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맥류내습성에 관한 연구 제4보 . 맥류의 생육시기와 토양과습의 영향 KCI 등재

Studies on the Wet-injury Resistance of Wheat and Barley Varieties Ⅳ. Effect of Excess-Moisture in the Soil on the Growth of wheat, six row and two row barley at Various St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183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맥류의 생육시기에 따라 토양분을 과습상태로 침수하였을 때 생육과 수양에 미치는 피해양상과 정도의차이를 조사하였는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침수기간중 토양온도는 표준구보다 침수구가 고온으로 경과하였는데 오후 3시가 오전 10시보다 더욱 높았으며 토양산화환원전위는 표준구에 비하여 침수구가 현저히 저하하였다. 2. 침수로 인한 초장생육에 피해가 심한 시기는 전맥종이 신장기였으며 다음은 분얼기였고 경수증가피해가 심한 시기는 반대로 분얼기이고 다음이 신장기였으며 수잉기와 등숙기에는 그 차가 경징하였는데 맥종별로 초장과 경수피해가 큰것은 대맥이었고 적은것은 소맥이었다. 3. 침수로 인하여 수획시 간장감소가 심하였던 시기는 이조맥과 대맥은 신장기였으나 소맥은 수잉기였으며 수장은 이조맥과 소맥이 분얼기에 가장 저하하였다. 주당수수와 수당립수의 감소피해가 큰 시기는 전맥종의 유방분얼이 결정되고 소수분화가 이루어지는 분얼기와 신장기였다. 5. 천립중의 피해가 큰 시기는 입의 대소가 결정되는 수잉기로서 특히 소맥과 이조맥의 피해가 심하였는데 이때는 상위절간신장이 조해되어 출수는 지연되고 등숙이 불량하였다. 6. 침수구의 수양감수는 이조맥과 대맥은 수수와 입수감소 피해가 심하였던 신장기였고 다음은 분얼기였으며 소맥은 천립중의 피해가 큰 수잉기였고 다음이 신장기였는데 맥종별로는 소맥의 피해가 적고 다음이 대맥이었으며, 이조맥의 감수가 가장 심한 경향이었다.

Effect of over flooding moisture levels on the growth and yield of barley and wheat crops was determined. The marked plant height retardation of barley under over saturated moisture treatment was observed at the elongating stage and wheat at the booting stage. The elongating and tillering stage subjected to over flooding moisture level significantly reduced panicle number and grain number per panicle, and 1000-grain weight reduction at the booting stage streated with over saturated moisture level. The highest yield reduction of two row and six row barley stage, under over flooting moisture level. Soil wet resistance observed in decreasing order; wheat<six row barley<two row barley.

저자
  • 徐亨洙(영남작물시험장) | 서형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