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바나듐 산화환원 흐름전지를 위한 음이온교환막의 관능기에 따른 특성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Effect of Different Functional Groups in Anion Exchange Membranes for Vanadium Redox Flow Batter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495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멤브레인 (Membrane Journal)
한국막학회 (The Membrane Society Of Korea)
초록

바나듐 산화환원 흐름 전지에 핵심적으로 사용되는 이온교환막은 일반적으로 양이온교환막을 사용하고 있으나 co-ion인 바나듐 이온의 투과에 의한 장기적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나듐 투과도 및 장 기 운전 안정성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세 가지 다른 관능기를 보유한 음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다. 기저막으로는 다공성 폴 리에틸렌 필름에 benzyl chloride (VBC)과 divinylbenzene (DVB)을 충진 및 가교 중합하여 제조한 후, 세 가지 다른 아민 관 능기를 각각 도입하였다. 제조된 음이온교환막들에 대해 바나듐 이온 투과 정도 및 장기 운전 안정성을 관찰한 결과 triethylamine을 관능기로 적용한 음이온교환막에서 높은 에너지효율을 유지하면서도 가장 장기적 운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Commonly cation exchange membranes have been used for vanadium redox flow batteries. However, a severe vanadium ion cross-over causes low energy efficiency. Thus in this study, we prepared 3 different anion exchange membrane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the membrane properties such as vanadium ion cross-over and long term stability. The base membranes were prepared by an electrolyte pore filling technique using vinyl benzyl chloride (VBC), divinylbenzene (DVB) within a porous polyethylene (PE) substrate. Then 3 different functional amines were introduced into the base membranes, respectively. These resulting membranes were evaluated by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ion exchange capacity, dimensional stability, vanadium ion cross-over and membrane area resistance. Conclusively, TEA-functionalized membrane showed longest term stability than other membranes although all the membranes are similar to coulombic efficiency.

저자
  • 이재명(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연료전지산학연협력센터) | Jae-Myeong Lee
  • 이미순(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연료전지산학연협력센터) | Mi-Soon Lee
  • 남기석(전북대학교 대학원 에너지저장변환공학과) | Ki-Seok Nahm
  • 전재덕(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연료전지산학연협력센터) | Jae-Deok Jeon
  • 윤영기(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연료전지산학연협력센터) | Young-Gi Yoon
  • 최영우(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수소연료전지산학연협력센터) | Young-Woo Choi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