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두 유용형질의 적응성에 관한 연구 KCI 등재

Studies on the Adaptability of Agronomic Characteristics for Yield Tests on Soybea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185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다수성으로 선발된 재내종대두 17계통을 2연동안 3개 지역에 재배 조사한 자료를 가지고 계통과 환경간 상호작용을 구명하고 각 계통의 적응력과 안정성을 회귀분석법에 의해 평가함과 아울러 연수, 지역수 및 반복수의 증가가 평균수량의 분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백질 및 지방함량과 특히 수량에 있어서는 유전분산에 비해 상호작용분산성분이 월등히 줬으며 기타형질은 그 반대현상을 보였고 일반적으로 연차에 의한 영향이 지역간차에서 오는 영향보다 줬다. 2. 각 형질의 유전력에 있어 수량이 14.44%로 제일 낮았고 기타형질은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그 가운데 백립중이 95.03%로 제일 높았다. 3. 선발재래종 17계통 가운데 대비품종 봉의보다 12계통이 높은 생산성을 나타내었으며 그중 9계통은 우량환경에 높은 적응역과 안정성을 나타내었고 3계통은 불량환경에 더 잘 적응할 수 있으나 안정성은 낮은 편이었다. 원연 200-27호 및 150-9호 계통은 평균수양이 300kg/10a이상으로 적응력 및 안정성도 높아 유망한 계통으로 생각된다. 4. 계통 수양의 표준오차는 지역수. 연수 및 반복수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지역수가 적을 경우에는 연수의 증가가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반복수의 증가에 의한 표준오차의 감소는 지역수나 연수를 늘리는 것 보다 그 효과가 낮았다. 5. 본 시험에서 상호작용분산성분 및 표준오차의 감소정도를 고려한다면 일년간 8개 지역 이상에서 3반복의 검정시험은 다수성 계통을 선발하는데 적당하고 보다 선발의 정확도를 높히기 위하여는 3∼4년간의 시험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강원도지역의 옥수수는 다른 지역에서의 그것보다 평균 이배 가량 켰다. 8. 조사한 특성상호간의 관계를 지역적으로 나누어 본 결과 옥수수 재배면적과 10a당 수량은 옥수수가 많이 재배되는 곳에서는 r=0.85로 높았으나 옥수수의 재배가 그리 많지 않았던 지역에서는 이 두 변이간에 상관계수가 0.5이하였다. 이와 같은 경향은 특성들의 옥수수 재배면적에 대한 상대적 기여도에서도 확인되었다. 9. 10a당 수량과 이삭의 무게에 있어서 옥수수 재배가 많은 곳(강원도)에서는 낮은 상관을 보였으나 재배가 낮은 곳(E지역)에서는 r=0.7로 높았다. 상대적 기여도에 의해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10. 기타 입의 크기는 다른 모든 특성과 높은 정의 상관을 보였다. 11. 입의 크기가 재배면적이나 10a당 생산량에 미치는 상대적 기여도도 다른 특성에 비해서 훨씬 컸고 지역에 따라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있는 조합에 한해서 Heterosis정도가 현저하다. 7. 추출도는 어느 조합에 있어서도 현저한 Heterosis 정도를 나타내었으며, F1 세대에서 현저한 초우성을 나타내었다. 8. 천입중에 대한 Heterosis정도는 어느 조합에 있어서도 현저하지 아니하였다. 9. F2 세대에서의 입중의 Heterosis정도는 영남조생과 Waito가 교배친으로 되어 있는 조합에 한해서 현저한 Heterosis를 보이고 그중에서도 영남조생IR24 영남조생 Columb II에서는 초우성을 나타내었다 등이였다. 9. F1 및 F2의 평균간장은 양친의 간장 범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yield performance, adaptation and stability of selected 17 local soybean lines, and determine the optimum number of locations and years in testing program. Among 12 lines having high performance than standard variety Bong-Eui, nine lines were better adapted to favorable environments with high stability. while three were adapted to unfavorable environments with instability. The data from over eight locations in a one-year test would be sufficient to evaluate high yielding lines but the accuracy of selection would be increased by testing in three years instead of one.

저자
  • 權臣漢(한국원자력연구소) | 권신한
  • 金在利(한국원자력연구소) | 김재리
  • 吳正行(한국원자력연구소) | 오정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