기되던 우리나라와 관련된 지명은 김대건 신부에 의해 한국어 발음의 프랑스어로 제작된 「조선전도」가 유럽으로 전파된 시점을 기해각국의 지도에 반영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1872년의 스틸러의 지도에서 대부분 우리나라 발음으로 지명이 표기된 사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영어식 표현의 확산은 일본주재 외교관이었던 어네스트 사토우와 「한반도 산맥도」를 저술한 고토분지로의역할이 컸던 것으로 확인된다.
        4,500원
        195.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행동적 편측무시를 평가하는 Catherine Bergego Scale (CBS)을 한국어로 번안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함에 있다. 연구방법 : 한국형 캐서린 버지고 척도(Korean Catherine Bergego Scale; K-CBS)의 개발을 위해 원 도구 개발자에게 한국에서의 번안과 사용을 허락 받았다. CBS 원문을 한글로 번안하여 번역-역번역 기 법에 따라 번역타당도를 구하고, 9명의 전문가에게 내용타당도를 확인하였다. 선 나누기 검사와 알버트 검사와의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수렴타당도를 구하고, 요인분석을 통하여 구성타당도를 구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 내적일관성(Cronbach’s α와 항목이 삭제된 경우 Cronbach’s α)을 구하였다. 자료수집은 서울시에 소재한 병원에 입원, 외래로 재활치료를 받는 뇌졸중으로 인한 왼쪽 편마비 환자 127명을 대 상으로 2013년 10월부터 2014년 04월까지 진행되었다. 결과 : 번역-역번역 기법에 따라 번역타당도가 수립되었고, 전문가에 의한 내용타당도지수는 .98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수렴타당도는 Pearson 상관계수가 선 나누기 검사(r=.719), 알버트 검사(r=.671)로 K-CBS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성타당도를 위한 요인분석 결과 10개의 항목이 모두 하나의 요인으로 묶였다. 내적일관성은 .956으로 항목간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해당 문항이 제거 되었을 때의 Cronbach’s α값보다 높아지는 항목은 없었다. 결론 : K-CBS는 한국에 거주하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적용하였을 때 행동적 편측무시를 평가하는 도구로 써 높은 수준의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어 국내에서의 적용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추후에는 K-CBS의 임상에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검사자간, 검사자내 신뢰도 검증 등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주제어 : 뇌졸중, 신뢰도, 타당도, 편측무시, 한국형 캐서린 버지고 척도
        4,300원
        196.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本文的目的是分析最近3年韓國5種新聞報道之基礎上,介绍韩中两国建交之后韩语里面使用的汉语借词的现状,通过将这些借词和以前的汉语借词进行比较,分析说明这些汉语借词的特征。韩中两国政府正式建立起外交关系,意味着断绝了将近一个世纪的外交关系重新开始。以韩中两国的建交为契机,两国的政治·经济·社会·文化等各领域的交流开始急速增加。随着韩中交流的扩大,大量新的汉语借词开始进入韩语当中。韩国和中国维持了超过两千年的长期的语言接触。属于不同语系的两种语言在如此长的时间内互相影响,这是在世界语言史上都很少见的独特现象。近代以前对于韩语产生影响的汉语借词大部分是通过文献,特别是以四书五经为代表的儒家经典进入韩语当中,但是韩中建交以后进入韩语里的汉语借词则在很多方面上呈现出和以前的借词不同的特征。韩国和中国虽然自古以来一直交流不断,但是像最近一样的大规模的直接交流还是前所未有的。
        5,100원
        197.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an, Song-Hwa. 2015. “The Language usage and Sociocultural image of Korea in 1960’s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foreign learners”.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3(1). 201~23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the sociocultural reflection and language usage in 1960’s Korean textbooks for Korean learners as a foreign language. 1960’s is period of starting for moder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mally. The Korean textbooks in 1960’s based on audio-lingual method and focused on drills and repetitive practices. Their conversation consisted on vocabularies and grammar which are required in everyday situation. Therefore sociocultural image of those days are shown on vocabularies and conversations explicitly or implicitly. For exploring 1960’s Korean image in textbooks, I composed the corpus and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use. Many vocabularies correlated with situations of those days that differed from recent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many vocabularies underwent a change semantically. Lastly, Korean’s perception of West and Korea, the growth of Korean cities, economic difficulties and confucian thinking were shown on conversations in 1960’s Korean textbooks.
        8,700원
        198.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Cho, Tae-Rin. 2015. “On the change of Korean dialect and dialect research: Beyond the boundary of regional dialect and social dialect”.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3(1). 177~19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nging shape of regional dialect and social dialect in Korea, finally in order to seek the possibility of change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Korean dialect researches. Firstly, this paper reviews not only the conceptual difference between regional dialect and social dialect but also the changing shape of actual relation between regional dialect research and social dialect research in Korea. And then, signs of change in Korean dialect research are analyzed by looking at the current state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social dialect research. This analysis shows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regional dialect research and social dialect research is no longer rigid, and that Korean dialect research needs a new approach and development direction in order to go beyond the earlier researches focused on regional dialect and level of phoneme, prosody, vocabulary, etc. Finally, this paper is concluded by proposing two development directions of Korean dialect research as follows. (1) Research on regional and social difference of Korean language on a level of discourse. (2) Research on aspect of contact among standard language and dialects in Korea.
        6,000원
        199.
        201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d mimetic words between Korean and Chinese internet communication”.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3(1). 145~17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usages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between Korean and Chinese internet communication. In this paper, we summarize concretely what kinds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have been used, and analyze the semantic function, the features of the usages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dividing them into two types of “came from everyday words” and “made in internet”. The results of analysis are the followings. The fact that there are some concomitant features of the usages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between Korean and Chinese network communication were confirmed. On the contrary, there are also a few kinds of differences. On account of character input features of Chinese, many pinyin character's repetition forms and pinyin character reduction forms had been used. The “ORZ” and other image letters were used for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together by China netizens. Take it as a whole, because of differences in characters and character input mode of two languages, there are differences of the usages of onomatopoeia and mimetic words. But they have many similarities of usages, on account of the same motivation and culture of netlanguage use between Korean and Chinese internet communication.
        7,7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