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버어리종 담배 건조시 급건엽 발생방지에 관한 연구 II. 차광의 영향 KCI 등재

Studies on the Prevention of Excessive Drying Leaves during Burley Tobacco Curing : Ⅱ. Effect of the Shading Conditions on the Occurrence of Excessive Drying Leav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34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Burley 21을 공시품종으로 하여 건조실은 파이프 비닐하우스를 이용하였고, 시험 I 은 차광율을 10∼90%까지 20%씩 차이를 두어서 5 처리를 하였으며, 시험 II는 흑색차광막, 차광강과 5가지 유색비닐 등으로 차광재료를 달리하여 잎담배 건조시 차광효과와 알맞은 차광재료를 달리하여 잎담배 건조시 차광효과와 알맞은 차광재료를 밝히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던 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차광량이 않을 수록 온도가 낮고 습도는 높은 경향이었다. 2. 노변 전까지의 차광효과는 엽중탈수속도를 지연시키는데 있었다. 3. 급건엽발생은 차광량이 많을 수록 적었으나 차광 70% 이상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4. 품질 및 물리성은 50% 이하의 차광구에서 불량하였으나, 그 이상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5. 건조시 차광량의 하한선은 70% 본다. 6. 유색비닐 중 주황색, 백색 및 자주색비닐은 흑색차광막과 충분한 대비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백색비닐은 광에 의한 내구성이 가장 약하였다. 7. 가시광선의 광질 차이는 건조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8. 흑색계통의 차광재료는 차광량은 많으나 광energy를 흡수하여 하우스 내 온도를 높이므로, 내구성이 크고 광 반재형 차광재료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The experiment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proper shading rate and shading materials to decrease the excessive dried leaves during cure of burley tobacco. Five shading rates and seaven shading materials were applied on the pipe vinyl house from initial stage or yellow stage of cure. Temperature was lower and weight-loss of leaves delayed with shading from initial stage to browning stage of cure. Excessive dried leave were largely decreased as shading rate was increased to 70%. However, at shading rate more than 70%, its decreasing extent was fewer. Price per kg and physical properties improved considerably at shading rate of 50%. Shading materials alone could not completely prevent excessive dried leaves but it could decrease them. Orange, white and purple color vinyl among shading materials had so effects of shading as the black shading cloth during curing. However, white color vinyl didn't endure more than a few months due to sunshine. A difference of light quality in visible light was no significance on air curing.

저자
  • 裵成國(한국인삼연초연구소 전주경작시험장) | 배성국
  • 林海建(한국인삼연초연구소 전주경작시험장) | 임해건
  • 金鐃泰(한국인삼연초연구소) | 김경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