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하대두(Glycine max)의 파종기 및 비닐 멀칭재배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Polyethylene Film Mulching and Planting Dates on Growth and Yield of Summer Type of Soybean(Glycine max)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15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하대두형 품종에 대하여 파종기를 달리하고 비닐멀칭을 했을 때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코져 다마미도리 지두를 4월 13일부터 10일 간격으로 4파종기로 하고, 비닐로 멀칭과 무멀칭으로 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현기는 멀칭을 할 경우 무멀칭에 비하여 촉진되어 4월 13일 파종구는 11일 축진되었다. 개화일수도 멀칭을 할 경우 평균 6일이 단축되었고, 4월 13일 파종구는 12일이 단축되었다. 2. 멀칭구는 무멀칭에 비하여 주경장이 컸으며, 주경절수 및 분지수도 많았을 뿐 아니라. l0a당 건경중도 많았다. 평균 100립중은 차가 없었다. 멀칭의 경우 늦게 파종한 구에서 주경장이 컸고, 주경절수 및 분지수도 많았을 뿐 아니라 건경중도 높았으며, 100립중도 무거웠다. 이러한 현상은 일찍 파종한구에서 미이라병의 리병입률이 높았기 때문이다. 무멀칭의 경우는 멀칭구와 같은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3. 멀칭구에서 미이라병의 리병입율이 높으면 자반병 리병입율은 낮아졌다. 무멀칭구는 멀칭구에서와 같은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4. 멀칭구에서는 무멀칭구보다 평균 20%가 증수되었고, 파종기별로 보면 일찍 파종한 구에서 미이라병에 대한 리병정도가 심하여 수량이 낮았고, 늦게 파종한 구에서 수량이 높았다.

To study the effects of planting dates and mulching on the growth and yield of summer type soybean, a variety, Damamidori introduced from Japan, was planted four times from April 13 with 10 days interval. Experimental plot in each planting date was devided into two sub-plots, polyethylene film mulching and non-mulching. By mulching, days to emergence and first flowering were shortened, especially in the early plantings; e.g. as much as 11 and 12 days, respectively, in the first planting. Compared to non-mulching, plant height, number of nodes of main stem, number of branches, and dry weight of stem and branches per unit area were also much increased by mulching. As the plantings were delayed, plant height, the total number of nodes and dry weight of main stem and branches, and 100 seed weight showed increasing trends, which were mainly due to lower infection rate of soybean seeds to pod and stem blight (Diaporthe phaseolorum) in the later plantings. The higher infection rate of soybean seeds to pod and stem blight, the lower infection rate to purple seed stain (Cercospora kikuchii) was shown in mulching but not in non-mulching.

저자
  • 鄭吉雄(단국대학교 농과대학 농학과) | 정길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