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질소시용량의 차이가 과맥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ree Naked Barley Cultivars (Hordeum vulgare L.) Affected by Different Levels of Nitrogen Appli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17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종실의 품질특성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구명하기 위하여 라맥 품종중 찰성인 요네자와와 메성이며 대립인 백동과 소립인 영산보리를 재료로 질소시용량을 달리하여 수행한 시험에서 얻은 몇가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품질의 변화를 보면 질소증시에 의해 단백질은 증가하며 백동이 배비구(N1 )에서 13.7%로써 가장 높았고 출수후 성숙이 진전됨에 따라 단백질 함량은 출수 직후에 높다가 4주째에 가장 낮은 함량을 보이다가 다시 증가하였다. 단백질의 solubility fraction에서 glutelin 함량이 최고이며 질소시용량이 증가할수록 증대되었다. amino산중 lysine함량은 요네자와와 백동이 영산보리보다 높으며, 질소시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공시품종에서 현저한 증가를 보였다. proline은 타 amino산에 비하여 월등하며 질소수준이 증가할수록 증대됨을 알 수 있었다. 질소증시에 의하여 무기성분중 Mg, K는 감소하고 Ca는 증가하였다. 회분은 질소 증시에서 감소하고 성숙이 진전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질소시용량이 증가할수록 맥입의 경도가 낮아지고 호분층이 연해지기 때문에 도정율을 낮추어야 하며 찰성인 요네자와는 메성인 두 품종보다 적게 도정하여야 함을 알 수 있다. 도정시간이 길면 가열흡수율이 높으며 도정률 60%로 기준하여 보면 찰성인 요네자와가 메성인 두 품종보다 가열흡수율이 높고 밥의 백도도 찰성인 요네자와가 메성인 두 품종보다 높고 질소시용량이 증가할수록 밥 백도가 백동, 영산보리에서는 낮아졌으나, 찰성 인요네자와에서는 높아졌다. Amylogram의 점성에서 호화온도는 찰성이 46.0℃ 로 메성 58.0℃ 보다 낮고 질소시용량과 큰 관계가 없으며 최고점도는 찰성인 요네자와가 보비구에서 2000BU, 메성인 백동은 무비구(No)에서 1020BU로서 찰성이 메성 보다 높고 질소시용량이 증가될수록 높아졌다. 찰성은 메성보다 호화온도가 낮고 최고점도는 높았다.

Four different levels of nitrogen were applied to 3 naked barley cultivars (Hordeum vulgare L.) Yonezawa, Baekdong and Yeongsanbori.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examined upon these treatments. Total protein content as well as glutelin increased as N level increased. Baekdong contained the highest protein content (13.7%) at N2 . Yonezawa and Baekdong contained more lysine than Yeongsanbori. Increased lysine was measured in all cultivars by increased nitrogen application. Among all amino acids proline was the highest in all cultivars, and its increase was paralled to the N levels. Magnesium and potassium were declined and calcium was increased with increased levels of nitrogen fertilizer. Ash content was decreased as nitrogen increased and as the plants have become matured. Three minutes pearling in Yonezawa was not sufficient in terms of water absorption ratio and whiteness. Sixty percent pearling rate in Yonezawa showed a higher absorption ratio and cooking whiteness than non-waxy Baekdong and Yeongsanbori. Gelatinization temperature was lower but maximum viscosity was higher in waxy than non-waxy barley.

저자
  • 金碩鉉(경상대학교 농학과) | 김석현
  • 趙載英(고려대학교 농학과) | 조재영
  • 洪丙憙(경상대학교 농학과) | 홍병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