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ground: The Functional Assessment of Chronic Illness Therapy (FACIT) for Dyspnea was developed to assess multidimensional dyspnea using two subscales (experience of dyspnea and functional limitation) and a total score.
Object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FACIT-dyspnea 10-item short form questionnaire (FACIT-dyspnea-K). Methods: Subjects were 163 patients with cancer. Dyspnea-related scales (modified Medical Research Council scale [mMRC], European Organization for Research and Treatment of Cancer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Core 30 [EORTC QLQ-C30], Hospital Anxiety and Depression [HAD], and WHO Performance Scale) were used to validate the FACIT-dyspnea-K.
Results: Internal consistency was confirmed by Cronbach’s alpha values of 0.90 and 0.95 in factors 1 and 2, respectively. Convergence validity was determined by comparing the two factors and total score of the FACIT-dyspnea-K with conceptually related assessment tools measuring the physical and emotional effects of dyspnea, with which correlations ranged from 0.364 to 0.567. Criterion validity was established b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ACITdyspnea- K score between groups when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by performance status as assessed by the WHO performance scale. Furthermore, the FACIT-dyspnea-K showed notable correlations with other dyspnea scales (mMRC, EORTC QLQ-C30, and HAD) for cancer patients (r = 0.28 to 0.54).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two factors and total score of the FACITdyspnea- K appeared to be excellent (Cronbach’s alpha = 0.96 to 0.97).
Conclusion: This study supports FACIT-dyspnea-K a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to assess the dyspnea experience of cancer patients in clinical settings.
Korean-Chinese Learner’s Dictionary, which was compil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is a web dictionary translating Korean Basic Dictionary into Chinese. As more and more Chinese wanted to learn Korean,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planned for the translation. A research team in Korea University carried out the project for 3 years from 2016 to 2018. The main focus of the project was to present Chinese counterparts with Korean headwords by translating them into Chinese. This paper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compiling project, Korean-Chinese Learning Dictionary, the principles applied to the actual translation process, an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Sino-Korean headwords and the detailed translation method. In Chapter 2, the review of the purpose, steps, and progress of Korean-Chinese Learner’s Dictionary is provided. Chapter 3 presents the statistical results of the Sino-Korean headwords in Korean-Chinese Learner’s Dictionary. In addition, the detailed principles applied to the process of Chinese translation are reviewed along with the main cases by the headword type. Moreov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ltural vocabulary and the band system according to them are discussed.
본 논문은 한국어 기사문에서 인용부호의 사용과 중국어 번역, 그리고 한-중 대응 양상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인용부호에 관한 최신 규정을 대조한 결과, 한국어는 작은따옴표, 중국어는 큰따옴표의 용법이 상대적으로 더 다양함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병렬말뭉치를 구축해 검정한 결과, 중국어 번역문의 큰따옴표 출현율이 한국어 기사문보다 높고 한국어 기사문의 작은따옴표 출현율이 중국어 번역문보다 높아 규정 차이에 따른 용법의 다양성 분포에 부합하였다. 그러나 용법별로 살펴본 결과 한국어 기사문에서 인용부호의 사용은 규정과 여러모로 다른 반면 중국어 번역문에서 인용부호의 사용은 대체로 규정과 일치하였으며, 기사문과 번역문의 인용부호간 대응 관계 역시 규정의 대조 결과에 부합하였다. 다만 큰따옴표 와 작은따옴표의 삭제 및 추가라는 변이도 다수 발견되므로 한국어 기사문에서 인용부호의 중국어 번역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향후 한-중 인용 체계에 대한 광범위한 고찰이 요구된다.
『아Q정전』은 노신의 대표적 작품이다. 본고에서는 그 중 35종의 번역본을 연구대상으로 『 아Q정전』 번역본의 시대별 특징을 개관해 보았다. 전체적으로 볼 때 1970년대에는 한국어 표현과 독자들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번안 풍이 남아 있던 시대였고, 1980년대는 명사와 문인들이 번역에 많이 참여하였으며 일본어 번역본을 중역하던 경향이 있는 시대였다. 1990년 대는 대부분 상업적 목적으로 번역에 종사하던 사람들에 의해 번역이 이루어졌으므로 번역자 보다는 출판사가 주도권을 행사하던 시기였다. 2000년대는 노신문학회를 포함하여 전문적으로 현대문학을 연구하는 학자, 교수들이 번역에 직접 임한 시대라는 것이 특징적이다. 2010년 대의 주된 특징은 현대문학 혹은 노신연구전문가들이 번역에 적극 임하였는데 특히 루쉰전집 번역위원회에서 『루쉰전집』(전권20권)을 번역 출판했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기계번역, 음성인식, 언어자료 데이터베이스(DB) 구축 등 언어처리 시스템의 실현에 있어서 자연언어처리(NLP)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중 문법구조 대응 방법에 대한 자연언어처리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있다’에 대응하는 중국어 단어인 ‘有,在,着’를 중심으로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응 구조를 분석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들이 자주 범하는 오류 유형에 대해 Google 번역을 시도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오류를 수정·보완할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제시 하였다. 본 연구가 한국어와 중국어를 위한 전산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North Korean refugees. In pursuance of this goal, the study collected bibliographic information from 1,924 academic papers related to North Korean defectors and analyzed their research trends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The frequency and centrality of the academic papers were analyzed by year, using an analysis tool, NetMiner 4.0, which focuses on analyzing social networks. The findings of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of North Korean defectors began to explode in 2010. Second, the most central words were ‘education,’ ‘unification,’ ‘policy,’ ‘support,’ ‘experience’ and ‘relationship.’ Third, for North Korean defectors,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was more actively done than general Korean language education. Fourth, the analysis of 15 topics showed that topics on social issues accounted for the highest percentage at 25%. Finally, the areas of greatest interes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vocabulary,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education. It is hoped that more research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will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pose Korean text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majoring in translation.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students need to improve their Korean skills before taking higher level translation classes. However, there are no basic courses to solve this problem. For this purpose, the study argued for providing Korean text education for advanced Korean language courses and translation. Further, it attempted to show the effectiveness of ‘back translation’. For the stud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two groups. One group studied the text structure and language of the instruction manual, and the other group did not study them.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ext-trained experimental group performed better than their counterpart. They completed the text properly and did not make many translation errors or language errors.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clas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future research suggestions are made.
오늘날 해외 선교지와 국내 이주민 선교 현장에서 한국어 학습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주민 선교는 유형별로 선교전략을 달리하여 접근해야 한다. 국내 외국인 유학생들은 초기 정착과정에서 한국어 공부에 대한 필요가 크다. 한국어 공부는 선교의 좋은 접촉점이 되지만 큰 수요에 비해 선교를 위한 한국어 교재개발과 공급이 매우 절실한 상황이다. 선교목적 한국어 교재개발은 학습자인 외국인 유학생, 한국 인 교사, 성경과 일반 내용을 융합한 텍스트와 유학생들의 삶과 학업 현장의 상황을 고려해야 한다. 이를 토대로 한국의 유학생 전도용 한국어 공부 교재로 개발한 본 연구자의 졸고 『세계관 한글공부』 교재를 분석했다. 한국 유학생인 학습자 상황, 세계관 연구방법과 한국어 교육을 접목한 특징, 내용과 구성을 중심으로 교재를 분석하고, 유학생 선교현장에서 교재를 활용한 선교적 적용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ontents of ‘Korean politeness’, which can be used to lear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of ‘conversational performance’. To this end, first, the concept of Korean politeness was examined in two elements: ‘sociocultural norm consciousness’ and ‘conversational strategy of individual speech act’. A conversational performance model of Korean politeness was also investigated as a educational unit of politeness contents. This performance model is composed of ‘adjacency pair’ and based of ‘common ground’ including honorific and speech act requirements. In order to construct educational politeness contents for KSL learner, conversational scenes of the revised KSL textbook, Standard Korean for Elementary Schoolchild were then analysed. In conclusion, politeness contents of KSL textbook were revealed in three aspects: ‘practice of using honorific style’, ‘politeness routines’, ‘politeness expressions and strateg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direction of politeness education for KSL learners in elementary school was finally proposed in both ‘speech act’ and ‘conversation type’ pragmatic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spective of gender in Korean textbooks in the Korea Immigration and Integration Program(KIIP),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to develop more balanced gender consciousness and to reflect the reality of gender consciousness in Korean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Korean language textbooks for KIIP. Korean textbooks in KIIP are graded from 0 to 4 levels. However, in this study, level 0 and the beginning level 1 were excluded. The study mainly analyzed illustrations, specifically pictures including those that depict the characters in the textbooks, as well as texts, specifically, the sentences, exercises, an listening dialogues of the target grammar. This study analyzed the gender roles and gender stereotypes in the illustrations and texts in Korean textbooks. As a result, gender stereotypes that were biased to one side in the elementary and intermediate textbooks were suggested or implicitly recognized in a whole society Therefore, in order for migrants to adapt to Korean society, it is necessary to suggest the correct gender role of Korean society within the Korean textbook.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art that can be perceived as one-sided gender stereotypes, and education on the proper recognition of gender and gender equality must be carried out in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Despite the importance of the EPS-TOPIK(Employment Permit System-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exam for those who aim to work in Korea under the EPS system, not enough studies have been done on the subject of EPS-TOPIK exam and the official Textbook. In addition, studies on representation of nationality and skin color in textbooks are rare compared to such studies on gender represent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extbook which hasn't been researched enough, on the matter of representation not only based on gender but also on nationality and skin color. This study analyzes the Textbook quantitatively with the focus on the 20 main characters and qualitatively on the illustrations and texts, and suggests that the Textbook should properly represent its users who intend to work in Korea under the EPS system. Stereotypes based on nationality, preference of so-called ‘Korean’ skin tone and gender inequality should be rejected. The chapter on sexual harrassment in workplace should be revised to go against victim-shaming and to contain helpful contents for sexual harrassment survivors.
In this paper, while examining the entire vocabulary of Korean Basic Dictionary, the vocabulary list is presented by selecting the definitions related to the mouthfeel. The mouthfeel has 2 meanings. One is the sensible feeling you have when chewing food. And the second one is the feeling related to physical texture of the food. The meanings are divided into <surface texture>, <hardness>, <elasticity>, <viscosity>, <moistness>, <heat>. After examining how such qualities are related to food texture, the vocabulary list is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main meaning features. We looked closely at how the vocabulary in each area is related to each other in each meaning’s field.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 of vocabulary more systematically, it was drawn into the segmented table. Through this observations, we tried to find out how the vocabulary related to the mouthfeel was developed.
2019년 8월을 기준으로 우리나라에서 소형선박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는 30톤 미만의 선박은 3,782척으로 전체 등록선박 8,890 척 대비 42.5 %를 차지한다. 문제는 소형선박의 종사자들이 주로 외래어에서 기형적으로 파생된 비표준어를 많이 사용함으로써 선내 의사 소통의 단절, 해기사 면허시험이나 해기 관련 교육수강 시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겪는 등 많은 문제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는 소형선박 종사자들의 직무능력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형선박 종사자들의 사용용어를 면밀히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표준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사용용어 분석을 위하여 해기사 면허시험의 기출용어, 소형선박 교육교재의 다빈도 용어를 식별하였고, 이에 해당하는 비표준어를 조사하였다. 조사된 내용을 토대로 전문가 회의를 개최하여, 주요 용어에 대한 잘못된 일본식표기, 영어표기, 표 준어를 제시하여 어느 표기에 가장 친숙한지에 관해 설문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설문 분석결과 항해 용어의 경우 비교적 표준어 사용의 비율이 높으나, 기관 용어의 경우 잘못된 일본식 표기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연령별, 톤수별 분석결과도 일본식 표기를 전반적으 로 많이 사용하며, 영어식 표기의 사용빈도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토대로 소형선박 종사자의 표준어 사용을 위한 단기 및 장기 방안을 제안하였고, 이에는 소형선박 종사자들이 사용하는 용어에 대한 표준어사전의 제작, 표준어 사용에 대한 중요성 홍보, 교육기관을 통한 적극적인 교육, 외국인 선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준비 및 이행 등이 포함된다.
본 연구는 국내 중국어교육에서 활용되고 있는 주제범주와 주제항목을 분석하여 이들의 객관성을 확보하고 중국어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주제의 참조기준을 마련을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CEFR』, 국제통용 한국어표준교육과정』,『Core Inventory for general English』등 외국어교육요목의 주제를 분석하여 일반 언어에서 필요한 보편적인 주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国际大纲(2014)』과 『新HSK大纲(2015)』, 『제2외국어과 교육과정』의 주제를 분석하여 중국어교육요목에서만 특징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개별적인 주제를 분석하여 언어 보편적 주제와 개별적 주제들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내 중국어회화교재의 주제범주와 항목을 비교분석한 그 결과, 국내 중국어교재의 주제는 1단계에서 4단계까지는 보편적인 주제이고, 5단계에서 6단계까지는 중국과 중국의 특징적인 주제를 반영하였다. 중국과 한국의 교재에서 제시한 공통적인 주제는 주로 일상생활과 연계된 주제를 주로 제시하며 언어 보편 적인 주제는 거의 대부분 제시하였다. 하지만 국내 중국어교재는 주제항목의 다양성, 수준별 연계성이 다소 부족한 반면 『HSK标准教程(2015)』는『国际大纲(2014)』과 『新HSK大纲(2015)』에서 제시한 전반적인 주제항목을 반영하고 있고, 중국과 중국문화와 관련된 개별적인 주제를 충분히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으로 향후 중국어교육에서 주제범주와 주제항목은 수준별 다양화와 수준별 연계성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은 일반적으로 재무성과 향상, 정부 및 지역사회와의 원활한 관계 형성, 브랜 드 가치 증가, 소비자 충성도 향상 등을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다국적기업의 자회사가 현지국가에서 벌이는 사회적 책임 활동 관련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현지국의 정부, 사회, 고객과 원활한 관계 구축이 필수적인 다국적기업의 자회사는 위와 같은 효과를 목적으로 현지에서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전개할 유인이 크다. 다만 자회사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전략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만큼 이는 기업의 해외 진출 전략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즉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현지시장지향성은 현지에서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본국과 현지국 간의 제도적 거리가 멀수록 외국인 비용 감소 동인이 커질 것이므로, 현지 사회적 책임 활동 수준은 높아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현지시장지향성에 따라 사회적 책임 활동 수준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또한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전략적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제도적 거리가 현지시장지향성과 사회적 책임 활동 간의 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국내 도·소매업에 진출한 다국적기업 자회사를 대상으로 실증분석하였다. 2006년에서 2016년까지 193개 기업의 1,239개 관측치를 분석한 결과, 현지시장 지향성(한국어 홈페이지)이 현지 사회적 책임 활동과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국 과 현지국 간의 제도적 거리는 현지 사회적 책임 활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광고집중도와 현지 사회적 책임 활동 간의 관계에 대하여 정(+)의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현지시장지향성과 현지 사회적 책임 활동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다국적기업의 현지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현존하는 한자구조의 분석이론은 그 유형과 명칭이 매우 복잡하고 많을 뿐만 아니라, 글자를 식별하고 쓰고 듣는 교육에 있어 그 효과를 알기 어렵다. 여기에서 필자는 간단하고 쉬운 방법으로 축을 이용하는 법을 제시한다. 한자 구조를 가로축, 세로축 및 십자 축으로 하고, 한자를 서로 다른 원수 및 층 유형의 글자로 구분하였다. 중국어, 일어, 한국어의 한자 및 베트남 한자에 대한 다양한 시험을 통해 이 분석 방법이 중화권에서 사용되는 여러 한자와 간화자, 일본 한자, 한국 한자 및 베트남 한자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제시한 양축분석법은 한자와 자의 자음의 이해 및 학습에 있어 보다 진일보한 효과를 형성하여 한자 학습의 난제를 극복하는 데 도움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rriculum to help foreign broadcasters who will be in demand in the future develop pragmatic language and Korean language skills suitable for broadcasting languages. Based on literature review related to broadcasting language and Korean for Occupational Purposes, the broadcasting language conditions for foreign broadcasters were organized. In order to develop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t’s been interviewed and surveyed foreign broadcasters who are working at Korean broadcasting stations. Based on the needs assessment, the education contents and teaching items were designed. The principles of composition of the curriculum establish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and broadcasting ability for foreigners; (2) content that can be understood and proceed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genre; (3) use the correct broadcasting language; (4) active response attitude; and (5) a broadcaster with the ability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Proposals for the curriculum that can help foreign broadcasters grow into good communicators of cultural content in Korea are pres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oint out the problems of Korean language policy and education through some phenomena of variation and change in Korean language, and to show how they should go in the future. Since language policy and education are directly related to the status of language, in Chapter 2 we outline the current status and situation of Korean. In Chapter 3, we examine some of the variations and changes in Korean language, which are highly interesting from a social perspective. Based on these results, in Chapter 4, we present the direction of Korean policy and education as ‘rich and just Korean’.
So far, the key direction of policy and education for the Korean language has been ‘window-dressing language policy’ and ‘window-dressing language education’. They have attempted to refine Korean by simplifying and abstracting the various language facts and disregarding of the elements that seemed not to be beautiful. The language policy and education caught up in the ‘beautiful Korean’ obsession have lasted for decades in Korean.
Now Korean speakers should be liberated from ‘beautiful and pure Korean’ ideology.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local dialects, North Korean words, slang and buzzwords, and net languages. We need to accept new concepts through contact with other languages. With its diversity, richness, and political correctness, Korean will be able to keep its place firmly in the strong waves of English and grow into an important language of the world.
본고는 17권의 한·중 현대소설 텍스트의 차등 비교문에서 ‘更’과 ‘还’에 상응하는 한국어의 다양한 정도부사 표현에 있어서의 그 원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중 인지 언어학 연구 방법론의 하나인 원형이론에서 Langacker의 연결망 모형을 바탕으로 ‘更’과 ‘还’에 상응하는 한국어 정도부사의 의미 연결망 모형 그리고 수평 차원에서의 원형이론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차등 비교문 안의 한국어 정도부사 사용에는 정도상의 표현 되는 크기에만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다양한 정도부사의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또 하나는 차등 비교문 안의 연이은 정도부사 사용을 살펴보면서 정도부사 간의 양(量)의 격차 즉, 거리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만약 거리를 고려하지 않는다면 비문이 되어 원형적 차등 비교문 효과를 나타낼 수 없을 뿐 아니라 두 대상 간의 비교 정도치를 극대화 하거나 반대로 극소화 시킬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연이은 정도부사 사용이 차등 비교문 안에서 원형적 차등 비교문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선 반드시 양(量)의 격차를 고려해야 하며, 그중 본고의 연구를 통해 ‘중량(中量) 부사’ > ‘소량(小量) 부사’ 그리고 양(量)의 격차가 ‘0’ 일 때의 동일 선상에서 연이은 정도부사의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