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 내 인공지능(AI)의 활용이 확산됨에 따라, 인적자원관리(HRM) 분야에서도 AI 기반 시스템의 도 입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HRM에서 AI를 직접적으로 활용하는 주체인 HR 부서 직원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인적자원관리(AI-HRM)가 직원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 적으로 AI-HRM이 두 가지의 시스템 효율성 형태인 업무 효율성과 의사결정 효율성에 대한 직원의 인식 을 강화시키며 이는 결과적으로 직무성과를 증가시킬 것으로 예측하였다. 더 나아가 업무 효율성과 의사 결정 효율성 각각이 개인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HR 부서 직원의 민첩성 수준에 따라 차등적 영향 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직원 민첩성의 조절효과를 추가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 HRM 분야에서 AI를 활용하고 있는 기업에 종사하는 HR 부서 직원 173명을 대상 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데이터 분석 결과, AI-HRM은 HR 부서 직원의 직무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AI-HRM과 직원의 직무성과 간의 관계는 직원들이 인식하는 시스템 효율성 (업무 효율성 및 의사결정 효율성)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AI-HRM은 업무 효율성 및 의사결정 효율성을 높이며 이는 결과적으로 직원의 직무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직원 이 AI 기반 HRM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인식할수록 개인의 직무성과가 향상되며, 이러한 긍정적 영향은 개인의 민첩성 수준이 높을수록 더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국내 HRM 시스템에서의 AI 도입 및 활용의 중요성과 개인의 민첩성 역량 강화를 강조하고자 한다.
본고는 인구 감소의 시대 지역사회, 특히 농촌 지역의 젊은층 인구는 감소하고 고령층 인구는 증가하고 있어 이에 따라 어려움을 겪는 지역사회복지의 활성화를 위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된 것이다. 본고 에서는 활성화를 위한 방법으로 고령자 자원봉사와 종교의 두 축을 제시했다. 먼저 최근 고령 노인들은 사회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을 보여주면서 그들의 자원봉사 활동이 오히려 삶의 보람과 만족도 를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엇보다 고령 노인들이 자신들이 생활하던 익숙한 지역이나 공간에서 노년기를 보내는 ‘제자리에서의 노화’가 삶의 질이나 사회적 비용면에서도 바람직하다는 점에서 젊은 자원 봉사자들과 같은 빈번한 이직에 대한 우려가 없다. 이들의 자원봉사는 위탁 조부모 프로그램, 시니어 동반 자 프로그램, 은퇴자 시니어 자원봉사자 프로그램 같은 것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이 장점이면서 한계로 작용한다. 다음 지역사회복지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은 종교이다. 사회적 약자의 돌봄 서비스에 대한 종교 적 가르침이 모든 신앙 전통에서 지지되고 있거니와, 영적 자원과 자원봉사 사이에는 긴밀한 연관이 있어 서 예배에 자주 참석할수록 지역공동체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보인다. 특히 노인자원봉사자들의 지속적인 봉사를 위해서는 이를 조직화할 수 있는 기관들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종교기반 지역복지관과의 연계는 큰 힘이 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지역사회복지는 어느 정도 그 생명력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Grapevine l eaf rust (GLR) c aused b y Phakopsora euvitis diminishes fruit quality and reduces yield in viticulture, making it one of the world’s most significant fruit crop threats. To develop GLR-resistant grape varieties, substantial efforts have been made to select rust-resistant genes and determine effective strategies f or achieving durab le resistance in grapevin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genetic resources resistant to GLR by investigating disease incidence in vineyards and symptom development in grapevines inoculated with pathogens. Fifty-seven genotypes from Ampelopsis brevipedunculata, Vitis acerifolia, V. aestivalis, V. amurensis, V. cinerea, V. coignetiae, V. flexuosa, V. labrusca, V. labruscana, V. rotundifolia, and V. vinifera were evaluated for rust disease incidence over four years (2021 –2024) at Yeunganm University. Three plants per genotype were potted and sprayed with a pathogen suspension to assess disease incidence on their adaxial leaf surfaces in a greenhouse. Variation in resistance to GLR was observed among genotypes within each species. Resistant genotypes of V. coignetiae exhibited no symptoms on their leaves, while severe infections were noted in the leaves of susceptible genotypes of A. brevipedunculata, V. amurensis, V. flexuosa, V. labruscana, and V. vinifera. None of the tested V. rotundifolia genotypes displayed yellow pustules and remained unaffected for three weeks after artificial inoculation.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potential of V. rotundifolia and V. coignetiae as valuable genetic resources for breeding rust-resistant grapevines. Chlorophyll content was comparable across all uninfected genotypes. While resistant genotypes maintained relatively stable chlorophyll levels, the average chlorophyll content in the majority of susceptible genotypes was significantly lower following inoculation than before. This negative relationship indicates a general decline in photosynthetic capacity due to disease development in grapevines. Identifying resistant genotypes among both resistant and susceptible genotypes across different Vitis species provides crucial insights for developing new grape varieties with improved resistance to GLR.
본 연구는 동기부여 이론의 관점에서 인적자원관리 강도 인식(perceived HRM system strength)과 임 금수준이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기제를 탐구하였다. 직무 만족도와 조직 동일시를 매개로 인사관리강도 인식과 임금수준의 영향을 확인함과 동시에, 고임금 집단과 저임금 집단으로 구분하여 임 금 수준이 양 집단간에 서로 다른 심리적 과정을 이끌어낼 수 있음을 주장한다. 연구 가설 검증을 위해 인적자본기업패널 2차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한국 기업 500개에 속한 2,566명의 표본을 대상으로 구조방 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인사관리강도 인식과 실제 급여는 모두 직무 만족도 및 조직 동일시를 통해 이직 의도를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임금 집단과 저임금 집단 간에는 경로의 패 턴에서 차이가 발견되었다. 고임금 집단에서는 급여가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이직 의 도를 직접적으로 낮추는 반면, 저임금 집단에서는 급여가 직무 만족도를 통해서만 이직 의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의 분석 결과는 임금이 외적 동기 요소로서 위생 요인이며, 인사관 리강도 인식은 내적 동기를 자극할 수 있는 관리적 전략임을 강력하게 시사하며 전통적 동기부여 이론의 시각과 맥락을 같이한다. 이 연구는 실무적 차원에서 인사관리강도 인식 관리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함 과 동시에 인사관리 정책 변화 관리에 중요한 실질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Understanding long-term changes in fisheries resources is essential for sustainable ecosystem-based management. This study assesse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s in Korean coastal fisheries from 1971 to 2024 using an ecological group-based approach. Catch data for approximately 130 species were grouped into 21 ecological groups, and the CMSY model was applied to estimate historical biomass and stock status. Future catch and biomass were projected to 2050 under a conservative scenario assuming reduced resilience. Biodiversity and ecosystem structure were evaluated using mean trophic level (MTL), diversity index (DI), and pelagic/demersal fish ratio (P/D) based on both catch and biomass. Historical total catch and biomass declined substantially while future projections suggest stabilization or modest recovery. The proportion of demersal fish decreased over time and is expected to remain low. MTL showed a gradual downward trend in both catch- and biomass-based indicators. DI showed similar fluctuating trends across both datasets. Although P/D values differed in magnitude, both indicators exhibited a consistent pattern of increase followed by decline, indicating ecosystem structural shifts.
This study examined the anti-inflammatory potential and metabolite profiles of Perilla frutescens var. frutescens leaf germplasm.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was assessed in vitro by measuring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interleukin-8 (IL-8) secretion. Among the germplasm tested, PL7 and PL6 exhibited the strongest inhibitory effects on both NO and IL-8. Metabolite profiling, conducted using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C-MS), identified 60 compounds, primarily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grouped the samples into four distinct clusters: PL1–PL5, PL6, PL7, and PL8–PL10. Variable importance in projection (VIP) analysis highlighted 15 key metabolites (VIP>1.0), including tuberonic acid glucoside, caffeic acid, luteolin, and salicylic acid, which contributed to the separation of these groups. Heatmap visualization revealed distinct patterns of metabolite accumulation: vitexin and rosmarinic acid were abundant in PL1–PL5; vanillic acid-4-glucoside and prulaurasin were prominent in PL6; 5'-O-β-D-glucosylpyridoxine and esculin were concentrated in PL7; and luteolin and D-pantothenic acid were enriched in PL8–PL10. Further analysis identified key anti-inflammatory metabolites, such as apigenin-6,8-diglucoside, salicylic acid, and pinocembrin in PL6, along with quercetin-3-O-glucuronide, rosmarinic acid-3'-glucoside, and quercetin-3-O-glucoside in PL7.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functional diversity among perilla germplasm and their potential as valuable sources of anti-inflammatory food ingredients.
본 연구는 지난 25년간 국내 경영학(국제경영, 인사조직) 분야의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국제인적자원관리 연구 를 분야와 종류, 연구 설계, 자료 수집 방법 등으로 분류하여 그동안의 연구 동향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과제 를 제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4년 사이에 국내 국제경영 분야의 대표 학술지(국제경 영연구, 국제경영리뷰), 인사조직 분야의 대표 학술지(인사조직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그리고 경영학 분야 의 대표 학술지(경영학연구, 대한경영학회지)에 게재된 114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그동안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 았다. 분석 결과, 국제인적자원관리 연구는 2014년 이전보다 2015년 이후에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인사관리 분야와 노사관계 분야와 비교해 조직행동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념연구와 비교해 실증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대다수의 실증연구는 1차 자료와 횡단자료를 활용하여 개인 수준에서 다수 업종 다수기업을 대상으로 가설 검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제인적자원 관리 연구의 향후 연구과제를 제언하였다.
최근 동해 연안(≤300m)의 도루묵(Arctoscopus japonicus) 자원량의 급격한 변동 원인을 구명하기 위해, 현장 및 해색 위성 자료를 활용하여 겨울철 표층 수온, 산란 적합 서식지(Suitable Spawning Habitat, SSH) 및 지속 면적(Consistently formed Suitable Spawning Habitat, CSSH), 봄철 chlorophyll-a (chl-a) 농도의 장기 변동성(2000-2024년)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Period B (2005-2009년), C (2010-2016년)에는 모두 CSSH 중심과 높은 chl-a 농도가 공간적으로 일치하여 초기 좋은 먹이 환경이 형성되었으며, 특히 Period C에는 SSH 면적의 급격한 증가가 어획량 상승에 주요하게 작용하였다. Period D (2017-2024년)에는 겨울철 수온이 평년 대비 0.6 ºC 높게 나타났으며, CSSH의 중심부가 북상 하고 SSH는 Period C 대비 면적이 약 34% 감소하였다. 동시에, 봄철 chl-a의 고농도 지역과 CSSH의 중심부와 공간적인 불일치(mismatch)가 발생하였다. 종합적으로, 도루묵 자원량의 급격한 변동은 산란장 면적과 위치, 지속성, 먹이원의 공간적 일치 여부 등 복합적 환경요인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최근의 급격한 자원량 감소는 수온 상승으로 인한 산란장 축소와 산란장 중심부에서의 먹이원 부족으로 인한 초기 생존율 저하가 주요 원인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도루묵 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과 학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patent trends for technologies that convert horticultural crop residues into mushroom substrates and developed mycelium-based utilization technologies.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disposable plastics and Styrofoam has increased. Therefore, the demand for innovative and eco-friendly solutions has substantially increased. Agricultural residues such as fruit pruning residues and citrus waste provide economically and environmentally viable alternatives to imported raw materials because of their rich cellulose and lignin contents.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substrates containing these residues can produce mushrooms of equivalent quality as conventional sawdust-based media, thereby reducing production costs and improving resource independence. In addition, mushroom mycelia have been developed as sustainable materials for non-animal leather, packaging, building, and insulation. A patent analysis of ECOVATIVE confirmed important innovations in processing, material mixing, and product applications. The results provide the foundation for building an integrated system for utilizing horticultural residue resources with mycelium-based materials, as well as offers strategic insights and future directions for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ustainable industrial materials. The results also demonstrate the potential of agricultural byproducts to reduce dependence on imported substrates, lower cultivation costs, and mitigate environmental impacts, ultimately contributing to a circular economy for the development of sustainable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