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단옥수수의 성숙정도에 따른 당함량, 가용성 고형물 및 맛의 변화 KCI 등재

Sugars, Soluble Solids and Flavor as Influenced by Maturity of Sweet Cor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35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우리나라 사람들의 기호에 알맞는 단옥수수의 수확적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3개 보통단옥수수 품종(Great Bell, 단옥 001, Golden Cross Bantam)과 초당옥수수 1개 품종(Crisp Super Sweet 720)을 공시하여 1985년과 1986년에 걸쳐 시험하였다. 시료를 출사 후 15일부터 27일 혹은 33일까지 3일간격으르 심취하여 성숙과정에 따른 종실의 발달, 당, 가용성 고형물, 맞 등의 변화와 이들 상호간의 관계를 조사하여 수확적기를 결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보통단옥수수인 Golden Cross Bantam은 출수후 15일부터 33일까지 입중. 종실건물비율, 전분함량이 계속 증가하였으나 초당옥수수인 Crigp Su-per Sweet 720은 출사 후 27일 이후에는 이들의 증가가 완만하였고 전분축적도 Golden Cross Bant-am보다 훨씬 적었다. 2. 가용성 고형물은 3개 보통단옥수수 품종은 출사 후 27일 혹은 33일까지 증가하였으나 Crisp Super Sweat 720은 24일까지 증가한 후 30일 까지는 같은 수준으로 유지한 후 감소하였다. 수확기의 가용성 고형물은 보통단옥수수 품종이 Criap Super Sweat 720 보다 훨씬 높았다. 3. 종실의 sucrose, fructose. glucose 함양은 3개 보통단옥수수 품종에서는 출사 후 15일에 1∼2%로서 비슷하였으나 그 후 fructose와 glucose는 감소하고, sucrose는 출사 21∼24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여 전당함양은 출사 후 15∼21 일까지는 높게 유지된 후 급격히 감소하였다. 초당옥수수에서는 sucrose, fructose, glucose 모두 출사 후 24 일까지 증가한 후 감소하였다. 따라서 수확기의 주된 당성분은 Sucrose이었으며 최고전당함양은 보통옥수수보다 2∼3배 높았다. 4. 맛을 기준으로 한 수확적기는 출사 후 27일이었다. 가변성 고형물과 맛과는 같은 품종에서는 정의 상관이 있었으나 전당함량과 맛과는 관계가 없거나 부의 상관이 있었다. 전당함양과 가용성 고형물과는 관계가 없거나 부의 상관이 있었다.

Changes in the contents of sugars and soluble solids and flavor rate of cooked kernels of three sweet com hybrids (Great Bell, Danok 1, and Golden Cross Bantam) and a super sweet corn hybrid (Crisp Super Sweet 720) were observed from 15 days after silking (DAS) to 27 or 33 DAS in 1985 and 1986 to determine the optimum harvest time. Sucrose content in all hybrids and fructose and glucose contents of Crisp Super Sweet 720 increased from 15 DAS to 21 or 24 DAS and then decreased. However, in the three sweet corn hybrids both fructose and glucose contents were highest at 15 DAS and then continuously decreased with maturity. At harvest time the major sugar component was sucrose and the highest total sugar content of Crisp Super Sweet 720 was 2-3 times higher than that of three sweet corn hybrids. Soluble solids were continuously increased with maturity in three sweet com varieties, but that of Crisp Super Sweet 720 increased up to 24 DAS, maintained the level through 30 DAS and then decreased. At harvest time soluble solids of three sweet com varieties were much higher than that of Crisp Super Sweet 720. The optimum harvest time seems to be about 27 DAS considering flavor rate and marketing conditions although the total sugar content was lower than those of earlier harvests. Soluble solids but not total suga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flavor of cooke6 com harvested at different growth stages in the same variety. Total sugars were not correlated with soluble solids or negatively correlated depending on hybrids.

저자
  • 李錫淳(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 | 이석순
  • 金台柱(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 | 김태주
  • 朴種錫(영남대학교 농축산대학) | 박종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