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벼의 입중증대에 의한 수량성향상에 관한 연구 -제 1 보 대립 벼품종의 주요특성과 수량성 KCI 등재

Studies on the Yield Potential Increment by Grain Wight in Rice : Ⅰ. Yield capacity and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rice varieties with large grai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16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우리나라 벼 재배품종들의 천립중을 증대시켜 단위면적당 수량능력의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수집된 몇가지 대립종들의 수량성 및 주요특성을 소개하고자 시험한 결과 1. 벼알의 무게와 벼알의 길이, 너비, 두께는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으며 벼 알의 길이와 모양은 정(+)의 상관(r=0.5707 ~ast~ast)을 보였다. 2. 우러나라 재배품종의 천립중보다 무거온 14대립종들의 천립중과 수당입수, 주당수수, 등숙비율, 총건물중, 정조중, 수확지수간에는 부(-)의 상관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3. 이들 대립종의 천립중과 생육일수와는 부(-)의 상관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4. 천립중이 상이한 20품종의 천립중과 심복백정도간에는 정(+)의 높은 유의 상관(r =0.8477~ast~ast)이 인정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t basic information about yield capacity and major agronomic characteristics of rice varieties with large grain.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Between grain weight and grain components such as length, width and thickness showe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ain length and grain shape (Length/Width) was clear (r=0.5707~ast~;~ast ). 1, 000 grain weight of 14 rice varieties with large grai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number of spikelets per panicle, number of panicles per hill, ripening ratio, total dry matter, grain yield and harvest index, but less clear. The relationship between grain weight of 14 rice varieties with large grain and growth duration was less clear (r=0.440). 1, 000 grain weight of 20 rice varieties differing in grain size showed a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ith chalkiness of rice kernel (r=0.8477~ast~;~ast ).

저자
  • 楊世準(영남작물시험장) | 양세준
  • 黃興九(영남작물시험장) | 황흥구
  • 孫再根(영남작물시험장) | 손재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