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도 안전다수품종의 생태에 관한연구 KCI 등재

Ecological Study for Consistently High Yielding Rice Variety : Ⅰ. Yield response of rice varieties to the latitudina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162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육종의 대상이 될수있는 형질의 명목으로 수도의 안전다수성이라는 품종의 특성을 파악하여 신품종육성의 지표를 얻기 위하여 수원에서 육묘한 수원8002와 농광을 해남(N34˚ 30'). 이리(N35˚ 50') 및 수원(N37˚ 20')에서 조기 보통기에 1배비, 1.5배비 2배비로 재배하고 수원과 춘천에서 10년이상 채종재배한 Fuzisaka#5와 Rikuu #137을 수원(고도39m)과 춘천(고도 90m)에서 보통재배하여 출수일수 간장 정조수량 및 수량구성 형질들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일수가 위도에 따라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는 중만생중이 지역변이가 작고 일정한 경향이 보이지 않는 조생종보다 수량의 변이도 크고 수량성도 높았다. 그러나 수량의 변이는 생육일수의 변이와 관계없었다. 2. 일반적으로는 수량구성형질중 주당입수가 지배적으로 수량에 영향하여 다음 임실율 입중의 순이지만 (표3) 지역적으로는 비옥도와 재배법에 따라 품종의 수량형질표현이 상이하여 위도나 고도에 따른 일정한 경향을 볼수없었다. 3. 출수일수와 간장의 위도에 따른 지역적인 repeatability는 매우 낮으며 수량의 repeatability는 상당히 높은것도 있다. 4. 고도에 따른 지역적인 repeatability는 간장과 출수일수에서는 비교적 높은편이었으나 수량에서는 비교적 낮은편이며 수량성이 동등한 품종간에서도 그차는 분명하였다. 5. 안전다수성품종이란 수량구성형질로 보아 각형질의 환경변이가 비교적 작으면서 수량에 대한 직접영향이 크고 형질상호간의 상관이 낮은 것 이라고 파악 되었다. 6. 안전 다수성품종이란 수량의 repeatability로 보아 위도와 고도에 따른 지역적인 repeatability(rl)가 크고 지력이나 시비량에 따른 repeatability(rn)가 작은것이라고 파악되었다. 비해 소수의 것만이 1계급에서 2계급으로 하락하였을 뿐 출현도에 별차가 없었다. (Table 6 참조) (5) 재정격부법중 재조의 계급구분을 1계급의 것을 6회에서 4회로 특히 강화 하였는데 이것은 오직 일본 생사의 평균제조 절단수 만을 (4회 ;1969) 참작한 일본생사 위주로 작성된 것이라 생각한다. 그것은 생사생산국간의 재조검사 성적을 보아도 한국은 일본의 다음이며 그외 품질의 우수함도 널리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6) 이상의 여러가지를 비교 검토할 때 현행법에서 평균절단수 5회 정도인 우리나라 생사는 재정법을 적용하는 경우 8∼9회를 쉽게 예상할 수 있는 것이며 생사수요자들이 중요시하는 재조성적으로 인한 격 하락의 수가 증가하리라 생각한다.가장 W.R 효과가 좋았다. 그러나 NaHCO3 를 더 이상 첨가하는데 따라 W.R 효과는 견.면포 모두 저하하였다. (10) 중화제로서 NaOH와 NH4 OH를 첨가하는 경과 첨가량이 증가하는데 따라 W.R 효과도 저하하나 첨가량이 어느 한계점(견 3.3ml, 면 3.3~6ml)을 지나 더욱 증가하면 W.R 효과도 다시 양호하여지는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이와같은 경향은 특히 견과 면포에서 현저하였으며, 이 결과로 보아 견과 면포는 반응액의 (H+)을 전부 중화시키고 남은 NaOH와 NH4 OH의 잔여(H)에서도 Formaldehyde와 작용할 수 있지 않는가 추측된다. (11) 견포는 Curing온도가 비교적 낮을 때 W.R 효과가 좋았고 면포는 높을 때 좋았다. (12) 이 실험의 결과 견포의 W.R를 94%RK지 (처리전보다 22% 증가)향상시킬 수 있었다는 점으로 보아 앞으로 견포의 W&W 성을 개선할 수 있는 가능성을 충분히 보여주고 있다.hen evaluated by the medical regulations of the G

An early variety Suwon #82 and a medium variety Nongkwang were grown in early season and ordinary season under 3 levels of nitrogen (IN, 1.5N and 2N) at 3 locations, Haenam (31~circ 30'), Iri (35~circ 50') and Suwon (37~circ 20'). An early variety Fuzisaka#5 and a medium early variety Rikuu#137 were grown in ordinary season at 2 locations, Suwon (altitude39m) and choonchon(altitude 90m) which seeds of both variety are harvested at 2 locations, Suwon and Choonchon, where they were grown more than 10 years repeatedly. Observations were made for the number of days to heading, culm length, grain yield and yield components, and discussions were made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a consistently high yielding variety to be bread in the futur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ater variety which showing latitudinal response in growth duration. Their yield not closely related to their growth curation. 2. Generally the number of grains per hill (number of penicles per hill X number of grains per penicle) predominately contributes to the yield following by the grain fertility and grain weight in oder. No latitudinal nor altitudinal tendency was observed for such yield component attributes at the individual locations. 3. The number of days to heading and culm length varied according latitude and the repeatability measured in terms of the ratio of the intra - class variance to the total phenotypic variance were negligible, but for the yield, considerable latitudinal repeatability was noted depending variety. 4. The altitudinal repeatability for the culm length ani for the number of days to heading were relatively large but for the yield it was relatively small. Differential altitudinal repeatability also was observed for yield between equally productive varieties. 5. In the path coefficient analysis of yield components to yield, the one which showing positive large P-values with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omponents, are considered to be consistently high yielding variety. 6. A consistently high yielding variety is also considered to be the one which showing large latitudinal or latitudinal repeatability(rl) for yield and high responses to nitrogen application or soil fertility in grain yield.

저자
  • 허문희(서울대학교 농과대학) | 허문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