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우리나라 과실류(果實類)의 역사적(歷史的) 고찰(考察) A Historical Study on Fruits in Korea

강춘기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2904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5권 제3호 (1990.09)
pp.301-311
한국식생활문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초록

한국(韓國)에서 농경(農耕)의 시작은 신석기시대(新石器時代) 말기(末期)에서 부분적으로 시작되어 보편화된 것은 B.C 4000년경으로 보고 있다. B.C 8000~B.C 6000년 전쯤의 어느 신석기(新石器) 유적(遺蹟) 중에서 농경(農耕)에 쓰였던 석기(石器)들과 함께 도토리가 발견된 것으로 보아 유사이전(有史以前)의 한국인(韓國人)들의 조상(祖上)들은 도토리와 개암 아가위 등 야생식물(野生植物)의 열매를 따서 이용했을 것이다. 부족국가시대(部族國家時代)의 마한(馬韓)에서는 밤을 재배하였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복숭아, 오얏, 배, 매화(梅花)를 재배하였음을 알 수 있다. 중국(中國)의 기록(記錄)을 보면 신라(新羅)에서는 잣, 호도, 석류, 백제(百濟)에서는 밤이 유명하다. 발해왕조(渤海王朝)에서도 오얏과 배, 잣이 유명하였다. 고려시대(高麗時代)에 복숭아, 오얏, 매화, 앵두, 잣, 살구, 포도, 대추, 배, 귤, 유자, 은행 등을 재배 이용하였다. 조선초기(朝鮮初期)의 지리서(地理書)인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1454)와 「新增東國與地勝覽」(1492)에는 개암, 아가위, 복분자(覆盆子), 비자, 잣, 은행, 대추, 밤, 감, 석류, 살구, 복숭아, 호도, 모과, 귤, 유자, 앵두, 포도, 능금 등 우리가 현재 재배하고 있는 과실나무가 거의 재배되고 있다. 조선시대(朝鮮時代)에 들어온 과실(果實)로써 위의 지리서(地理書)에 없는 과실(果實)로는 비파(枇杷)와 무화과(無花果)이다. 비파는 조선초기에 들어온 듯하여 무화과(無花果)는 16세기 전후에 들어온듯 한데 이들 두 종류의 과실나무들은 내한성(耐寒性)이 약한 종류(種類)이기 때문에 지금도 제주(濟州)와 전남(全南), 경북(慶北) 등지에만 재배되고 있다. 조선시대(朝鮮時代)에 들어 와서는 많은 농서(農書)들이 출간(出刊)되었는데 거기에는 과수재배법(果樹栽培法)과 이용법(利用法)도 다양하게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1900년 전후해서 西洋에서 피칸 양앵두 뿐만 아니라 최근 키위 등이 수입되어 상당히 이용되고 있다. 또 이외에도 과실(果實)의 약리적(藥理的)인 면을 이용하여 모든 과실을 한약(漢藥)으로써 의료면(醫療面)에도 널리 이용(利用)되었다. 과실(果實)은 우리들의 식생활(食生活)을 풍성하게 하기 때문에 과실의 소비량은 생활수준(生活水準)의 척도(尺度)가 된다. 이렇게 오랜 역사를 통하여 과수(果樹)들을 개량(改良)하고 도입(導入)하면서 재배(栽培) 이용(利用)하여 온 과실류(果實類)의 지위는 우리의 食生活史에 확고하게 유지(維持)되어질 것이다.

The agriculture of Korea was begun in the neolithic era partly and generalized around 4,000 B.C. Discovery of acorn and stoneworks used in agriculture in neolithic era in 8,000 B.C to 6,000 B.C suggests that prehistoric ancestors of Korean night use acorn, hazel-nuts, and haws, etc. as foods. Cultivation of chestnuts, peaches, plums, pears, and japanese apricots was found in Mahan, the tribal states, and in the period of three kingdoms and Balhae dynasty too. In the period of Koryo, pears, plums, japanese apricots, pine nuts, apricots, grapes, jujubes, gingko nuts, oranges, and citrons were cultivated and used in diet. Sejongsilrokjiriji(1454), a geography of the early chosun, and Sinjungtonggukyojisungnam(1492) show that they cultivated almost all fruits we are now cultivating such as hazel-nuts, haws, nutmeg nut, and so on. Loquats seem to be brought in the early chosun era and figs around 16th century. Pecans, sweet cherries were brought around 1,900 and recently tropical fruits like kiwis were brought in and used in a large scale. In addition, Some fruits were used in medical treatments. Fruits increase the pleasure of the diet and sometimes they are used as a measure of a standard of living. Fruits have been improved and used for a long time, their status in our diet will be maintained resolutly.

키워드
저자
  • 강춘기 | Kang, Choon-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