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

        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as steady-state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rference between the propellers of the hexa-copter. As the distance increases, there is little change in thrust, but when a propeller close to the reference propeller rotates, it was confirmed that the thrust decreased due to the interference effect. Unsteady state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influence of the hexa-copter fuselage. If there is a fuselage, the thrust was predicted to increase by about 4.97% due to the ground effect. If the design parameters are established considering the effect of the fuselage of the hexa-copter, it is expected to be used for basic design and application design in the future.
        4,000원
        2.
        202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좌우 방향의 회전 후 직립자세 시 압력중심과 근전도 분석을 토대로 회전선호 도가 신체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오른쪽 손과 발의 편측선호도가 높 은 대상자 16명으로 3가지 회전방향 조건(QS: 직립자세, LT: 왼쪽 10바퀴, RT: 오른쪽 10바퀴)을 수행하 였다. 회전 후 직립자세 시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압력측정판과 근전도를 이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모든 압력중심 변인은 QS보다 LT, RT가 크게 나타났지만, 회전방향에 따른 차이 는 보이지 않았다. 근전도 결과는 좌우 비복근에서 회전방향에 따라 RT가 QS보다 근활성도가 크게 발생 되었다. 결론적으로 대상자가 모두 오른쪽 측면선호도가 높았지만 압력중심에서는 회전선호도의 영향이 없 었고, 비복근에서는 회전선호도의 영향이 나타났다.
        4,000원
        3.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제자리딛기 템포와 돌려차기 유형이 응답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는 태권도 4단이며 10년 이상 수련한 남자 15명이 참여하였다. 실험 과제는 메트로놈의 템포에 맞춰 제자리딛기를 하다가 불빛 자극이 제시되면 최대한 빠르게 돌려차기를 하는 것이다. 5가지 의 제자리딛기 템포(100, 120, 140, 160, 180 bpm)와 4가지의 돌려차기 유형(앞발 몸통 돌려차기, 앞발 얼굴 돌려차기, 뒷발 몸통 돌려차기, 뒷발 얼굴 돌려차기)에서 3회씩 총 60회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반복 측정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효과의 대응별 비교는 Bonferroni를 실시하였다. 제자리딛기 템포와 돌려차기 유형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으며, 제자리딛기 템포와 돌려차기 유형에 따른 주효과도 나타났다. 160 bpm의 제자리딛기 템포에서 돌려차기의 응답시간이 제일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140과 160 bpm의 제자리딛기 템포에서 돌려차기 응답시간은 거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앞발 몸통 돌려차기의 응답시간이 빨랐다. 그리고 제자리딛기 템포와 돌려차기 유형에 따라 140 bpm의 제자리딛기 템포에서 앞발 몸통 돌려차기의 응답시간이 가장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돌려차기의 응답시간은 140과 160 bpm의 제자리딛기 템포에서 효과적이며, 뒷발보다는 앞발, 얼굴보다는 몸통 돌려차기가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수행 향상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며, 태권도 경기를 위한 전략에 도움이 될 것이다.
        4,000원
        4.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복싱 잽 동작 시 제자리 스텝의 사용이 운동역학적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최근 1년간 근골격계에 상해가 없었던 오른손잡이 스탠스 유형의 대학교 복싱 선수 8명(나이: 20.38±0.52 yrs, 신장: 172.38±5.80 cm 체중: 63.45±8.56 kg, 경력 6.00±1.07 yrs)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잽 동작 시 제자리 스텝 사용이 운동역학적 요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α = .05) 통계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W.S(with-step) 가 N.S(non-step) 보다 더 큰 충격력을 나타내었고, 근육의 활성도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W.S가 인체 분절의 전방의 속도의 영향을 미쳐서 골반과 발 분절이 더 빠르게 이동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W.S는 골반의 회전 움직임이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W.S는 N.S보다 상대적으 로 오른발과 왼발에 의해서 발생된 전방의 지면반발력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서 복싱 잽 동작 시 제자리 스텝의 사용은 지면반발력을 증가시켜 인체 분절의 이동 속도와 회전 움직임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더 빠르고 민첩한 움직임을 가능케 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근육의 사용으로도 더 큰 충격력을 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복싱의 잽 동작 시 효율적으로 상대방에게 큰 충격력 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제자리 스텝을 동반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분석된다.
        4,000원
        5.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offer the teachers the useful resources that can be used while teaching the students the standing broad jump, using the equipment of the three-dimensional video analysis and of the ground reaction force to figure out the
        6,600원
        6.
        2011.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f the lower extremities joint moment during standing broad jump.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uscle forces acting on foot-segment from ankle joint was plantar flexion, abduction, evers
        4,000원
        7.
        2010.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the scientific data of male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standing broad jump movements and to seek out effective instructive methods for this exercise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the variation aspects of the k
        5,400원
        8.
        202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목적: 본 연구는 신체의 중량 변화가 제자리높이뛰기 과제에 대한 어포던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20대 성인 남/여 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통제집단, 체중 10% 중량착용 집단, 체중 20% 중량착용 집단, 체중 30% 중량착용 집단에 20명씩 무작위 배정되었다. 실험과제는 제자리높이뛰기 과제에서 지각된 최대 점프높이(PRH)와 실제 최대 점프높이(ARH)를 측정하는 것이며 사전검사와 본 검사로 진행 되었다. 중량 변화는 PRH와 ARH의 측정 단계에 따라 중량 착용, 중량 제거, 중량 경험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중량 착용과 제거 시 중량변화에 따른 지각측정의 변화는 중량의 크기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중량 크기에 상관없이 중량 경험은 최대 점프높이 지각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어포던스 지각의 정확성은 중량조건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중량 착용에 따른 최대 점프높이 지각과 중량 착용 시 행동능력의 차이는 점차 증가하였다. 결론: 신체의 착용된 중량의 변화는 제자리높이뛰기에 대한 행동능력을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어포던스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