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동부 Diallel Cross F2 세대의 유전분석에 관한 연구 KCI 등재

Studies on Genetic Analysis by the Diallel Crosses in F₂ Generatin of Cowpea(Vigna sinensis sav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09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신 두과작물 증산의 중요성에 비추어 동부의 육종상 기초자료를 얻고자, 품종중 특성이 뚜렷한 6개품종을 2면교잡하여 교배친 6개품종과 F2 세대 15개 조합을 재료로 각 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분포상태 및 우성정도 그리고 조합능력 등을 추정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Vr-Wr Graph에서 개화일수, 분지수, 협장, 주당협장, 주당립수, 백립중 및 구당립중의 7개형질은 불완전우성이었고, 성숙일수, 생육일수, 절간장 및 협당립수는 초우성으로 각각 나타났으나 경직경은 완전우성에 가까운 불완전우성이었다. 2. 각 형질의 우성정도를 본바, 개화일수, 성숙일수, 생육일수, 절간장, 주당협수, 협당립수, 주당립수, 구당립중의 8개형질은 그 값이 1이상이었고, 그 중 개화일수, 생육일수, 주당협수, 주당립수, 구당립중의 5개형질에 관여하는 유전자에서는 D < H로서 우성효과가 더 큰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평균우성정도는 성숙일수, 분기수, 주당립수의 형질들이 부의 값을 보여 타 형질과는 다른 경향이었으며, 우성열성유전자평균빈도는 성숙일수, 절간장, 분기수, 협당립수에서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3. 일반조합능력(GCA)과 특정조합능력(SCA)을 검정한 바, 전 형질에서 일반조합능력의 값이 특정조합능력 보다 컸으며, 그중 구당립중이 일반조합능력과 특정조합능력에서 가장 높았다. 4. 조합능력의 효과에서, 일반조합능력의 효과는 J78이 개화일수, 생육일수, 주당협수, 주당립수, 구당립중의 5개형질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정조합능력의 효과는 대체로 조합과 형질에 따라서 상이하였으나 TVu 1857 TVu 2885, TVu 2702 J78의 조합에서 그 효과가 크게 평가되었다.dica×Japonica 품종들은 17/9℃ 에서만 고사되고 20/12℃ 에서는 초기등숙이 정체되었다가 2주일후부터 등숙이 서서히 시작되었다. 7. 온도조건에 따른 복백미의 형성은 최적온도(26/18℃) 로부터 최저나 최고조건에서 많았고 사미 및 적미도 같은 경향으로 나타났다. 8. 현미립의 길이 및 두께 폭에 대한 영향을 보면 저온조건(17/9℃20/12℃) 에서 짧거나, 얇고, 좁은 편이었다. 9. 온도별 립중분포의 빈도를 보면 IR36은 최고온도조건이나 (32/24℃) 최저온도(23/13℃) 에서 동일한 립중분포를 보였고 최적온도조건에서는 (26/18℃ 높은 립중분포를 보였고 진흥은 최고, 최저, 최적온도 순으로 립중증가의 빈도를 보였으며 Indica×Japonica 품종들은 진흥과 IR36품종의 중간 영역에 머물고 있었다.mite처리구가 8.6%, 유황첨가구가 5.7~7.4% 증수되었음을 보이었다. 7. 식물체중의 조단백질 함량은 대조구, 5%, 10% 유황첨가구가 3.31~3.50%로서 비슷하였고 15% 유황첨가구는 3.94%, Dolomite첨가구는 5.38%였다. 아미노산도 15%유황첨가구와 Dolomite첨가구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현미중 조단백질은 15%유황첨가구가 10.14%로서 최고이었으며 10%유황첨가구와 Dolomite첨가구는 9.85%로서 다음이었다. 아미노산도 대조구의 현미에는 유황처리구보다 작았으며 유황처리구에서는

Genetic studies on the F2 generation of a set of half diallel crosses involving six cowpea varieties were conducted. by the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o determine combining ability, gene action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and their F2 hybrids. The 12 agronomic characters namely, days to flowering, days from flowering to maturity, days to maturity, diameter of stem, length of internode, number of branches per plant, length of pod, number of pods per plant, number of grains per pod, number of grains per plant, 100 grain weight and grain weight per plot were observed, and the F2 generation of this diallel set of crosses was analysed for each character according to the method by Jinks and Hayman.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Vr-Wr graphical analyses; The following seven characters, days to flowering, number of branches per plant, length of pod, number of pods per plant, number of grains per plant, 100 grain weight and grain weight per plot appeared to be partially dominant, and over dominance was found for days from flowering to maturity, days to maturity, length of internode and number of grains per pod. But diameter of stem indicated partial dominance near complete dominance. 2. Estimates of genetic variance components; In the degree of dominance,. eight characters, that is, days to flowering, days from flowering to maturity, days to maturity, length of internode, number of pods per plant, number of grains per pod, number of grains per plant and grain weight per plot were expressed larger than 1. And the characters, days from flowering to maturity, number of branches per plant and number of grains per plant as the degree of mean dominance (H1 /D) were found to be negative value over other characters. On the other hand, apprent asymmetry of dominance-recessive allele (H2 /4H1 ) produced comparatively estimates with lower value on days from flowering to maturity, length of internode, number of branches per plant and number of grains per pod. 3. Analyses of combining ability; Mean square value of GCA(general combining ability) appeared to be more important than those of SCA (specific combining ability) for most characters, and among them, grain weight per plot showed the highest mean square value in GCA and SCA. 4. Effect of combining ability; Variety 178 was expressed as the highest GCA effects in five characters (days to flowering days to maturity, number of pods per plant, number of grains per plant and grain weight per plot). SCA effects were differed from parents, characters and crosses, but crosses between TVu 1857 ~times TVu 2885 and TVu 2702 ~times J78 were shown to be highly with SCA effects on yield.

저자
  • 金鎭馨(경상대학교 농과대학) | 김진형
  • 高美錫(경상대학교 농과대학) | 고미석
  • 張權烈(경상대학교 농과대학) | 장권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