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의 《음악적 농담》(Ein musikalischer Spaβ, K.522)은 1787년에 완성된 디베르티멘토이다. 이 작품에서 모차르트는 일부러 적절하지 못한 작 곡기법들을 사용하고 전통 형식에서 벗어나는 요소들을 통해 음악적인 풍자를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모차르트의 의도적인 실수로 보이는 것은 호른의 불협화음, 바이올린의 온음음계, 부속 화 음의 미해결, 병행 5도 진행과 같은 것들을 들 수 있다. 이 작품을 언급하고 있는 연구 논문들은 대부분 이런 표면적인 음악적 풍자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지만, 구체적인 분석의 예를 통해서 설명 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다. 본 논문에서는 고전 기악곡들의 형식을 기능과 연관해서 설명하고 있는 캐플린의 이론과 그가 제시한 유형들을 분석 모델로 삼아 모차르트 작품의 제1악장과 제3악 장의 악곡 분석을 통하여 악구 구조와 형식 측면에서 이 작품의 이례적인 점들을 음악적 풍자와 연관 지어 살펴본다.
        5,500원
        2.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호접란 신품종 SM 5225은 2005년 상미원에서 Phal. Golden Peoker와 Phal. Leopard Prince를 모부본으로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F1개체 중에서 선발한 바탕은 진적색으로 가장자리가 백색인 이중색 계통의 계통이다. 2006년부터 2007년까지 2년에 걸쳐 실생 300개체를 양성하여 이들 중에서 영양생장과 개화특성이 우수한 개체 05-05-25를 선발하였다. 2008년과 2009년에 1차, 2차 특성검정을 통하여 품종의 안정성과 균일성을 확인하고 SM 5225으로 명명하였다. SM 5225은 화색이 진적색(RHS#69D)이며, 화형은 안아 피기로 안정되어 있다. 꽃의 길이와 폭은 각각 7.3, 9.0cm이다. 총상화서로 꽃의 볼륨이 있으며 중형 분화에 적합하다. 잎의 길이와 폭은 각각 12.0cm, 6.9cm이며, 잎은 반수직으로 배열되어 있다. 기내증식율이 높고 변이가 거의 없으며 영양생장 우수하여 재배관리가 용이하다. 2012년 10월 31일 품종등록(등록번호 제4191호)하여 종자산업법에 의해 보호받고 있다. 신품종 SM 5225는 수입종묘를 대체와 분화시장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3.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Korean and Japanese use disagreements and negative assessments to frame their actions a joke,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framing strategies in natural conversation between friends. I have found the following differences between Korean conversations and Japanese conversations: (A) In Japanese conversation speech level shifts and formulaic expression were used as contextualization cues that signal a joke while Korean used personal pronoun shifts and in some case, negative assessments were uttered without apparent contextualization cues. (B) To avoid the possibility that their utterance is regarded as a face-threatening act, Japanese speakers shift a frame by clearly expressing that their utterance is a joke. As a result, hearers participate in the joke frame without being misled. On the other hand, Korean speakers frequently utter negative assessments without apparent contextualization cues and tend to rely on how hearers interpret the frame.
        6,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