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study explores strategies for companies to gain competitive advantage amid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transformation. By applying the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model to a global multinational corporation, Company A, we analyzed performance issues and solutions. Key findings identified deficiencies in the compensation system and career development tools, with strategies proposed to address these issues. Success factors include executive support, clear goal setting, and alignment of strategy and execution. This research offers practical insights into building performance-oriented organizations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field of performance consulting.
본 연구는 영유아의 미디어 활용 시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살피기 위해 미디어와 인적 상호작용을 다룬 국내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3년부터 2024년까지 우리나라 학술지 60곳에 게재된 학술논 문 127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의 미디어와 인적 상호작용을 다룬 연구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급증 하였다. 둘째, 어머니 대상 연구가 많았고, 양적 연구가 다수로 질문지법 을 활용한 상관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셋째, 독립변인으로 ‘유아 미디 어 노출’, 종속변인으로 ‘아동 미디어 중독’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넷 째, 미디어와 영유아 발달, 유아 미디어 중독이 연구 주제로 빈번하게 다 루어졌다. 다섯째, 연구들의 주요 결과를 보면, 영유아에게는 성인과 함 께 대화와 상호작용의 맥락에서 미디어 함께하기가 중요하였고, 성인의 미디어 중재가 요구되었으며, 부모 자신의 미디어 사용 점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영유아의 미디어 활용 시 양육자와의 반응적인 인적 상호작용에 기반하는 연구 방향을 제안하 고자 한다.
This phenomenological and sociolinguistic study investigates current human perceptions of dialogue with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AI), focusing on intellectual, emotional, and moral dimensions. Participants were femal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researchers in their thirties with extensive AI experience. Data were obta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based on real-time interaction with ChatGPT and analyzed using Moustakas’ (1994) framework. Results indicate that AI was construed as a strategic collaborator restructuring information into research insights and as a creative mediator integrating diverse resources to generate solutions in academic, professional, and interpersonal contexts. Trust in AI, however, remained conditional, reflecting recognition of its limited autonomy and restricted reliability in expert domains. Emotionally and morally, AI was consistently framed as a non-agentive, emotionally neutral entity. Its affective expressions were interpreted as imitations rather than authentic emotions, and interactions were evaluated through human-centered criteria of utility, risk, and safety. This study provides phenomenological insights into human–AI interaction, showing that humans primarily view AI as an instrumental tool bounded by efficiency and safety. Ultimately, it raises a fundamental question: what constitutes genuine interaction between humans and AI, establishing a basis for future ethical discourse and development.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국내 과학기술인력개발 연구의 시기별 연구동향, 주 요 키워드, 연구주제와 학문영역을 파악하며 향후 실무적 및 정책적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내 학술논문 및 학위논문 총 182편의 초록을 대상으로 구글 코랩을 이용하여 키워드 빈도분석, 토픽모델링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1994년부터 과학기술 인재개발 분야 연구가 시작되어 2010년대 중반 이후 급격히 증가하다 2020년대 초반에 감소하는 추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과학기술인력개 발 연구의 주요 키워드는 ‘교육’, ‘혁신’, ‘직무’, ‘경력’, ‘몰입’ 등이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셋째, 토픽모델링 결과, 연구주제는 ① 대학에서의 학업 경험, ② 기업의 조직 특성과 개인 경력·역량 개발, ③ 대학의 글쓰기·교양 기반 기초 역량교육, ④ 과학기술인력의 직무 몰입과 경력 이동, ⑤ 리더십·신뢰 기반의 조직혁신 역량으로 다섯 가지로 구분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과학기술인력개발은 개인, 조직, 사회적 차원에서 상호 적으로 연결되어 발전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인력 대상 HRD 전 분야(ID, CD, OD)를 대상으로 한 종합적인 연구동향 분석이라 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정책·실무적으로 대학의 기초역량 교육 강화, 재직자의 직무전환 및 경력개발 프 로그램 확대, 조직의 직무몰입 및 조직문화 개선, 리더십 기반의 혁신역량 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하며, 학 문적으로는 텍스트마이닝 기법이 과학기술인력개발 분야 전반의 연구동향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로버트 해리스의 콘클라베에서 가톨릭교회를 섬기는 불완 전한 인간의 고통 그리고 구원 문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콘클라베는 교황이 서거하면서 추기경 단장인 야코포 로멜리를 중심으로 새로운 교황을 선출하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다룬다. 쟁쟁한 후보를 물리치고 예상과 달리, 전혀 의도하 지 않고 또 마지막으로 참석한 의중 결정의 바그다드의 추기경 빈센트 베니테 즈가 새로운 교황으로 선출된다. 로멜리는 베니테즈가 인터섹스라는 사실을 발 견하고 충격에 사로잡히지만, 자신을 하느님의 작품이라고 믿는 베니테즈의 믿 음과 신앙에 굴복한다. 이러한 선거 과정을 고찰하면서 로멜리가 성직자로서 동 시에 불완전한 인간으로서 내적 고민과 갈등을 겪고 진정한 종교인으로 거듭나 는 모습을 살펴보려 한다.
An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is installed inside the hull of the K2 main battle tank to protect equipment and crew members in the event of a fire and to enable continuous combat operations. This system detects heat sources and visible light to identify fires and discharges an extinguishing agent within milliseconds. However, there have been concerns that direct contact between the extinguishing agent(HALON 1301) and the driver-particularly on the arms or sides-could result in cold burn-like injuries. To mitigate this risk, the nozzle design of the fire extinguisher was modified to minimize crew exposure. Through modeling simulations and live fire suppression tests, it was verified that the redesigned nozzle still provides effective fire suppress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improving crew safety and enhancing the operational reliability of military equipment while reducing the risk of personnel injury and resource loss due to safety incidents.
인삼양영탕은 한국·중국·일본의 전통의약권에서 허약 개 선에 복용되는 14종 한약재로 구성된 의약품이다. 먼저 고 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적용하여 인삼양영탕 주요 물질을 규명하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처 단회투여독성 시험기준에 따라 Sprague-Dawley 랫드 암수 각 5마리에게 0, 1,000, 2,000, 5,000 mg/kg 용량으로 단회 경구 투여하 였다. 시험 결과 사망한 랫드는 없었으며 일반 증상 및 부 검소견에서도 어떠한 이상 반응도 관찰되지 않아, 랫드에 서 인삼양영탕 반수 치사량(LD50)은 5,000 mg/kg 이상으로 판단되었다. 문헌조사를 통해 조사된 인삼양영탕 일반독 성시험 5건(일본 2건, 중국 2건, 한국 1건)에 따르면 개략 치사량(ALD)은 160,000 mg/kg 초과, LD50는 10,000 mg/kg 초과, 최대내성용량(MTD)은 160,000 mg/kg 초과한다고 보 고하였다. 랫드 무독성량 5,000 mg/kg을 기준으로 인체 등 가 용량 변환하면 인삼양영탕 최대안전권장복용량(MRSD) 은 4.1 g 또는 4.8 g이며, 한의서 기준 인삼양영탕 성인 1 일 복용량 28.3 g을 랫드 독성시험 투여 용량으로 변환하 면 34,750 mg/kg 또는 29,100 mg/kg이다. 인삼양영탕 안전 성 평가를 위하여 동물과 인체 종간 등가 용량을 계산하 여 보니, 동물 독성시험 투여 용량과 실제 환자 복용 용 량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음을 시사한다. 학계에서 는 전통적으로 확립된 한약처방 복용량에 대한 동물 독성 시험 평가시에 ICH 및 OECD 기준이외에 다각적인 투여 용량 검토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는 지난 25년간 국내 경영학(국제경영, 인사조직) 분야의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국제인적자원관리 연구 를 분야와 종류, 연구 설계, 자료 수집 방법 등으로 분류하여 그동안의 연구 동향을 정리하고, 앞으로의 연구과제 를 제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4년 사이에 국내 국제경영 분야의 대표 학술지(국제경 영연구, 국제경영리뷰), 인사조직 분야의 대표 학술지(인사조직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그리고 경영학 분야 의 대표 학술지(경영학연구, 대한경영학회지)에 게재된 114편의 논문을 분석하여 그동안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 았다. 분석 결과, 국제인적자원관리 연구는 2014년 이전보다 2015년 이후에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인사관리 분야와 노사관계 분야와 비교해 조직행동 분야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념연구와 비교해 실증연구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대다수의 실증연구는 1차 자료와 횡단자료를 활용하여 개인 수준에서 다수 업종 다수기업을 대상으로 가설 검정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국제인적자원 관리 연구의 향후 연구과제를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