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사용 모드에 따른 반응지연 상황의 행동적, 정서적 효과 KCI 등재

The effect of behavioral and emotional change on usage mode and response-delay situ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4663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2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시스템의 기능이 많아지면서 시스템의 반응시간은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반응지연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컴퓨터를 사용하는 상황을 바탕으로 이루어졌고 더 단순한 과제를 사용하는 기기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휴대전화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반응지연이 사용자들의 행동과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실험 1; 독립변인: 반응지연 정도, 종속변인: 행동적, 정서적 평가). 더 나아가 사용자가 제품을 사용하는 상황(활성화된 모드)에 따라 동일한 반응지연이 있을 경우 행동 및 감정 평가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보았다(실험 2; 독립변인: 반응지연 정도, 사용모드, 종속변인: 행동적, 정서적 평가, 스트레스, 정신적 노력). 그 결과, 반응지연이 있으면 과제를 수행하는 시간(효율성)이 길어지고 부정적인 감정이 유발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황(활성화된 사용 모드)에 따라서 동일한 과제를 수행하는 경우라도 그 평가에서 차이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즉,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과제를 했을 경우 반응지연이 있게 되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고 이 경우 반응지연의 유무가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같은 과제를 수행함에 있어서도 정신적인 노력이 더 많이 소모된다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휴대전화 상황에서 반응지연 정도가 사용자들의 감정뿐 아니라 수행에도 영향을 줌을 확인하였고 동일한 과제의 제시한 경우라도 사용 환경에 따라 제품 평가에 차이를 보임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System response times(SRTs) are getting important while increasing the function of system. In the past, most research studied SRTs on situation of computer usage. There are lacking the research on simple domain. This study focuses on behavioral and emotional effect on situation of cell phone usage(experience 1; independent variables: degree of SRTs, dependent variables: behavioral and emotional evaluation). An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behavioral and emotional effect in same SRTs on different situation(experience 2; independent variables: degree of SRTs, usage mode, dependent variables: behavioral and emotional evaluation, stress, mental strain). The result indicated that long SRTs increased problem solving time and negative emotion. User evaluated the system differently according to usage mode after they performed the same task. In other word, if user had a strong goal, then they felt more negative emotion and mental effort than the user don't have a strong goal. In the goal mode group, it was important there are being of delay or not.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SRTs and usage mode influence user's emotion and behavior performance in same task.

저자
  • 주효민(연세대학교 인지과학협동과정 인지공학심리학전공) | Joo, Hyo-Min
  • 김효선(연세대학교 인지과학협동과정 인지공학심리학전공) | Kim, Hyo-Sun
  • 김혜령(연세대학교 인지과학협동과정 인지공학심리학전공) | Kim, Hye-Ryeong
  • 한광희(연세대학교 인지과학협동과정 인지공학심리학전공) | Han, Kwang-Hee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