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수목자원의 항암, 항당뇨 등의 생리활성 기능이 알려지면서, 이들 수목자원을 이용한 기능성 배지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전 연구에서 이들 수목자원을 유기성 배지자원으로 이용하여 수목자원의 기능성 성분이 담자균류인 느타리버섯의 함유성분이 분해 또는 다른 유도체화합물로 이행되는지를 검토한 결과, 느타리버섯은 수목자원 톱밥배지속의 함유성분을 분해 또는 다른 유도체화합물로 이행시키지 않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는 기본 532배지에 유기성배지 자원인 구지뽕나무 톱밥 20, 30, 50% 첨가 배지 자원, 감태나무 20, 30, 40% 첨가 배지 자원, 산겨릅나무 20, 40% 첨가 배지 자원, 가래나무 20, 40% 첨가 배지자원 에서 생육된 느타리버섯의 Escherichia coli 와 Staphylococcus aures에 대한 항균효과,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진균효과, 항산화효과,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 등의 생리활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공시재료는 구지뽕나무, 감태나무, 산겨릅나무, 가래나무를 사용하였고, 532배지에 각각의 톱밥을 20, 30, 40, 50% 첨가하여 느타리버섯(춘추2호)을 접종 하여 2개월 동안 생육시킨 후 생리활성 평가의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E. coli에 대한 항균 효과를 검토한 결과 모든 배지에서 생육된 느타리버섯에서 유의성 있는 결과는 나타나지 않 았다. S. aureus에 대한 항균효과를 검토한 결과 모든 배지에서 생육된 느타리버섯에서 유의 성 있는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구지뽕, 감태나무 첨가한 배지에서 생육된 느타리버 섯은 control배지와 비교하였을 때 약간의 효과를 보였다. C. albicans에 대한 항진균효과를 검토한 결과 모든 배지에서 생육된 느타리버섯에서 유의성 있는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 러나 구지뽕, 감태나무 첨가한 배지에서 생육된 느타리버섯은 저농도에서 control배지와 비교 하였을 때 약간의 효과를 보였으며, 구지뽕나무 50%를 첨가한 배지에서 생육된 느타리버섯은 약간의 효과를 나타냈다. 물질자체의 항산화효과를 검토한 결과, Quercetin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성 있는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control 배지에서 생육한 느타리버섯과 다른 배 지들을 비교 검토하였을 때, 모든 배지에서 생육된 느타리버섯은 control 배지에서 생육된 느 타리버섯보다 약간의 항산화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세포 보호효과를 검토한 결과, 모든 배지에서 유의성 있는 결과를 나타나지 않아, 모든 배지에서 생육된 느타리버섯은 항산화효과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ontrol 배지에서 생육한 느타리 버섯보다 감태나무 40% 첨가한 배지에서 생육한 버섯이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를 보였다. 그 러나 표준시약과 비교하였을 때 모든 배지에서 생육한 느타리버섯은 콜레스테롤 억제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2.
        2013.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수목자원의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이 알려지면서 이들 수목자원을 이용한 기능성 배 지 자원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오고 있다. 이전 연구에서 이들 수목자원을 유기성배지 자원으로 이용하여 수목자원의 기능성 성분이 담자균류인 느타리버섯의 함유성분이 분해 또 는 다른 유도체화합물로 이행되는지를 검토한 결과, 느타리버섯은 수목자원 톱밥배지속의 함 유성분을 분해 또는 다른 유도체화합물로 이행시키지 않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는 수목자 원 톱밥배지의 조성비율에 따른 느타리버섯의 대사산물을 NMR분석, PLS-DA(Partial least sqares discriminant analysis, 부분최소자승판별분석), PCA(Principle Component Analysis, 주 성분분석)로 분석하여 각 배지별 생육된 느타리버섯을 판별가능여부를 검토하였다. 수목배지 자원으로 항암, 항당뇨등의 생리활성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가래나무, 구지뽕나무, 감태 나무, 산겨릅나무, 옻나무를 사용하였고, 532배지에 각각의 톱밥을 20, 30, 40, 50% 첨가하여 느타리버섯(춘추2호)을 접종하여 2개월동안 생육시킨후 NMR 분석용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또한, 532배지에 홍삼박 4, 8, 12, 40%를 첨가한것과, 홍삼농축액 30, 60g을 첨가하여 느타리 버섯균을 접종하여 2개월 후 NMR 분석용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NMR을 이용하여 공시재 료의 Chemical shift를 비교 분석한 후, PLS-DA, PCA분석을 한 결과, 기본배지인 532배지에 서 생육된 느타리버섯과 수목자원배지에서 생육된 느타리버섯과 확연히 분리가 되었다. 또한, 첨가율에 따른 느타리버섯의 대사산물 비교분석 결과, 수목자원 톱밥배지의 첨가율에 따라 생 육된 느타리버섯은 대체적으로 구분을 할 수가 있었으나, 분리가 되지 않는 것은 가래나무 20, 30% 첨가하여 생육된 느타리버섯, 구지뽕나무 20, 50% 첨가하여 생육된 느타리버섯, 산겨 릅나무 20% 첨가하여 생육된 느타리버섯 등으로 나타났다. 홍삼박과 홍삼농축액을 첨가하여 생육된 느타리버섯은 홍삼박 4, 40%와 홍삼농축액 30g 첨가하여 생육된 느타리버섯은 기본배 지에서 생육된 느타리버섯과 모두 분리가 되었으나, 홍삼박 8, 12%와 홍삼농축액 60g을 첨가 하여 생육한 느타리버섯은 기본배지와 분리되지 않았다.
        3.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rotective effect of Saururus chinensis ethanol extract (SCE) against styrene toxicity in mouse spermatocyte cells [GC-2spd (ts) cell line]. Methods and Results: Cytotoxicity in mouse spermatocyte cells was measured using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as determined using 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DCF-DA) assay.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western blotting were performed to quantify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levels, resepectiviely, of stress or apoptosis-related genes including p21, p53, heat shock protein 70 (Hsp70), heat shock protein 90 (Hsp90), Bax, Bcl-2, and caspase-3. The results of the MTT assay showed that 50 ㎍/㎖ SCE did not affect cell viability. ROS generation in mouse spermatocyte cells increased by treatment with 100 μM styrene, and decreased by co-treatment with SCE. SCE repressed the mRNA expression of stress-related genes, which increased by styrene treatment. In addition, SCE inhibited the apoptosis of mouse spermatocyte cells by ameliorating mRNA and protein levels of apoptotic genes that were altered by styrene treatment.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CE may alleviate styrene toxicity in mouse spermatocyte cells by reducing ROS stress and regulating genes related to styrene toxicity.
        4.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reventive effect of three forms of Korean ginseng roots (fresh, white and red) against bisphenol A (BPA) toxicity in mouse male germ cells (GC-2spd, TM3, TM4). ROS (reactive oxygen species) generation were measured by DCF-DA (2’,7’-dichlorohydrofluorescein diacetate) assay. Also, semi-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was performed to quantify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apoptosis- related genes, Bax (pro-apoptotic gene) and Bcl2 (anti-apoptotic gene). ROS generation was increased by 50 μM BPA, but definitely decreased by treatment with Korean ginseng extracts (fresh, white and red) in mouse male germ cells. In especial, Korean fresh ginseng extract reduced significantly ROS production to normal control. In addition, Korean fresh and white ginseng extracts suppressed the apoptosis of mouse male germ cells by fine-tuning mRNA levels of apoptotic genes changed by BPA. In general, Korean fresh ginseng extract was more effective than white ginseng extract for reducing BPAinduced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in mouse male germ cells. Therefore, Korean fresh and white ginseng may help to alleviate biphenol A toxicity in mouse male germ cells.
        7.
        201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for anti-oxidation and anti-wrinkle effects of Acar mono Sap (AM). To cosmetic effect of AM, safety effect (MTT assay), anti-wrinkle effect (elastase, MMP-1 inhibition assay) and anti-oxidant effect (DPPH assay) were measured. When water extract of AM was used for cell viability, it was over 100% at 6% (6 ml/100 ml in phosphate buffer) concentration. AM showed 45.7% elastase inhibition and 23.7% MMP-1 inhibition at 50% (50 ml/100 ml in phosphate buffer) concentration so that it had good anti-wrinkle characteristic. And AM showed 68.9% antioxidation capacity at 50% concentration by using a DPPH assay. Consequently, AM can be used as natural materials or additives for human skin owing to their beneficial biologic functions, including the anti-wrinkle effect, for cosmetic compositions.
        10.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ucommia ulmoides OLIVER (EU) is a traditional Korean herbal used for the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RA). In the present study, the molecular pharmacology basis of its anti-inflammatory effect is revealed in this work, EU was studied in lipopolysaccharide (LPS)-activated macrophage cells (RAW 264.7) as an established inflammation model. After activation, nitric oxide (NO) production and iNOS mRNA were measured by using a colorimetric assay (Griess reagent), and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respectively. The change in the content of PGE2, TNFα, and IL-6 was concurrently monitored by ELISA. In results, we found that in the concentration range without showing cytotoxicity, EU produced a remarkable anti-inflammatory effect and showed a dose-dependent inhibition of LPSinduced NO production. Compared with indomethacin, EU has more potency and a specific action of NO inhibition, PGE2, IL-6, and TNF-α inhib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U may be a suitable herbal medicine to yield the greatest anti-inflammatory activity for food additives and medic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