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멀칭 재료가 참깨재배토양의 생리성 및 종실수량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on Physical Properties of Soil and Grain Yield of Sesam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30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멀칭방법이 토양물리성 개선 및 참깨의 수량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풍년깨 품종을 공시하고, 투명비닐, 흑색비닐, 짚을 멀칭 재료로 하여 시험하였으며, 출아율, 토양물리성, 근량, 잡초량, 증발산량 및 수양을 조사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생육기간중 토양수분포텐셜의 변화양상은 처리간에 큰 차리가 없었으며, 무멀칭표준구에 비해 비닐멀칭구는 약 5.4%, 짚멀칭구는 약 2.8%의 수분보지효과가 있었다. 2. 최고지온은 표준구에 비해 투명비닐멀칭구에서 약 4℃ 높았으며, 짚멀칭구에서는 약 7 ℃ 낮았다. 최저지온은 표준구에 비하여 투명비닐멀칭구에서 약 2 ℃ 높았고, 짚멀칭구에서 약 3℃ 낮았다. 3. 생육초기에 투명비닐멀칭구의 토양수분포텐셜, 토양온도, 잡초율, 토양경도 및 토분통기능은 무멀칭표준구보다 양호했으며, 따라서 출아율도 높았다. 4. 생육후기에 토양경도는 무멀칭표준구에서 높았으며 짚멀칭구, 흑색비닐멀칭구, 투명비닐멀칭구의 순으로 낮았다. 공극률, 토양통기능 및 유수속도는 투명비닐멀칭구와 짚멀칭구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5. 총근양은 투명비닐멀칭구에서 많았으며, 흑색비닐멀칭구, 짚멀칭구, 무멀칭표준구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근양은 토심 10cm 이내에 높은 밀도로 분포하고 있으며, 토심이 깊어질수록 급격히 감소하였다. 6. 잡초양은 흑색비닐멀칭구에서 가장 적었으며 무멀칭표준구에서 가장 많았다. 7. 토양경도는 토양통기능( r=-.9439**), 투수속도( λ =-.8229*)와 부의 유의상관을 보이며, 토양통기능과 투수속도는 근양과 유의정상관을 보였고, 근량은 수량( r=-.7378*)과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8. 처리별 증발산양간에는 유의적인 차리가 없었으나, 투명비닐멀칭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경향이었다.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lching materials on the emergence rate, root dry weight and grain weight of sesame using variety Poong Nyun Ggae and also their effects on physical properties of soil, evapotranspiration and weed growth on the respective plots were studied. The effect of soil water holding capacity at mulching with polyethylene film and straw increased 5.4%, 2.8% to non-mulched plot respectively. The maximum soil temperature was raised up to 4~circC by applying clear film and was dropped down to 7~circC by straw. The minimum soil temperature was raised up to 2~circC by clear film and was dropped down to 3~circC by straw. In the early stage, the soil physical properties of clear film mulching were better than those of non mulching, and so was in emergence rate. In the late stage, soil strength was high at non mulching, and soil porosity, soil aeration and water infiltration rate were high at film and straw mulchings. Total root dry weight was great at clear film mulching, and root dry weight was concentrated mainly in the upper 10 cm of soil profile. The amount of weeds collected was the least at black film mulching. There were of little difference in evapotranspiration among treatments. The grain yield of sesame was increased to 57% by polyethylene film and 25% by straw mulching.

저자
  • 金旭漢(고려대학교 농학과) | 김욱한
  • 洪丙熹(고려대학교 농학과) | 홍병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