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식사패턴 (1) 일상식 승가의 식사첫수는 일일삼식(一日三食)의 규칙적인 식사로 대용식은 거의 없었고, 소수의 사찰에서는 흰죽, 과일, 미싯가루, 조과, 찜, 우유등을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병인식으로 칠일약(七日藥)이 아닌 주로 흰죽 종류가 이용되었다. 사찰에 늘 상비하고 있는 양념류는 간장, 된장, 깨소금, 참기름, 식용유등을 필수로 하였고, 제피가루, 고추가루, 산초, 인공조미료 등을 일부 상비하고 있었다. (2) 접대식 스님과 일반손님의 접대식으로는 반상(飯床)차림이 가장 일반적이었고, 그외에 다과, 떡, 국수등으로 접대하였으며, 대소 행사시 내객을 위한 음식으로는 비빔밥, 찰밥, 오곡밥, 약밥, 떡국, 콩국수등 단체급식하기 쉬운 음식이었다. (3) 행사식 사찰의 대소 행사식은 육류사용이 제한되는 외에는 대체로 일반세시식과 같았으며, 일반세속과 다른 점은 산채비빔밥과 음료로서 송차가 준비되는 것이었다. 불전공양식(佛前供養食)은 대부분이 오공양(五供養)으로 하였으며 제사음식은 밥, 탕국, 나물, 전, 떡, 과일, 과자등 일반 세속의 제사음식과 같이 하는 경우가 많았다. 2. 특별식 떡류는 찌는 떡, 치는 떡, 빚는 떡, 지지는 떡의 4종류중 사용빈도로서는 치는 떡이 가장 많았으며, 찌는 떡으로서는 팥시루떡이 가장 많이 이용되었다. 고물과 속으로 사용되는 부재료로서는 팥, 녹두, 콩이 많았으며, 쑥이 배합된 떡도 있었다. 조과류로서는 약과, 강정(산자), 다식, 정과, 양갱등으로 종류가 매우 다양하였다. 음청류로는 농후음료류, 엽차류, 냉음청류, 약이복식류와 유(乳) 및 유(乳)제품류로 분류하였고, 조과류와 함께 다양하게 사용되었으며, 솔잎차와 같은 약한 알콜성음료도 이용되어 여름철에는 약수에 간장이나 죽염을 타서 사찰에 오신 손님을 접대하기도 하였다. 3. 저장식품 승가의 저장식품으로는 장아찌류에는 산채가, 김치류에는 엽경채류가, 말림류에는 산채류가, 부각류에는 산채와 해조류가 많이 사용되었고, 묵말림과 같은 특이한 저장식품이 많이 사용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dietaty culture of the Buddhist priesthood in Seoul and Kyungnam. This survey was carried out through questionnaries and the subjects were 26 temples and hermit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 1. Most of the Buddhist priesthood takes meal three times for a day regularly. The substitution food was used mainly rice gruel, fruits, powder of roasted grain, kinds of cookie and confectionary, kinds of steamed dish and milk. 2. The seasoning substances were used necessarily soy sauce, soybean paste, salt and sesame, sesame oil, vegetable oil, and used rarely Jepi powder, red powder, chinese pepper and M.S.G. 3. Eating table was used chiefly for Buddhist priethood and a vistor, and tea and cookie, D'ock, noodle were used often. Event and party foods of temple were used Bibimbab, Ogokbab, Yagbab, D'ockguk, soybean of noodle. 4. Offering food to Buddha was used to Five-offered to Buddha(香, 燈, 茶, 果, 米) primarily and religious food was used scarcely. 5. Special food was used D'ock, hand made cookie and confectionaries, kinds of chinish medicine tea and pine needle tea. Injulmi and Julpyun were prepared most frequently, and used to mixed rice flour with mugwort now and then. Coating and filling powders for D'ock were used to red bean, mung bean and soy bean. Kinds of hand made cookie were Yagkwa, Kangjeong, Dasik, Jungkwa and Yangeng. Beverages were thick hot beverage, kinds of leaf tea, chilled beverage, Yaksu mixed with soy sauce and bamboo salt, kinds of chinese medicine tea, milk and milk products and pine needles tea. 6. Preserved foods were used edible mountain herbs and seaweeds in drying and fry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