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밥맛이 좋은 Japonica 벼 품종들의 도복저항성과 도복경감제 paclobutrazol에 대한 반응 KCI 등재

Lodging Liability and Response to Paclobutrazol Application of High Eating Quality Japonica Rice Varieti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1237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작물학회지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한국작물학회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초록

밥맛이 좋은 벼 품종들의 질소반응과 도복억제제에 대한 반응을 밝히기 위하여 다마금, 농림 006, 고시히까리, 추청벼, 동률벼 및 밀양 2003를 공시하여 4월 20일에 파종하여 5월 30일에 이앙하였다. 질소시비수준은 10a당 5, 10 및 15kg 이었으며 도복억제제로는 paclobutrazol 을 사용하여 이앙 후 20일에 10a당 입제(유효성분 0 6 %)로 0 및 2kg을 처리한 후 출수 전 15일에 0, 3 및 4.5kg을 처리하였다. 도복관연형질은 출수 후 25일에,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는 출수 후 45일에 조사하였다. 밥맛의 평가는 관능검사로 하였다. 1. 질소시비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간장 및 수량은 증가하였으나 제3절간의 좌절하중은 감소하고 도복지수는 증가하였다. 2. Paclobutrazol 처리는 공시품종 모두의 간장, 제 3절간장을 단축시켰으나, 제 3절간의 난절하업과 도복지수는 다마금, 농림 006 및 고시히까리와 같은 장간종에서는 이앙 후 20일에 처리할 경우에는 오히려 도복하기 쉬운 조건이되었고 출수 전 15일에 처리할 경우에는 그 반대경향을 보였다. 3. 포장에서의 도복은 다마금, 농림 006 및 고시히까리에서 발생하였으며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도복이 심하였으며. paclobutrazol 처리에의해서는 도복발생이 경감되었다. 4 질소시비량에 대한 수량의 반응은 다마금, 농림 006 및 추청은 10a당 10kg 에서, 고시히까리는 15kg 수준에서 최고수량을 보였다. 5. Paclobutrazol 처리의 수량에 대한 효과는 질소시비량과 품질, 그리고 paclobutrazol의 시용량 및 시용시기에 따라 달랐는데 질소시용량이 10a당 5 kg 수준일 때에는 paclobutrazol(0.6 G ) 3 kg 처리에 의해 3.4∼26% 증수되었고, 4.5kg 처리에 의해서는 3.8∼20% 증수되었다. 단간종인 동률벼와 밀양 2003는 질소 15kg/10a 수준에서도 도복의 위험이 없었지만 밥맛이 좋은 장간종들은 질소시비량를 10kg/10a 이상의 경우 도복하기 쉬웠는데 농림 006는 질소 10kg/10a, 출수 전 15일에 paclobutrazol 3kg 처리구, 다마금은 질소 15kg/10a, 출수 전 15일에 paclobutrazol 3kg 처리구, 고시히까리와 추청벼는 질소 15kg/10a에서 paclobutrazol을 이앙후 20 일에 2kg 처리 후 출수 전 15일에 3kg 2회 처리한 경우 수량이 제일 많았다. 6. 다마금ㆍ농림 006. 고시히까리 및 추청벼의 밥맛 차이는 없었으며 paclobutrazol 처리에 의한 밥맛의 변화는 없었다.

Most of the japonica rice varieties preferred for high eating quality are liable to lodging even under moderate rate of nitrogen application. This lodging liability has been a critical limit even for proper evaluation of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ose varieties exhibitable under higher nitrogen levels. Use of recent inhibitors of gibberellin biosynthesis such as ‘Pac1obutrazol’ may allow us to overcome this barrier. The responses of four high eating quality varieties to nitrogen application to the level of 150kg N per ha were evaluated with and without use of Paclobutrazol in comparison with a non-lodging, improved short japonica, Dongjin and a non-lodging, high yielding indica x japonica Milyang 23. The four were Damageum (the best eating quality in the 1930s), Nongrim 6 (the best in the 1960s), Chuchung (the best since 1970s), Koshihikari (the best in Japan since 1960s). As expected increased application of nitrogen increased plant height, length of the 3rd internode, and lodg-ing liability, being measured as culm breaking load, in all varieties tested and caused actual lodging in the fiel from the 50kg Nfha level in Damageum and Koshihikari and at the level of l50kg Nfha in Nongrim 6. Applica-tion of Pac1obutrazol (0.6%G) 15 days before heading reduced plant height, length of the 3rd internode and lodging liability being measured as culm breaking load in all varieties tested. However, the application of Pac1obutrazol during active tillering stage resulted in decreased culm breaking load in Damageum, Nongrim 6, and Koshihikari in spite of the decreased plant height and culm length as in the other varieties. Maximum yield was obtained with 100kg Nand 30kg Pac1obutrazol at 15 days before heading in Nongrim 6, 150kg N and 30kg Pac1obutrazol at 15 days before heading in Damageum, and 150kg N and 20kg Paclobutrazol at 20 days after transplanting plus 30kg Paclobutrazol at 15 days before heading in the variety Koshinhikari and Chuchung. Under a sensory evaluation of cooked rice, the four high eating quality varieties were not different in rank and Paclobutrazol treated rice was not distinguished from the untreated in eating quality.

저자
  • 李殷雄(서울대학교 농과대학) | 이은웅
  • 權容雄(서울대학교 농과대학) | 권용웅
  • 蘇昌鎬(서울대학교 농과대학) | 소창호