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2.
        2017.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yslipidemia, defined as elevated triglyceride (TG), total- and LDL-C, and/or decreased HDL-C levels, is considered a principal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The low-density lipoprotein receptor (LDLR) family has been considered a key player in the prevention of dyslipidemia. The LDLR family consists of cytoplasmic membrane protein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not only in ligand–receptor binding and uptake, but also in various cell signaling pathways. Emerging reports state that various functional ingredients dynamically modulate the function of the LDLR family. For instance, oats stimulated the LDLR function in vivo, resulting in decreased body weight and improved serum lipid profiles. The stimulation of LRP6 by functional ingredients in vitro activated the Wnt/β-catenin pathway, subsequently suppressing the intracellular TG via inhibition of SREBP1, PPARγ, and C/EBPα. Furthermore, the extract of Cistanchetubulosa enhanced the expression of the mRNA of VLDLR, followed by a reduction in the serum cholesterol level. In addition, fermented soy milk diminished TG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while increasing HDL-C levels via activation of LRP1. To summarize, modulating the function of the LDLR family by diverse functional ingredients may be a potent therapeutic remedy for the treatment of dyslipidemia and cardiovascular diseases.
        4,200원
        3.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뇌졸중 환자의 형태 항상성의 특성을 조사하고 형태 항상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을 밝히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 뇌졸중 환자 25명과 비슷한 연령의 정상인 27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 재료는 80개의 모양을 방향만 달리 회전하여 오른쪽과 왼쪽에 하나씩 제시하도록 3차원 그래픽을 사용하여 제작하였고 심리학 실험 프로그램 수퍼랩에서 재현되도록 하였다. 참가자는 프로그램이 제시하는 대로 반응하도록 하였다. 80개의 모양은 20개씩 4가지 조건으로 구성되었다(깊이 단서 없음, 음영 깊이단서, 선형조망 깊이 단서, 음영과 선형조망 깊이단서). 결과 : 뇌졸중 환자들이 정상인보다 형태 항상성 판단 실험에서 정확도가 떨어지고 반응속도가 느렸고 깊이 단서가 제시된 경우가 그렇지 않은 통제조건보다 정확도가 높고 반응 속도도 빨랐다(p < .01). 결론 : 뇌졸중 환자는 시지각 능력 중 형태 항상성에 어려움이 있으며 형태 항상성을 돕는 요인인 깊이 지각은 이러한 어려움이 있는 환자들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4,000원
        4.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itric oxide (NO) has been known to inf1uence cell fate through apoptotic or necrotic cell death. Here, we investigated the role of nitric oxide on the growth and viability of immortalized human salivary gland (HSG) cells 띠 vitro. Treatrnent of HSG with a NO donor, S-nitroso-N-acetyl-DL-penκi1lamine (SNAP), significantly diminished the growth rate of HSG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However, this retardation of cell비ar growth rate was not corresponded to the apoptotic cell death of HSG cells, because there were no characteristic apopto디c features such as condensation of nuclear chromatin, nuclear fragmentation, and the apoptotic peak of propidium iodide (PI)-stained nuclei by flow cytome띠. 까ùs implies that HSG cells are resistant to NO-mediated 다π。to:잉city. 1n SNAP treated HSG cells, cell cycle analysi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G2/M phase increased markedly, according to while the percentage of cells in GO/Gl and S phases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Otherwise, high concentrations of SNAP increased both P1 and annexin V positive cells. 1nterestingly, preincubation of HSG cells with iron chelator, deferoxamine (DFO), significantly diminished NO cytotoxicity more than when HSG cells are only incubated with SNAP which su잃.ests the role of iron homeostasis in NO-mediated cell death of HSG cells. 1n addi디。n , treatrnent of HSG cells with SNAP specifically cleaved iron regulatory protein-2 (IRP2) while not affecting 1RP1. Collectively, the mπent results s멍gest that NO has a potential to control HSG cell growth through cell cycle arresting at G2/M phase. 1n addi디on , intracellular iron homeostasis nù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cell survival of HSG cells
        4,200원
        6.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피부장벽을 포함한 표피층은 인체의 조직 가운데에서도 가장 역동적인 기관이다. 다시 말해서 끊임없이 새로운 표피세포의 형성, 분화 및 탈각과정이 반복되면서 표피항상성(epidermal homeostasis)을 유지한다. 표피항상성은 피부기능 가운데 가장 주요한 기능인 permeability barrier homeostasis의 확립으로 연결된다. Permeability barrier homeostasis는 각질층에서 이루어지며 이를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매우 정교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표피항상성을 조절하는 핵심 조절인자로서 nuclear hormone receptor (NHR)가 중심에 있음이 최근 다양한 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다. 이들은 각질세포 특이적인 단백질, 즉, involucrin, loricrin 및 trans-glutaminase 1 (TG 1) 등의 발현을 유전자 수준에서 조절할 뿐 아니라 표피 지질성분의 생합성을 증가시키는 등 피부장벽을 구성하는 brick 및 mortar의 생성과 유지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NHR 가운데 peroxisome proliferator activator receptor (PPAR)와 liver X receptor (LXR)의 activator/ligands가 리놀레인산 등 지방산, leukotriene, prostanoid 및 oxygenated sterol 등이 지질대사과정에서 형성된 지질 종류인 까닭에 liposensor로도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liposensor들을 비롯한 PPAR과 LXR activator/ligands들은 피부장벽기능이 저해된 아토피성 피부를 포함하여 건조피부를 관리하는 epidermotherapy의 수단으로서 잠재적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