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등숙 진전에 따른 도체내 부위별 양분 동태에 관한 연구 I. 도체내 부위별 무기양분의 동태 KCI 등재

Studies on the Change of Mineral Nutrients Content in Rice Plant in the Ripening Process : Ⅰ. Translocation and Cumulation of Mineral Nutrients in Different Parts of Rice Plant in the Ripening Proces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29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도체내 무기양분이 등숙진전에 따라 이행 집적되는 정도와 주이동부위에 대한 검토를 위하여 생태형과 숙기가 상이한 4품종을 재배하여 출수기부터 1주간격으로 9회에 걸쳐 시료를 탐취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산은 등숙진전에 따라 현미내 함유율이 증가되고 경엽에서는 감소하여 인산의 재이동을 인정할수가 있고 이동정도는 절간에서 가장 많고 다음이 엽초, 엽신의 순이었으며 이삭에서 가까운 상위의 절간, 엽초, 엽신에서의 이동이 하위에서 보다 컸다. 생태형간에 차가 있고 통일형에서 이동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가리는 엽신과 엽초에서는 등숙진전에 따른 변동이 없는 반면 절간에서는 현저히 증가되었고 특히상위절간에 집적이 많았다. 현미에서는 성숙기민 6주까지 함유율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다가 7주부터 다시 증가하여 절간과 반대경향을 보였으나 기간중 현미중의 증가를 고찰하면 단위미립내의 가리함양의 변동은 미미하여 절간의 가리축적이 현미에서 재이동된 것으로 볼 수는 없었다. 도체내 부위별 가리함양은 품종의 생태형보다 숙기에 따른 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3. 고토는 등숙이 진전됨에 따라 해미내 함유율이 점진적으로 증가되고 경엽에서는 호숙기까지 증가되나 이후 성숙기까지 감소경향을 보여 인산만은 못해도 곡실로의 이동을 인정할 수가 있었고 이동상태는 부위나 숙기, 생태형에 따른 경향은 인정하기 어려웠고 품종간에는 차가 있었다. 4. 규산은 현미에서 미량이 검출될 뿐이나 왕겨에서는 등숙진전에 따라 계계 단가되고 경엽에서도 증가되나 엽신>엽초>절간의 순으로 축적되어 재이동은 생각할 수가 없었고 품종의 생태형간의 는 발견할 수가 없었으나 숙기간에는 차가 있어 조생종보다 중생종인 상풍벼와 금강벼의 경엽에 함유율이 높았다. 5. 석회는 곡실로의 이동이나 축적은 없었고 엽초와 절간에서도 변동이 없었으나 엽신에서는 등숙진전에 따라 축적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다수계 품종민 태백벼와 금강벼에서 축적정도가 컸다. 엽위별로는 지금이 많고 차엽이 낮았다.

In order to clarify the trend of change in mineral nutrients in rice plant on various ripening process, P2 O~sub 5/, K2 O, MgO, CaO, SiO2 and ash contents were determined for the grain, internode, leaf-5heath and leaf blade respectively for 9 times at an week interval after heading. Four rice cultivars with different maturity and ecotype were grown under normal cultural conditions for the trial. The contents of mineral nutrients in the brown rice were in the order of Ash, P2 O~sub 5/, K2 O and MgO. CaO and SiO2 were found in minute quantity in the brown rice. The hull contained SiO2 in large quantity, and it also contained the mineral nutrients in the order of K2 O, P2 O~sub 5/O. The CaO content of hull was extremely minute.

저자
  • 李陽九(서울여자대학) | 이양구
  • 林茂相(호남작물시험장) | 임무상
  • 林炳琦(서울여자대학) | 임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