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맥의 등숙일수와 수량구성요소와의 관계에 대한 유전연구 제I보 대맥의 생리적 성숙기 기준 설정 KCI 등재

Genetic Studies on Heading-to-Ripening Period and Its Relationship to Yield Components in Barley : Ⅰ. Studies on maturity criteria in barle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02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보리의 생리적 성숙기를 외시적 형질의 변이로서 판정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하여 효과적인 단기 등숙성 계통선발과 등숙유전 연구에 활용하고저 33 품종 및 계통을 4 출수군으로 분류하여 5개 형질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기출수 품종일수록 등숙기간이 길어져 출수기와 등숙기간에는 고도의 부의 상관(r=0.656** )를 보였고, 품종간 등숙기간의 차이가 인정되었다. 2. 성숙기 결정에 이용된 각형질중 수분함량과 외영의 색도변화가 가장 유효하였다. 3. 생리적 성숙기를 외시적 측정에 의하여 결정할 때 외영의 색도가 가장 안정하고 민감하게 변화하여 유용한 형질이었다. 또한 지엽의 색도변화를 같이 고려한다면 더 정확한 숙기판단이 될 것으로 본다. 4. 이 시기에 외영의 색은 Grayish yellow (연회황색)이었고, 평균 수분함량은 약 33%이었다.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establish physiological maturity determination criteria with reference to visibly easy measurement in barley in 1980 at Suweon. Thirty-three cultivars and lines from 500 crossing blocks were classified into 4 heading groups, and 5 variables; moisture content, discoloration of awn, exsertion, lemma and flag leaf were measured. There were highly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heading date and ripening periods (r=-0.656** ), so early heading types had longer ripening periods. Comparing with the variables used for maturity determination, moisture content and discoloration of lemma were most sensitive to development of grain-filling. Those two variables, alone or in combination could be used to screen many genotypes of barley for physiological maturity. In determination of maturity with reference to visibly easy measurement, color of lemma changed stably and was the most useful way and discolor of flag leaf increased the accuracy of determination. The color of lemma at this time was Grayish yellow, and the mean moisture content was about 33 percent in 33 barley cultivars and lines.

저자
  • 千鍾殷(맥류연구소) | 천종은
  • 李殷燮(맥류연구소) | 이은섭
  • 李弘䄷(서울대학교 농과대학) | 이홍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