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CHOLAR

김치표면 마감 방법이 저장중인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rface Finishing Methods on Quality of Kimchi in Stand Vessel During Storage

김중만, 황신묵, 최용배, 김형태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252987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7권 제4호 (1992.12)
pp.297-301
한국식생활문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초록

김치는 용기에 담아 보관하면서 위에서부터 꺼내 먹고 있어서 실제 김치 맛은 표층김치 맛과 직결된다. 따라서 표층부 김치의 변질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표면마감을 4가지 방법 즉 김치표층에 재래식 누름돌을 놓아 저장한 경우(A), 김치를 PE백에 넣어 봉한 후 표본병에 담아서 저장한 경우(B), 누름돌을 PE-film으로 싼 누름돌을 사용한 경우(C)와 그리고 김치를 표본병에 담고 그 위에 우거지(약 4cm)로 표면을 덮어 마감(D)한 후 각각을 10±5℃에서 60일 동안 저장하면서 표층김치(2~5cm)의 pH값, 금속이온함량, 산막효모의 발생유무, 김치국물의 적색도, 신선미와 씹힘성에 대한 관능검사 및 경도를 조사 비교하였다. 김치국물의 pH값은 저장 직전에 약 6.0이었는데 A, C, D는 저장기간 중 낮아졌다가 높아진 반면 B는 좋은 김치의 최적 pH인 4.0~4.2가 유지되었다. 재래식 누름돌 사용(A)은 Fe함량을 크게 증가(6배 이상)시켰으며, Mn과 Cu가 검출되었다. 김치표면에서의 산막효모는 B를 제외하고 A, C, D 모두에서 번식되었고, 적색도도 B의 경우만 전 저장기간 동안 선명한 적색이 유지되었으며 A 경우는 진한 흑색을, C와 D의 경우는 낮은 적색도를 나타냈다. 기계적 경도 역시 B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모두가 심히 감소하였고 신선미와 씹힘성에 대한 관능평가에서도 B의 경우와 A와 C 및 D의 표면마감 방법보다 훨씬 우수(p〈0.01)하게 평가되었다.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surface finishing methods (A : conventional press stone, B : enclosing in polyethylene (PE) bag, C : press-tone wrapped with PE film and D : covered with Chinese cabbage leaves 4cm in thickness on Kimchi) on Kimchi quality, pH-values, redness, film forming yeast growth, hardness and sensory quality of Kimchi during storage (for 60 days, at 10±5℃) in glass vessel (11×30cm) were investigated. pH of the top layer of A, C and D sample were higher than the optimum pH (4.2) of Kimchi, film forming yeast occurred on the surface of Kimchi, color of top layer Kimchi juice was darkened, and panel score of freshness and firmness was significantly worse (p〈0.01) than that of sample B. However, in the case of Kimchi stored in PE bag (B), film forming yeast were can't detected visually in the surface of Kimchi, pH values were low as good quality Kimchi, freshness and firmness panel scores and hardness were significantly better (p〈0.01) than A, C and D, and redness of juice of top layer of B was also preserved clearly for 60 days. Accordingly among the four surface finishing methods, the B-method was most effective in preserving of y of Kimchi.

키워드
저자
  • 김중만 | Kim, Joong-Man
  • 황신묵 | Hwang, Shin-Mook
  • 최용배 | Choi, Yong-Bae
  • 김형태 | Kim, Hyong-Ta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