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수도의 유묘기 냉해에 관한 연구 II. 주요 신품종들의 제 3 엽기 내냉한계 KCI 등재

Studies on the Chilling Injury of Rice Seedlings : Ⅱ. Maximum Tolerance of the Recent Varieties from Indica×Japonica Cross to Chilling Stress at the 3rd Leaf -stag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188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Indica Japonica 교잡에 의해 육성된 수도신품종들의 유묘기 내냉한계와 내냉발현특성을 Janica품종들과 비교 고찰하고자 10개 품종을 유묘기 내냉성이 제일 약한 제 3 엽기에 주간 11℃야간 5℃의 저온조건에 0, 3, 4, 5, 8, 10일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저온처리 전후에 주야 26℃ / 18℃에서 생장한 파종 후 35일묘의 건물중이 무처리묘의 90% 이상이 되는 최장저온처리기간은 신품종들의 경우 0.8~2.8일 간으로써 특히 조생통일이 짧고 밀야 2003가 길었으며, Japonica 품종들의 경우 4.0~5.2일간으로써 신품종들보다 가역적 내냉한계기간이 배정도 길었다. 2. 저온처리에 따른 냉해발현 종료후 묘생존율이 90%이상되는 최장저온처리기간은 신품종들의 경우 3.0~5.6 일간으로써 수원 258호가 제일 짧고 수원 25001가 제일 길었으며, Japonica 품종들은 공시품종 모두 10일간 이상으로 신품종들보다 비가역적 내냉한계기간이 2~3배 이상 길었다. 3. 저온처리중 엽신변색고사율(y1) 및 묘고사율(y2), 저온처리 후 발현된 모신변색고사율(y3), 묘고사율(y4), 냉해를 받은 35일묘의 초장(y5)과 건물중(y6)은 모두 저온처리기간(x)과 고도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는데 특히 y1, y3, y6와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y1~y6들 상호간에도 모두 고도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나 특히 y1과 y3, y3와 y6의 상관성이 컸다. 4. 냉해징상들의 발현순서와 상태들간의 상관성 분석결과로부터 가역적 및 비가역적, 직접적 및 간접적 냉해의 발생과 그들의 복합현상으로써 결과되는 관찰되는 냉해징상의 발현과정 모식도를 작성하여 그림 5에 제시하였다. 5. 수도유묘의 내냉성 평가에 있어서 가역적 피해와 비가역적 피해를 종합적으로, 그리고 정량적으로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냉해를 나타내는 조사형질들 중 냉해에 가장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건물중율을 1차요인으로 취급할 것으로 제의한다.

Comparative tolerance of the new rice varieties from Indicax Japonica cross to elastic and plastic chilling injuries was examined at the 3rd leaf-stage, the most sensitive stage to chilling during nursery, using a chilling chamber set 11~circ C, 13hrs. 20K lux day/5~circC night. Seedlings were reared until 35 days after seeding in a 26~circ C, 13hrs. day / 18~circ C night chamber except the period of chilling treatment for 0, 3, 4, 6, 8 or 10 days. The new varieties were approximately twice susceptible to elastic injuries, and thrice susceptible to plastic injuries than the Japonica varieties in the term of chilling duration. Among the variables indicating apparant chilling injuries the reduction in dry matter responded most sensitively and differentiated well the varietal difference in chilling resistance even with shorter chilling period. Sequential aspects of the cause and effect relations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the apparant chilling injuries are discussed and a schematic diagram is presented as Fig. 5 in the text.

저자
  • 權容雄(서울대학교 농과대학) | 권용웅
  • 金柱憲(서울대학교 농과대학) | 김주헌
  • 吳潤鎭(작물시험장) | 오윤진
  • 李文熙(작물시험장) | 이문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