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잎에서의 도열병균의 포자형성 및 병반진전과 포장저항성과의 관계 KCI 등재

Sporulation of Pyricularia oryzae and Lesion Development on Leaves in Relation to Field Resistance of the Rice Pla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168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벼 도열병에 대한 포장저항성의 실내검정법의 일환으로 초자실에서의 벼의 유묘기(5-6엽)에 7개의 도열병저항성판별용 균계와 약간의 돌연변이균계를 조사하여 포자형성능의 균계간차 및 병균의 포자형성에 대한 벼품종의 억제효과의 차이등을 밝혔다. 1. 7개의 저항성판별균계 및 소수의 돌연변이균의 식물체상에서의 포자형성력에는 균계간차이가 명백하였다. 2. 숙주상에서의 포자형성력은 병반의 진전속도, 병원력과는 정의 상관관계가 나타나고 Oatmeal전 즙사당새천배지상에서의 포자형성량과는 부의 상관을 보였으나 병반장, 대맥곡립배지상에서의 포자형성량과는 유의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3. 이병성병반발현후 2일째의 병반에서 포자형성의 peak가 있었고 incubation의 일수는 실험에 따라 차이가 많고 식물체의 영양조건에 따라서도 변이가 컸다. 4. 병반수의 증가에 따라 포자형성량이 감소하는 밀도효과(negative density effect)는 실험에 따라서 인정되었다. 5. 병원력은 포자형성력보다 균계간차가 뚜렷하지 않았으며 이것은 병원력의 환경변이가 포자형성력의 그것보다 크다는 것을 의미하는 동시에 만일병원력과 포자형성력과의 사이에 어떤 상관이 있다면 소규모의 실험에서는 숙주에서의 포자형성량은 병원력보다 전염력 비교를 위하여 보다 유용한 대상형질이라고 보았다. 6. 포자형성에 대한 저항성의 품종간 차이는 몇 개 실험에서 인정되었으나 병반형성에 대한 저항성의 품종간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수도품종의 포장저항성과 각 품종상의 병반형성과는 포자형성보다 더 밀접한 상관을 보였다. 7. 이병성품종 상에서의 mutant균계의 포자형성량이 모균계보다 적었던 현상은 'stabilizing selection이 있었을 가능성을 암시하는 것이라고 보았다. 밀식구일수록 단위면적당 수수는 증가되었으나 수당경화수, 정조천입중 등이 감소되어 수량은 박파묘 소식구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7월 15일 이앙구에서는 후파묘 밀식구가 등열비율과 천입중의 현저한 감소로 수량이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6. 극만앙 대책으로서의 적정 묘대파종량 및 본답 10a에 대한 묘대면적은 3.3m2 당 0.4ι 및 59.4m2 로 판단되었다.저항성인 품종의 선발을 위하여는 도복지수가 대맥 1.67 소맥 1.76 정도 이하인 것은 고도의 저항성이 있었다.X>~circled4붕사는 간장을 억제시켰다. ~circled5 소량의 붕사는 등숙을 향상시켰으며 다량의 경우에는 저해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circled6 정조 및 현미수량은 소석회 및 붕사의 단독효과만이 인정되었으며 다량의 붕사는 감수를 초래하였다. 내생리듬 (Endogneousrhythm)의 변화 혹은 교란을 가져와 발육과정에서 성적결함을 일으켜 불임으로 된다고 추정하였다.)의 4개형질 혹은 분지수(X2 )ㆍ경직경(X3 ), 그리고 일주협수(X4 )의 3개형질로 할 것이 요망되고, 이들 형질의 측정치로 선발지수를 작성하여 그 지수에서 산출된 Selection score가 큰 계통부터 선발해 나가는 것이 선발지수의 이용상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라 하겠다. 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는 패션 색채 팔레트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aesthetic of ′unity in multiplicity′, aesthetic of tessellation and aesthetic of harmon

The objective of these studies was to find out a laboratory testing method for blast field resistance in rice. Rice plants at 5 to 6 leaf-stage were inoculated with the seven differential blast strains of Pyricularia oryzae which have been extensively used in Japan and some mutant strains under greenhouse conditions. The number of conidia of Pyricularia oryzae developed on susceptible lesions was compared each other and its differences were expressed as sporulatioil of the fungus. In addition, varietal difference in sporulating result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porulation of the seven blast fungus strains and the used some mutant strains. 2. A positive correlation was detected between sporulation and two factors. expansion rate of lesions and aggressiveness on the host plants. On the other hand, a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sporulating ability and number of conidia developed on the oat-meal-sucrose-agar while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length of lesion and number of the conidia developed on the barley-grain medium. 3. The maximum sporulation appeared on the second day after appearance of susceptible lesions of the plant. The proper incubation period :for development of susceptible lesions varied from one experiment to another, depending upon the nutritional conditions of the host plants. 4. In some experiments, a negative density effect of sporulation of the fungus was shown as number of lesions was getting increased. 5. A more clear inter-strain difference in sporulation was oberserved as compared with that in aggressiveness, indicating that the latter was more greatly affected by environmental conditions rather than the former. Therefore, sporulation of the fungus might be more useful for field resistance test of rice varieties to blast disaese than the aggressiveness test, provided that a consistent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factors exists. 6. Varietal difference in resistance to sporulation of blast fungus in rice was demonstrated in several experiments but no such difference in development of lesions was detected. However, it appeared that the field resistance seemed to be more closely correlated with resistance to lesion development than with that to sporulation of the fungus. 7. Less sporulation of the mutant strains in susceptible rice varieties as compared with their original strains suggeste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the stabilizing selection among fungus strains.

저자
  • 趙正翼(호남작물시험장) | 조정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