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와 전각 예술은 중국 전통문화의 정수(精髓)로서, 독특한 동양적 미학과 철학적 사상을 담고 있다. 현대 디자인 맥락에서 이들의 선 리듬, 공간 구성 및 문화적 상징성은 그래픽 디자인에 풍부한 창의적 자원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서예와 전각 예술이 현대 디자인과 융합되는 과정을 분석하며, 그 미학 체계와 디자 인 변환 방법 및 혁신적 적용 방안을 탐구하였다. 서예와 전각의 미학적 특징을 바탕으로 현대 디자인에서의 변환 가치를 고찰한다. 이 과정에서 서예는 먹의 농담(濃淡), 리듬, 구조를 통해 디자인에 동적 시각 표현력을 부여하며, 전 각은 금석(金石)의 풍미, 인면(印面) 구성 및 허실(虛實) 대비를 통해 현대 디자인에 독특한 공간 미학을 도입한다. 이들의 결 합은 시각 언어의 표현 차원을 확장할 뿐만 아니라 디자인의 문화적 깊이를 강화한다.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서예·전각 요소가 현대 브랜드 디자 인, 타이포그래피, 디지털 미디어 등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그 혁신 메커니즘을 규명한다. 예를 들어, 전각의 인장(印章) 형태 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에서 문화적 정체성을 강조하면서도 모던 미니멀리즘 디자인 트렌드와 조화를 이룬다. 서예의 필획(筆劃) 은 모션 타이포그래피(Motion Typography)에서 움직임의 서사 성(書寫性)을 강화하는 데 활용된다. 마지막으로, AI 생성 기술(Generative AI), 가상 현실(VR) 등 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서예와 전각 예술이 인터랙티브 디자인 (interactive design), 메타버스(metaverse) 공간 등에서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갈 것으로 전망한다. 디자이너는 이러한 기회를 활 용하여 동양 미학의 현대적 해석을 추구하며, 더욱 풍부한 창조 적 영역을 개척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중년 성인의 자기효능감과 생활몰입 간의 관계에서 2차 문화활동과 생 활스트레스가 어떠한 간접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규명하고, 생활스트레스가 이러한 매 개 경로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탐색함으로써, 자기효능감이 생활몰입으로 이어지는 심리·행동적 메커니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중년기 성인의 심리적 안녕과 삶 의 질 향상을 위한 문화활동 기반 개입 방안을 제시하고, 차문화활동의 교육적·사회 적 활용 가능성을 학문적으로 뒷받침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이를 위해 전국에 거 주하는 40~60세 중년 성인 142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 정 도구로는 자기효능감 척도, 생활몰입 척도, 2차 문화활동 참여도, 생활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8 버전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매개·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기효능감 은 생활몰입에 직접적인 긍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동시에 2차 문화활동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둘째, 생활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과 생활몰 입 간의 간접경로에서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어, 스트레스 수준에 따라 매개효과 의 강도가 달라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생활스트레스 수준이 낮을수록 2차 문화활동을 통한 몰입 향상 효과가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 해 중년기 성인의 생활몰입 증진을 위해 심리적 자원인 자기효능감의 강화와 더불 어, 문화활동 참여 촉진 및 생활스트레스 완화가 병행되어야 하며, 중년기 성인의 생활스트레스로 인한 스트레스와 정신적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현재에 집중하고 감 정을 다스리는 프로그램을 통해 일상 생활 몰입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에 도움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view assessed the fea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chemical sterilization methods as alternatives to conventional physical sterilization methods, with a specific focus on mushroom substrate preparation. Physical sterilization methods, such as autoclaving, provides excellent sterilization efficacy, but are resource-intensive and costly, limiting accessibility for small-scale mushroom growers. This review systematically examined recent research on chemical sterilization agents, notably hydrogen peroxide (H2O2) and chlorine dioxide (ClO2), focusing on sterilization efficacy, biological efficiency (BE), residual toxicity,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Life Cycle Sustainability, LCS). The results indicated that H2O2 and ClO2, at relatively low concentrations, achieved significant microbial reduction while maintaining mycelial growth and yields comparable to those obtained with physical sterilization. However,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address the issues related to species-specific sensitivity and chemical residue safety. The development of biodegradable natural sterilizing agents and establishment of practical field guidelines are recommended to enhance the applicability of chemical sterilization methods in mushroom farming.
This study compares four major Korean hate speech corpora to analyze differences in target group categorization and the impact of construction method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portions of key target groups— gender, origin, physical traits, and ideology—vary greatly depending on how the corpus was compiled. In particular, keyword-based data sets revealed a notably higher focus on gender, with the influence of data collectors’ subjectivity and contemporary social issues clearly reflected.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intersectionality and exclusivity of hate speech, we identified complex interconnections among target groups and challenges in classification arising from contextual usage. The study recommends the development of theme-specific and context-aware corpora to accurately capture these fea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