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investigates differences in Chinese receptive vocabulary size and perceived lexical difficulty among three group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Chinese majors, liberal arts students studying Chinese, and students with no formal exposure to Chinese. A total of 156 participants completed a 47-item Vocabulary Level Test (VLT) based on HSK levels 1–5.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Item Response Theory (IRT).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Chinese majors demonstrated the highest lexical competence, followed by liberal arts students and then non-learners. Notably, non-learners achieved a mean accuracy rate of 38.30%, likely due to the influence of Sino-Korean cognates. IRT analysis further indicated that Chinese majors perceived the items as relatively “easy,” liberal arts students as “difficult,” and non-learners as “very difficult.”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critical role of linguistic and cultural familiarity—particularly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in facilitating vocabulary comprehension. The study advocates for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strategies tailored to learners’ backgrounds and calls for future research involving students from non-Sinographic language backgrounds to enhance the generalizability of the findings.
본 연구는 새로 도입되는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중국어 기본어휘 865개 항목이 고 등학교 ‘중국어’ 과목 교과서에서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기본어휘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과서별 기본어휘 비율, 범위 초과 어휘, 공통 어휘와 미수록 어휘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을 진행 하였다. 각 교과서 어휘 색인의 목록 어휘 비율은 58.8%에서 77.4%까지 다양하였으 나, ‘일러두기’에 따라 기본어휘로 인정되는 낱말들까지 포함하면 모두 80% 이상이었 다. 4종 이상의 교과서에 공통으로 쓰인 범위 초과 어휘는 49개였는데, 대부분은 기 본어휘로 간주되는 경우였다. 7종 교과서에 공통으로 쓰인 낱말은 108개였는데, 이 가운데 1, 2급 어휘가 91.7%로 비중이 매우 높았다. 한편 미수록 어휘는 332개였으 며, 그중 1급 어휘는 55개로 많지 않았다. 기본어휘 활용의 효율성 제고와 학생들의 학습 부담 경감을 위해 목록 어휘 활용에 관한 공통 지침의 강화가 요구된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중국어의 수용적 어휘량과 생 산적 어휘량의 차이, 수용적 어휘와 생산적 어휘의 난이도 차이를 분석하는 데 있다. 분석 결과 생산적 어휘 정답률 27.66%이고 생산적 어휘량은 691.5개로 분석되었다. 수용적 어휘 정답률은 74.57%이고 어휘량은 1864개였다. 수용적 어휘량과 생산적 어 휘량은 거의 세 배 차이가 났다. 같은 어휘여도 생산적 어휘 지식이 더 어렵다는 것 을 알 수 있었다. 다음은 문항반응이론에 입각한 난이도 분석 결과다. 첫째, 수용적 어휘와 생산적 어휘는 HSK 급수가 높아질수록 난이도가 높아졌다. 둘째, 수용적 어휘에 비해 생산적 어휘의 난이도는 상당히 높았다. 셋째, 수용적 어휘와 생산적 어휘 목록이 비대칭을 보였다. 예를 들어 HSK 2급 어휘 ‘雪, 教室, 左边’은 수용적 지식 난이도 목록에서는 ‘매우 쉽다’, ‘쉽다’에 속했지만 생산적 어휘 목록에서는 ‘어렵다’에 속했다.
본 연구는 관광 관련 서비스 분야에 필요한 특수 목적 중국어(CSP) 교육과정 개 발을 위한 첫 단계로 AI 데이터 기반으로 구축된 구어체 병렬 코퍼스에서 CSP 어휘 리스트를 선정하여 용어색인과 어휘다발(n-gram)등을 분석하였다. 어휘리스트 어휘 규모는 토큰 수 총 304, 228개와 타입 수 17, 286개로 나타났으며, 어휘 누적 증가율 을 분석하면 2-Gram과 3-Gram의 어휘다발이 가장 많았고, 실무 현장에서 가장 많 이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특수 목적 관광 중국어 어휘 리스트는 실제 교육 자료로 제공하여 관광 중국어 학습자와 교수자에게 실용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ceptive vocabulary size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in Chinese. The study was conducted at the end of the 2022 fall semester and focused on the receptive aspect of vocabulary knowledge, specifically on ‘reading.’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1st year, 2nd year, and 3rd-4th year students, and a vocabulary assessment was carried out. The assessment vocabulary consisted of 80 items extracted from the HSK (2015) test. As a result, the accuracy rates were 60.07% for the 1st year, 76.98% for the 2nd year, and 80.77% for the 3rd-4th year. After conducting one-way ANOVA and post hoc tes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ores between the 1st year group and both the 2nd year and 3rd-4th year group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2nd year and 3rd-4th year groups. When comparing the accuracy rates to the cumulative vocabulary of 5,000 words in the HSK level 6, it showed that the 1st year group knew approximately 3,103.50 words, the 2nd year group knew 3,849.00 words, and the 3rd-4th year group knew 4,038.5 words.
본 논문의 목적은 시중 A1 등급 교재 4종에 사용된 어휘의 등급별 분포와 어휘 반복 횟수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시중 A1 등급 교재 4종을 선택하여 ‘새단어’를 중심으로 어휘 등급 분포와 어휘 반복 횟수를 살펴보았다. 교재 4종 모두 1등급 이외의 어휘가 54%-68%로 너무 많았다. 등급 외 어휘들도 대단히 많았다. 교재 4종 모두 26-35%가 등급 외 어휘였다. 교재 4종의 1등급 반복 횟수 4회 이상의 어휘가 47-74%로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인다. 하지만 2등급은 반복 횟수 4회 이상의 어휘가 13-25%, 3등급의 경우 5-33%, 4-6등급은 0%, 등급 외 어휘들은 6-8%를 나타냈다. 전반적으로 어휘 반복 횟수가 상당히 낮음을 알 수 있다. 어휘 빈도수와 어휘 반복 횟수를 높이기 위해서는 나선형 혹은 순환형 주제 배열 교재와 기능 분리형 교재가 더욱 많아져야 한다.
본 연구는 대학 중국어 교육에 필요한 어휘 선정의 기준이 되는 『詞彙等級大綱』와 『신HS K 어휘』를 비교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 중국어 기본 어휘 선정에 적용할 수 있는 기준과 이를 위한 설계 방안을 마련하고, 이와 관련하여 어휘 교육에 활용 가능한 교육방법들을 모 색해 보았다. 또한 여기서 제안한 방안을 토대로 대학 중국어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중국 어 어휘 교육과 관련된 활동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漢字語는 한국으로 도입되는 과정에서 원래의 형태와 의미가 통째로 차용되는 한편, 한국 어 어휘 체계의 내부적 특성과 제약 및 고유의 언어 관습에 따라 적절히 수정되어, 형태·기 능·의미 등 여러 면에서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한국어 漢字語와 중국어 어휘의 관계는 여 전히 일정한 대응관계를 이루고 있다. 본 논문은 한국어 漢字語와 현재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어휘의 유래와 특징 및 對應과 非對應관계를 비교했다. 또한 이를 통해 중국어 어휘와 동일하거나 유사 혹은 반대되는 의미로 사용되는 한자어의 특성 및 용법의 공통점과 차이점 을 찾고자 했다.
This paper deals with false friends-the source of their sound image (signifiant) is the same, but the concept image (signifie) is differentfound in Korean and Chinese. It is well-known that these false friends frequently cause negative transfer. I demonstrate that the false friend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① no semantic resemblance type, ② partially overlapping type, ③ semantic inclusion type I (Korean over Chinese), and ④ semantic inclusion type II (Chinese over Korean). The result of the contrastive analysis of each type shows a striking difference. In the actual communications, false friends between these two languages may lead to misunderstanding. In order to prevent negative transfer due to false friends, students are advised to carefully check the differences in meaning and fun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