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2

        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목적은 여고생 164명의 자아통제감, 사회적 지지 및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과 그 변 인들 간의 관계, 여고생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데 있다. 대상자의 자아통 제감은 평균 20.47±3.86점으로, 학교생활 만족 정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는 평균 105.88±19.63점으로, 학교생활 만족 정도와 부모님의 양육 태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 타냈다. 대상자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평균 58.96±17.33점으로, 교우관계, 학교생활 만족 정도 및 부모 님의 양육태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일상적 스트레스는 자아통제감, 사회적 지지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자아통제감은 사회적 지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고생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사회적 지지, 자아통제감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여고생의 정서적, 정신적 건강증진 측면에서 일상적 스트레스를 완화 시키기 위한 프로 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4,200원
        2.
        2018.0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정체성의 위기에 봉착해 있는 현 시대에, 과연 우리의 전통사상 및 전통교육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에 대한 당연한 문제제기의 일환이자 그에 대한 대응의 노력이다. 최근 10-20년 사이 현대 한국사회에서의 전통적 가치를 확인하는 작업들을 주제에 따라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해 볼 수 있다. 첫째, 사고방식에 주목한 연구, 둘째, 오늘날 한국인인 지닌 가치들의 지형도를 그리고자 했던 연구, 셋째, 구체적인 가치⋅덕목을 중심으로 하되 중시하고 있는 것(Is) 이 아니라 중시해야할 것(Ought)을 분석한 연구, 넷째, 전통적 가치와 시민사회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등이 있다. 이처럼 전통적 가치에 관한 다양한 논의 들은 확산의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볼 수 있지만, 반면 일정 부분 경계해야 할 부분들도 있다. ‘현재적 의미로서의 전통’은 전래된 것으로서의 전통에서 현재적 의미를 추출하는 것이라기보다는, 역으로 현재적 의미가 어떠한 전통적 사유와 맞닿아 있는가를 논의하는 것에 가깝다. 즉, 과거가 현재와 미래에도 여전히 유효하다는 입장이 아니라, 현재와 미래에 유효한 것들이 과거의 전통으로부터 연원 한다는 점을 논의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통과 전통교육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어린이와 청소년, 성인세대를 대상으로 한 실태조사는 이러한 접근에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전통(傳統)이란 이전 세대로부터 전해져 내려온 것으로 현재의 생활문화가 유지되고 발전하는데 있어서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는 양식과 태도 등을 의미한다. 전통문화의 전수와 계승은 우리 민족문화의 발전과 함께하며 영구히 이어지고 지속되는 역사적 실체로며, 진정한 전통문화의 계승은 우리 역사를 긍정적으로 보는 안목부터 키워나가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6,100원
        3.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is study provides a methodology for estimating proper number of equipment for ordinary road management works. METHODS: Utilizing a computerized data of record systems (KAMIS) in 18 regional offices, two evaluation indicators were calculated and then normalized for objective comparison. Applied magnifying factor to the outputs, the proper number of equipment can be estimated. RESULTS: As a result, proper number of equipment by regional offices were required 28% more than current conditions. CONCLUSIONS: Using the proposed a methodology, fundamental data for scientific and reasonable strategies can be stored as well as be used for the future plan for budget allocation.
        4,000원
        4.
        201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구원 받은 신자는 창조세계를 선물로 받는다”라는 말은, 루터 학자 게르하르트 포드(Gerhard Forde)가 루터가 종교개혁적 혁파에서 얻은 새로운 신학적, 윤리적 인식을 훌륭하게 응축한 것이다. 하나님 은혜에 의한 구원은 하나님의 창조세계를 보는 긍정적 관점을 제공하고, 그 속에서의 삶을 은총의 선물이자 책임적 소명으로 환원시킬 동기와 동력을 부여한다는 것이다. 루터는 하나님의 창조세계 속에서 신자의 삶이란, 하나님을 의지하는 신앙으로 피조물로서의 일상적 삶을 살아가는 것으로 보았다. 창조세계 자체와 그 속에서의 신자의 일상생활을 긍정적으로 본 것이다. 중세 가톨릭 교회가 창조세계 속 일상적 삶을 경시한 데 비해, 루터는 이 땅에서 신앙으로 하는 모든 일을 영적인 일로 여겼다. 창조세계 속에서의 세 가지 삶의 형태인 교회, 가정, 국가에서의 직분을 신앙으로 감당하는 것을 하나님께 대한 예배이자 신자의 소명으로 보았다. 그리스도인이 하나님의 두 왕국에서 개인 윤리와 공적 윤리를 바르게 구분하고 적절히 적용하면서, 자신의 직분을 통해 소명을 다할 때 사회는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될 수 있음을 가르쳤다.
        8.
        2013.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 경험이 일상적 스트레스 상황에서 유아의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이 지속되는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충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2개 사립유치원 2학급에 재원 중인 만 5세 유아 60명(실험집단30명, 통제집단3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을 12주동안 주 3-5회 유아 1인당 56회 실시 하였다.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의 경험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해 염현경(1998)의 한국형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검사(KPDSS)를 사용하여 집단 간 사전·사후·추후 검사 결과에 대해 문항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사후 검사의 점수에서 사전 검사의 점수를 뺀 증가분을 t검증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 유아들의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상황 중 ‘비난·공격적 상황 접함’ 상황과 ‘불안·좌절감 경험’에서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험 집단 유아의 경우 자기존중감 기르기 교육활동을 경험한 10주 후에도 통제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9.
        2013.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의 경험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만 3세반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특징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써 만 3세반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특징에 대한 구체적이고 의미 있는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에 참여한 유아는 강원도 D시에 소재한 공립단설유치원의 만 3세반 유아 18명 중 종일제 유아 6명이었으며, 본 연구는 2011년 9월 1일부터 12월 10일까지 15주 동안 총 28회 진행되었다. 유치원의 경험에 대한 이야기나누기 시간은 종일제 귀가시간 전(16:00~16:15)에 외부 소음이 적은 조용한 공간인 낮잠을 자는 방에서 진행하였으며, 이야기나누기 시간의 전 과정은 비디오카메라와 MP3로 녹화·녹음되었다. 자료 수집은 동영상 녹화 및 녹음, 연구자의 저널을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자료의 조직화, 영역분석, 자료 분류 및 분류분석, 분석결과의 해석 단계를 거쳤다. 유치원의 경험 이야기나누기 활동에서 나타난 만 3세반 유아들의 일상적 내러티브 특징은 내러티브를 향한 첫걸음, 친구와의 내러티브, 교사와의 내러티브, 변화하는 내러티브로 범주화 할 수 있었다.
        11.
        2008.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어머니와 유아 간의 일상적 내러티브 대화에서 자녀의 일상적 내러티브를 이끌어내기 위해 사용하는 어머니의 대화방식과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 4,5세 48명의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48명으로 총 48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어머니의 대화방식은 ‘정교한 방식’과 ‘반복적 방식’으로 나타났으며, 정교한 방식의 요소는 정교화 진술, 정교화 질문, 평가, 길이 이고, 반복적 방식의 요소는 반복 진술, 반복 질문, 문장 완성형 진술 및 질문, 기억자극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어머니 대화방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유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라 어머니의 대화방식은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 수준을 분석한 결과 유아의 성별, 연령에 따라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어머니의 대화방식과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 수준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정교한 방식은 각 하위요소인 정교화 진술, 정교화 질문, 평가, 길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 경향성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대화방식 중 정교한 방식에서 정교화 진술, 정교화 질문, 평가, 길이의 요소 모두 유아의 일상적 내러티브 발달 수준이 4수준에 이르기까지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다가 4수준이 넘어서면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12.
        2007.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또래와 협력하여 집단놀이 형태로 이루어지는 전통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충북 청주시에 소재한 유치원 만 5세 2개 반을 각각 실험집단(30명)과 통제집단(30명)으로 배정하였다. 실험처치는 실험집단의 유아들에게 8가지의 전통놀이 활동을 8주간 실시하였다. 전통놀이 활동은 도입, 전개, 정리의 과정으로 전개되었다. 일상적 스트레스의 집단별 비교를 위하여 ‘한국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전통놀이 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유아가 통제집단의 유아보다 일상적 스트레스가 유의미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